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PD in English 미분류 2011-04-13   88

Proposals to the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in commemoration of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Cheonan Sinking


Proposals to the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in commemoration of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Cheonan Sinking


– At the press conference for representatives of civil society



It has been a year since the South Korean patrol ship Cheonan sank. We want to give thanks and remember the 46 sailors who sacrificed their precious lives, Warrant officer Han Joon Ho, who valiantly gave up his life in the rescue effort, and the crew of the ill-fated ship Keumyang 98. We also offer our deepest sympathy to the bereaved families.

 
천안함 침몰 1주기를 맞아, 이 사건으로 유명을 달리하신 46명의 천안함 승조원들과 구조활동 과정에서 희생된 한주호 준위, 그리고 98금양호 선원들의 명복을 빕니다. 그리고 그 유가족들께도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The sinking of the Cheonan came as a great shock to us all.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we have still not yet thoroughly clarified the truth surrounding the incident. The government has been rather problematic in its handling of this issue; investigative authorities frequently offered ambiguous, inconsistent statements, while information about the investigation was tightly controlled. As a result, the Cheonan sinking has become an extremely controversial incident with the government facing criticism that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used to influence the next election. Even after the government released its findings and results, a large number of scientific rebuttals have continued – leaving much room for continuing questions and skepticism. And it’s not just North Korea, allegedly the main culprit, who is raising questions. Neighboring countries are still uncertain about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s investigation as well. In addition, working-level military talk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recently broken down. The bone of contention that led to the breakdown was the South’s insistence that North Korea admit to its attack and apologize for the Cheonan incident, as well as its artillery firing on Yeonpyeong Island.

천안함 사건은 유족은 물론 국민 모두에게 큰 충격이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천안함 사건의 진실은 아직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정부는 잦은 말 바꾸기와 과도한 정보통제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고, 선거 등에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습니다. 정부가 밝힌 조사결과는 과학자들의 반론에 부딪히거나 사실관계를 둘러싼 다양한 의문과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원인제공자로 지목된 북한 외에 주변국들도 여전히 의문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결렬된 남북군사회담 실무회의에서는 연평도 피격사건과 더불어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측의 시인과 사과 문제가 쟁점이 되기도 했습니다.


The Cheonan incident still causes a great deal of conflict in our society, the whole Korean peninsul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verall. Therefore,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Cheonan sinking, we think the time is ripe to call for the following proposals to the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1. The government’s currently standing preconditions for inter-Korean conversation should be modified. The government should end its insistence that North Korea acknowledge its fault and apologize first before holding bilateral military talks.


When thinking about people’s longstanding wish for reunification and the constant, massive military threat from both sides, we should strengthen efforts to nurture and promote peace on the peninsula. Currently, the two Koreas as well as neighboring nations continue to express dissenting or mixed opinions about the sinking of the Cheonan. Thus, our strict precondition – “Apology first, talk later” – may be a serious stumbling block to inter-Korean dialogue. In the worst case, our pressure for an apology may be misinterpreted to mean that South Korea wants to avoid communicating with the North. If both sides are willing to meet halfway, it will be possible to reopen bilateral military talks, draw out North Korea’s apology on the Yeonpyeong Island crisis, ban the recurrence of such disasters, and further discuss measures to ease military tensions on the peninsula. We should have that conversation. However, it is sad to see that our strict position of requiring an apology from the North is threatening to undermine necessary dialogue even at the working level. We should keep open any and every chance to talk with North Korea.
천안함 침몰 1주기를 맞는 지금, 이 사건을 둘러싼 논란은 여전히 우리사회 내부는 물론, 한반도와 국제사회에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합니다.
1. 정부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북 측의 시인과 사과를 남북군사회담의 전제조건으로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통일로 나아가야 하는 민족의 비원과 아울러 대규모 군사력이 대치하고 있는 항상적 위기 속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을 고려할 때, 평화의 유지와 확대를 위한 노력은 어떤 이유로도 중단되어서는 안될 과제입니다. 무엇보다도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는 남북간 그리고 주변국간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시인과 사과를 남북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삼는 것은 남북대화에 심각한 장애를 조성할 수 있고, 심지어 남한 측이 대화를 기피한다는 오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남북군사회담을 개최하여 연평도 피격 사건에 대한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남북간 군사긴장 완화 방안을 두루 논의하는 것은 양측이 전향적인 자세를 취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하고 필요한 일입니다. 하지만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남북대화의 기회가 천안함 사건에 대한 시인과 사과를 전제로 하는 입장 때문에 실무단계에서 좌초되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1. The government must better explain and verify the causes of the Cheonan’s sinking in a more convincing manner.


When compared to similar incidents in other countries, the investigation of this tragedy near the border of the two Koreas was rudimentary and ended after only a short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to clear up questions surrounding the sinking by addressing dissenting scientific views and providing trustworthy fact-checking and verification. In fact, North and South Korea and neighboring states are having major challenges narrowing down their differences of opinion over the Cheonan affair. Therefore, as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 for the public,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verify the truth through a parliamentary investigation. Also, the government has to improve credibility of its investigative findings by cooperating with relevan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by working through an international inspection panel.

1. 천안함 침몰의 원인에 대해 납득할만한 추가조사와 검증이 필요합니다.
다른 나라의 유사한 사례를 염두에 둘 때, 천안함 진상조사 작업은 지나치게 단기간 이루어졌고 또한 부실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과학자들이 제기하는 반론과 사실관계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신뢰할만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이를 둘러싼 남북간, 주변국간 논란과 이견도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국회가 국민을 대표하여 국정조사 등의 방법으로 검증에 나서야 합니다. 더불어 정부 조사결과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국가 및 북한의 참여까지 허용하는 국제적인 검증작업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2.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transparent in revealing its investigative information on the Cheonan sinking.


The government’s excessive information control on this issue has only aggravated public distrust. Furthermore, in documents sent to United Nations, the three member states of Neutral Nations Armistice Supervisory Commission (NNASC) pointed out that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have not appeared to fully disclose important information. The government has to revise its NDA (Non-Disclosur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releas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being censored. Also, the government should immediately disclose critical information on the basic facts behind the Cheonan crisis that has been requested by many citizens.


1. 정부는 천안함 사건 관련 1차 자료와 조사결과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이 사건 관련 정보에 대한 지나친 통제가 정부 조사결과에 대한 불신을 가중시켜왔습니다. 군사정전위원회 중립국감독위원회에 참여한 3개 중립국 대표들도 유엔에 회람된 문서를 통해 한미당국의 소극적인 정보공개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미국 등과 체결한 정보비공개 양해각서를 개정하여 정보통제를 완화해야 합니다. 시민들이 청구한 기초사실관계에 대한 정보 역시 즉각 공개해야 할 것입니다.



3.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guaranteed regarding the Cheonan incident.


The government must stop its interrogation and punishment of citizens and civil groups who raise valid questions about the results of the state investigation. The government should stop using its power to characterize these dissenting views as subversive acts which are causing a serious national divide and threatening national security. In addition, journalists who were unfairly punished for reporting reasonable questions about the Cheonan incident should be exonerated and protected from further abuses of power. To do otherwise is a direct challenge to the core principle of democracy in the Republic of Korea.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preserved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Cheonan matter based on public consensus.


1. 천안함 사건에 대한 의사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정부의 천안함 사건 조사결과에 합리적인 의문을 제기했던 시민들과 사회단체에 대한 무리한 수사와 처벌은 중단되어야 하며, 이들이 마치 국론분열을 야기하여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 이적행위를 하고 있는 것처럼 묘사하여 공권력을 동원해 홍보하는 것 역시 자제되어야 합니다. 또한 천안함 관련하여 제기되는 합리적 의문점들을 탐사보도했던 언론인들에 대한 불이익조치는 철회되어야 하며, 이들에 대한 부당한 압력행사는 근절되어야 합니다. 이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고 진실의 토대 위에서 국민의 합의로 국정을 운영하는 것을 원리로 하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의 원칙에 대한 정면도전입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