참여연대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함께 합니다.
국경 안에만 머무르지 않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위해 세계 시민과 함께 합니다.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연대를 지향합니다.
정치적 연대보다는 사안별·정책별 연대를 중심에 둡니다.
연대에 있어 진보적 가치를 지향합니다.
1994-2022
1994 | 12.12 반란자 기소 촉구 공동행동 / 동티모르 인권침해 항의운동 |
1995 | 지하철노조, 환경단체와 함께하는 지하철개혁 시민협의회 활동 / 5.18 책임자 처벌 촉구 활동 / 방위비 삭감을 위한 연대모임 |
1996 |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 정책 워크숍 / 국가보안법 폐지운동 |
1997 | 노동법, 안기부법 개악 저지 연대 활동 /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발족 및 5대 조례 제정운동 착수 / 정치관계법 시민사회단체 공동 입법운동 / 전자주민카드 반대운동 |
1998 | 언론개혁국민연대 / 진상규명 및 국가개혁 시민행동 |
1999 | 동강댐 건설 반대운동 / 한국조폐공사 파업 검찰개입 진상조사활동 / 특검제 도입 및 부패방지법 돈세탁방지법 제정운동 / 국정감사모니터 시민연대 |
2000 | 낙선운동-총선시민연대 / 비정규차별철폐공대위 / 사립학교법개정과 부패사학척결을 위한 운동 / 평등한 SOFA개정국민행동 / 올바른 국가인권기구 실현을 위한 민간단체공동대책위원회 / 투자협정 WTO반대 국민행동 / 외국인노동자 차별철폐와 기본권 보장을 위한 운동 / 신문개혁국민행동 |
2001 | 판공비공개운동 전국네트워크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건설 / 지방자치 헌장 제정운동 / 전쟁반대 평화실현 공동실천 / 테러방지법 저지를 위한 공동행동 / 집회시위자유쟁취, 집시법 개정운동 / 인터넷검열반대 / FX철회 공동행동 |
2002 | 연대와성찰 사회포럼 / 여중생사망사건 범대위 / 공공부문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정책협의회 / 대선유권자연대 |
2003 | 이라크파병반대운동 |
2004 | 탄핵무효 부패정치척결을 위한 범국민행동 / 2004총선시민연대 / 국가보안법폐지 연대운동 / 이라크파병반대 연대운동 등 |
2005 | 사회양극화해소 국민연대 / 삼성X파일 공대위 / 최저임금연대 / 보육료 자율화 저지와 국공립보육시설 확충을 위한 연대 / 도박산업 규제와 개선을 위한 전국네트워크 |
2006 | 한미FTA저지 범국민운동본부 / 수도권 과밀집중 문제해결과 지역상생을 위한 전국연대 |
2007 | 경부운하저지 국민행동 / 의료공공성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한 연대회의 / 연금제도 정상화를 위한 연대회의 /등록금문제 해결을 위한 범사회대책위원회 / 2007 대선시민연대 |
2008 | 광우병대책회의 / 민생민주국민회의 |
2009 | 등록금대책을위한시민사회단체전국네트워크 / 중소상인살리기전국네트워크 / 운하백지화국민행동 / 참여자치지역연대 |
2010 | 친환경 무상급식 실현을 위한 연대 / 민주진보 교육감 추천 운동과 교육정책 개선운동 / 서민입법과 민생예산 확대를 위한 연대 / 평화군축박람회 준비위원회 활동 / 비핵화 라운드테이블 활동 / G20 정상회의 대응 활동 |
2011 | 유권자 표현의 자유보장을 위한 선거법 개정 활동 / 보편적 복지 실현을 위한 활동 / 서민경제 개선 위한 약탈적 금융 대항 활동 / 중소상인 살리기 위한 연대활동 / 한미FTA 폐기를 위한 연대활동 /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 활동 / 비핵군축 공동행동 / 아시아 민주화와 권력감시운동 활성화를 위한 국제연대 등 |
2012 | 총대선 유권자 참여를 위한 연대 / 보편적 복지 실현을 위한 연대 / 금융공공성 확보와 서민경제 개선을 위한 연대 / 재벌·대기업들의 특혜와 탐욕을 규제하기 위한 연대 / 교육비·주거비·통신비·이자 부담 등 4대 가계부담 완화를 위한 연대 / 제주해군기지백지화를 위한 연대 / 핵 없는 사회를 위한 연대 / 아시아 민주화와 권력감시 시민운동 활성화를 위한 국제연대 |
2013 | 갑의 횡포에 맞선 ‘을’들과의 연대 / 특검 실시 촉구 등 국가기관 대선개입 사건 진상규명과 책임추궁을 위한 연대 / 교육비·주거비·이자 부담 등 가계부담 완화를 위한 연대 / 쌍용차 노조, 전교조 등 탄압받는 노동자들에 대한 지지와 노동권 보장을 위한 연대 / 제주해군기지건설 저지를 위한 연대 / 유엔 메커니즘 활용 등 국내 인권 및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국제연대 활동 |
2014 |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 국가기관 대선개입과 수사방해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 좋은 정책 확산과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감시를 위한 지방선거 연대 경제민주화.갑을 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 활동 / 서민금융 보호를 위한 연대 활동 / 용산 화상경마장 입점·개장 반대를 위한 연대 활동 / 의료민영화 저지와 기초법 개악 저지를 위한 연대활동 / 비정규직 문제 해결 및 노동권 보장을 위한 연대 / 제주해군기지건설 저지를 위한 연대 / 국내 인권 및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유엔 메커니즘 활용 등 국제연대 활동 |
2015 |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비례대표 확대 및 선거제도 개혁을 위한 연대, 경제민주화 갑을문제 해결을 위한 연대 활동, 용산 화상경마장 입점 개장 반대를 위한 연대 활동, 의료민영화 저지 의료공공성 강화와 지역복지 수호를 위한 연대활동, 비정규직 문제 해결 및 노동권 보장을 위한 연대, 분담70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연대, 국내 인권 및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유엔 메터니즘 활용 등 국제연대 활동 |
2016 |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 의료보장성 강화, 의료민영화 저지 및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연대 / 경제민주화를 위한 연대 / 주거권 확보를 위한 시민사회 및 국제 연대 / 용산 화상경마도박장 추방을 위한 연대 / 한미일 군사협력 감시를 위한 연대 / 국내 인권 및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국제연대 / 박근혜 정권 퇴진을 위한 연대활동 |
2017 |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 / 세월호 참사·가습기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연대 / 화상경마장 패쇄와 민생살리기를 위한 연대 / 규제프리존 반대 등 의료영리화 저지를 위한 연대 / 사드 배치 반대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연대 / 정치개혁공동행동 등 정치개혁을 위한 연대 / 국민개헌넷 등 국민주도 헌법개정을 위한 연대 / 신고리5·6호기 백지화국민행동 / 차별금지법 제정연대 / 파리바게트 불법파견 문제 해결과 청년노동자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대책위원회 / 공수처설치촉구공동행동 / 시민의 눈으로 예산을 감시하는 나라예산네트워크 |
2018 | 정치개혁공동행동 등 정치개혁을 위한 연대 / 국민개헌넷 등 국민주도 헌법개정을 위한 연대 / 부동산 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유세 강화 시민행동 / 인터넷전문은행특례법 반대와 은산분리 원칙을 지키기 위한 연대 / 상가세입자 보호를 위한 <임걱정운동본부> 활동 / 검찰개혁을 위한 <공수처설치촉구공동행동> 활동 / 양승태 사법부의 사법농단 대응을 위한 연대 / 국정원법 개정 촉구를 위한 연대 / 로힝야와 연대하는 한국시민사회모임 활동 /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대응 한국시민사회 TF 활동 /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제 도입을 위한 연대 |
2019 | 연동형비례제 도입 등 선거제 개혁을 위한 연대 / 정보경찰폐지 등 경찰개혁을 위한 연대 / 경제민주화와 재벌개혁을 위한 연대 / 유치원 비리근절 3법 처리를 위한 연대 / ILO 기본협약 비준을 위한 연대 / 주거세입자 권리 보장을 위한 연대 / 세계군축행동의날(GDAMS) 캠페인, 아덱스(ADEX) 무기전시회 저항행동 |
2020 | 코로나19 시민사회대책위원회 / 2020총선시민네트워크 / 주거권네트워크 /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 / 중대재해기업처벌법제정운동본부 / 경찰개혁네트워크 |
2021 |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 / 평화⋅통일 비전 사회적 대화 전국시민회의 /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국정원감시네트워크 및 경찰개혁네트워크 /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준) / 불평등끝장 2022 대선유권자네트워크 / 집걱정끝장대선주거권네트워크 |
2022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 9월 기후정의행동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행동 /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 재난불평등공동행동 / 내놔라 공공임대 농성단 /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를 위한 전국네트워크 / 노조법 2∙3조 개정 운동본부 / 2024정치개혁공동행동 / 국정원감시네트워크 / 경찰개혁네트워크 /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 (Korea Peace Appeal Campaign) / 무장 갈등 예방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Prevention of the Armed Conflict, GPPAC) /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 |
2023. 1. 기준, 총 95개 (국내 상설 12개, 국내 한시 74개, 국제 상설 9개)
국내연대 – 상설 연대기구 (12개)
-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1997)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2001)
- 최저임금연대 (2002)
- 지역복지운동단체네트워크 (2003)
-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2004)
- 6.15공동선언실천을위한민족공동위원회남측위원회 (2005)
- 민족민주노동열사허세욱정신계승사업회 (2008)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시민평화포럼 (2008)
- 서울지역풀뿌리시민사회단체네트워크 (2010)
-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 (2010)
- 4월 16일의 약속 국민연대(416연대) (2015)
-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 (2016)
국내연대 – 한시적 연대기구/네트워크 (74개)
연대기구명 | 가입년도 | 담당부서 |
---|---|---|
핵발전소 폐쇄 서명운동본부 | 2022 | 평화군축센터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 2022 | 정책기획국 / TF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와 성평등 정책 강화를 위한 범시민사회 전국행동 | 2022 | 정책기획국 |
이란 시위를 지지하는 한국시민모임 | 2022 | 정책기획국 |
김순호 파면, 녹화공작 진상규명 국민행동 | 2022 | 정책기획국 |
원청 책임/손해배상 금지(노란봉투법) 노조법 2·3조 개정 운동본부 | 2022 | 노동사회위원회 |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저지 공대위 | 2022 | 민생희망본부 |
중대재해 없는 세상만들기 운동본부 | 2022 | 노동사회위원회 |
역사정의와 평화로운 한일관계를 위한 공동행동 | 2022 | 평화군축센터 |
대우조선 하청노동자 파업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긴급행동 | 2022 | 정책기획국 |
간호인력인권법 제정을 위한 연대 | 2022 | 사회복지위원회 |
돌봄 공공성 확보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 2022 | 사회복지위원회 |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를 위한 전국네트워크 | 2022 | 민생희망본부 |
CPTPP 가입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 2022 | 정책기획국 |
우크라이나 평화행동 | 2022 | 평화군축센터 |
택배 과로사방지 사회적 합의 이행과 CJ택배 파업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한 종교·시민사회 공동대책위원회 | 2022 | 노동사회위원회 |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2021 | 민생희망본부 |
주택세입자 법률지원센터 세입자114 | 2021 | 민생희망본부 |
5인 미만 차별폐지 공동행동 | 2021 | 노동사회위원회 |
SPC 파리바게뜨 노조파괴 진상규명과 청년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노동시민사회단체 대책위원회 | 2021 | 노동사회위원회 |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 | 2021 | 정책기획국 |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준) | 2021 | 사회복지위원회 |
국가보안법 폐지 국민행동 | 2021 | 정책기획국 |
난민인권네트워크(Korea Refugee Rights Network) | 2021 | 정책기획국 |
정부노조법개악 반대 ILO핵심협약비준을 위한 노동시민종교단체 공동대책위원회 | 2020 | 노동사회위원회 |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 | 2020 | 노동사회위원회 |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 | 2020 | 평화군축센터 |
쿠팡물류센터 코로나19 피해노동자 지원대책위원회 | 2020 | 노동사회위원회 |
베트남 전쟁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네트워크 | 2020 | 평화군축센터 |
평화공공외교협의회 | 2020 | 평화군축센터 |
변희수 하사의 복직과 명예회복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2020 | 평화군축센터 |
경제민주화와 양극화 해소를 위한 99% 상생연대 | 2019 | 민생희망본부 |
기후위기비상행동 | 2019 | 정책기획국 |
제주제2공항백지화전국행동 | 2019 | 평화군축센터 |
경찰개혁네트워크 | 2019 | 행정감시센터 |
탈핵시민행동 | 2019 | 평화군축센터 |
평화·통일비전 사회적대화 전국시민회의 | 2019 | 평화군축센터 |
보유세강화시민행동 | 2018 | 조세재정개혁센터 |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금융소비자단체 연대회의 | 2018 | 경제금융센터 |
보육 더하기 인권 함께하기 | 2018 | 사회복지위원회 |
로힝야와 연대하는 한국시민사회모임 | 2018 | 국제연대위원회 |
촛불청소년인권법제정연대 | 2017 | 정책기획국 |
국민주도헌법개정전국네트워크 | 2017 | 정책기획국 |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2017 | 정책기획국 |
2024정치개혁공동행동 | 2017 | 의정감시센터 |
사드한국배치저지전국행동 | 2016 | 평화군축센터 |
국정원감시네트워크 | 2016 | 행정감시센터 |
설악산국립공원 지키기 공동행동 | 2015 | 정책기획국 |
주거권네트워크 | 2015 | 민생희망본부 |
공적연금강화 국민행동 | 2015 | 사회복지위원회 |
대학공공성 강화를 위한 전국 대학구조조정 공동대책위 | 2014 | 민생희망본부 |
먹거리안전과 식량주권실현을 위한 범국민 연대 | 2014 | 정책기획팀 |
강정법률지원모금위원회 | 2014 | 평화군축센터 |
제주영리병원 철회 및 의료민영화 저지 범국민운동본부 | 2014 | 사회복지위원회 |
공정사회파괴 노동인권유린 삼성바로잡기 운동본부 | 2014 | 노동사회위원회 |
형제복지원사건진상규명을위한대책위원회 | 2013 | 사회복지위원회 |
친환경무상급식·안전한먹거리서울연대 | 2013 | 민생희망본부 |
FTA대응범국민대책위원회 | 2013 | 경제금융센터 |
나라예산네트워크 | 2013 | 조세재정개혁센터 |
불평등한한미SOFA개정국민연대 | 2013 | 평화군축센터 |
재벌개혁과 경제민주화 실현을 위한 전국네트워크 | 2012 | 민생희망본부 |
의료민영화저지와무상의료실현을위한운동본부 | 2012 | 사회복지위원회 |
쌍용자동차 희생자추모 및 해고자 복직 범국민대책위원회 | 2012 | 노동사회위원회 |
KTX민영화저지와철도공공성강화를위한범국민대책위원회 | 2012 | 민생희망본부 |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 | 2012 | 행정감시센터 |
반값등록금실현과 교육공공성강화를 위한 국민본부 | 2011 | 민생희망본부 |
사립학교개혁과 비리추방을 위한 국민운동본부 | 2011 | 민생희망본부 |
제주해군기지 전국대책회의 | 2011 | 평화군축센터 |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치개혁특별위원회 | 2011 | 의정감시센터 |
국민기초생활보장법개정공동행동 | 2010 | 사회복지위원회 |
친환경무상급식풀뿌리국민연대 | 2010 | 민생희망본부 |
ADEX 저항행동 | 2010 | 평화군축센터 |
국제인권네트워크 | 2009 | 정책기획국 |
사형제 폐지 종교·인권·시민단체 연석회의 | 2007 | 사법감시센터 |
오랜기간 휴면상태인 기구 (2023.1. 기준, 20개)
활동 종료 등으로 해소/탈퇴가 확인된 연대기구 (2023.1. 기준, 20개)
- 9월 기후정의행진 조직위원회
- 효순미선 20주기 6.11 평화대회 준비위원회
- 다른 세상을 만드는 4.30 서울대회 조직위원회
- 2022 탈핵대선연대
- 2022 지방선거 주거권네트워크
- 불평등 끝장! 2022 대선유권자네트워크(불평등끝장넷)
- 집걱정없는 서울만들기 선거네트워크
- 철인3종 선수 사망사건 진상조사 및 책임자 처벌, 스포츠 구조개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코로나19-사회경제 위기 대응 시민사회대책위원회
- 민의 평화협정(People’s Korea Peace Treaty) 준비위원회
- 선거개혁 청년·청소년행동
- 한국영화 반독과점 공동대책위원회 준비모임
- 라오스 세피안∙세남노이 댐 사고 대응 한국시민사회TF
- 미투운동과 함께하는 시민행동
-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 준비위
- 노인장기요양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 한일 ‘위안부’합의 무효화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
-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투쟁본부
-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운동본부
국제연대 (9개)
- GPPAC (Global Partnership for Prevention of the Armed Conflict, 무장 갈등 예방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 IPB (International Peace Bureau, 국제평화국)
- ICAN (International Campaign to Abolish Nuclear Weapons, 핵무기철폐국제캠페인)
- FORUM-ASIA (Asian Forum for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포럼아시아)
- ROA (Reality of Aid, 국제원조네트워크)
- ANFREL (Asian Network for Free Election, 아시아자유선거네트워크)
- CIVICUS (World Alliance for Citizen Participation, 세계시민단체연합)
- FIDH (International Federation for Human Rights, 국제인권연맹)
- SDMA (Solidarity for Democratic Movement in Asia, 아시아민주화운동연대)
2004년 참여연대는 UN ECOSOC(경제사회이사회) 협의지위(special consultative status)를 취득했습니다
참여연대는 2004년 획득한 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특별협의지위(special consultative status)를 통해 한국의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를 국제 인권 메커니즘을 활용해 실현하는 노력을 해왔습니다. 2008년 유엔 국가별 인권상황정기검토(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한국 심의를 계기로 한국 시민단체 공동보고서를 제출하고 이후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규약위원회 현지 로비 등의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특히 2008년 정권 교체 이후 한국의 인권과 민주주의 후퇴 상황을 urgent appeal과 individual complaint 등을 통해 유엔 인권이사회 특별절차에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2009년에 다른 시민단체들과 공동으로 표현의 자유에 관한 특별보고관 초청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하였고 그 결과 2010년 유엔 표현의 자유에 관한 특별보고관이 공식 방한해 한국의 표현의 자유 실태를 조사, 유엔인권이사회에서 공식 발표(2011)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습니다. 또한 2013년에는 UPR 권고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보고서를 발행하는 등 한국정부에게 내려진 인권 권고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활동을 지속했으며 2013년 유엔 인권옹호자 특별보고관 공식방한 대응 사무국으로 한국 인권시민사회단체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의 파트너쉽을 강화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