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대법원이 오늘(10/29)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징역 17년과 벌금 130억원을 선고했습니다. 곧 재수감될 예정입니다. 참여연대가 2017년 고발한 이후 3년...
참여연대는 감찰반의 운영규정을 정보공개청구했고 청와대는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이 예상된다며 비공개를 결정했습니다. 공정한 수사를 위해 <...
이 전 대통령의 삼성 뇌물 수수 인정한 판결, 뇌물 제공한 삼성 수사해야 다스 실소유주 확인 등 이명박 전 대통령 항소심 선고에 대한 입장 어제(2...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제기된 의혹 진상규명 필요 권력 핵심부에 제기된 의혹으로 엄중한 사안 검찰 수사와 별개로 청와대의 자체 진상조사와 설명 필...
2017년 12월 참여연대의 고발은 "다스는 MB 겁니다"라는 법원의 결론을 끌어냈습니다. 권력을 감시하는 시민의 힘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내가 참여...
징역 25년, 헌정질서 훼손한 전직 대통령에 대한 준엄한 심판 삼성의 경영권 승계 관련 묵시적 청탁 인정은 상식에 부합 헌정질서 바로세우는 대법원...
국정원 특활비 대통령 상납은 중대 범죄 유죄 선고는 당연한 결과 증빙 필요없는 국정원 특활비 상납받아 비자금으로 유용 정권의 부도덕성이 적나...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 1년 평가> 이슈리포트 발표 100대 국정과제 중 권력기관 개혁과 반부패, 사회경제 분야, 한반도 평화 관련 30개 과제에...
[대토론회] 문재인 정부 1년 평가토론회 문재인 정부,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는가? 문재인 정부 1년 ▲남북관계 복원, 한반도 평화정착 위한 토대 ...
검찰 앞에 선 이명박 전대통령, 인과응보다 전직 대통령의 수 많은 범죄 혐의에 참담 법앞에 평등 예외없어, 철저한 수사와 엄정한 처벌 이어져야 >>...
유죄 선고에도 불구하고 아쉬움 남은 우병우 1심 판결 전보 인사 조치 요구를 부당하지 않다고 본 부분 등 바로잡혀야 어제(2/23) 서울중앙지방법원 ...
헌법을 훼손한 국정농단 사건, 관용이 있어선 안된다 ‘삼성 승계작업 청탁 없었다’는 부분은 납득하기 어려워 오늘(2/13) 서울중앙지방법...
이명박 전 대통령은 정치보복 운운 말고 자진해서 검찰 수사에 임하라 오늘 이명박 전 대통령이 최근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수 관련한 검찰 수사에 대...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발표에 대한 논평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청사진, 실천이 중요하다 국정과제와 추진방안 대체로 ...
‘나라다운 나라, 이렇게 만들자’ 총 9대 분야 90개 입법∙정책 개혁과제 제안 참여연대는 6월 1일(목) 13시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
새 정부의 신속한 개혁조치 적극 환영한다 국정원과 청와대 공작정치 조사, 사드 재검토 등 계속 이어져야 지난 10일 임기를 시작한 문재인 대통령과 ...
전문가 좌담회 "국민들에게 삶의 질 나아질 것이란 희망 못 줘" "성공한 대통령論에 갇히지 말고 약속 준수를" <한국일보 기사 바로 가기> <정리=한...
■ 국회·정당 개혁 불체포특권 폐지 등 의원 특권 내려놓기는 개헌 없이 사실상 불가능 예결위 상설화 공약은 여야 이견 크지 않아 급물살 ...
■ 통일·외교·안보 '대북 억지력에 집중,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비핵화는 아직.' ...
[한국일보·참여연대 공동기획] 박근혜정부 공약 평가 ■ 정부조직 개혁 특별감찰관제 흐지부지 김영란법 원안통과 미지수 '행정 투명' 정부 3.0은 입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