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후퇴하는 동북아 인권, 연대로 막자" 점차 커지는 '동북아 연대'의 필요성 현재 동남아시아 인권단체들 사이에서는 아세안 (동남아 국가연합, ASEAN)...
My Story: 인도네시아 활동가 이야기 내 이름은 리아, 2008년 3월부터 5.18 기념재단의 국제 인턴으로서 광주에서 9개월을 보냈다. 처음 518 재단에 갔...
필리핀과 ‘난사군도’(Spratly) 문제 김동엽 (부산외대 동남아지역원,참여연대 국제연대위원회 실행위원 ) 최근 필리핀 서해, 즉 난사군도 인근에서 조...
필리핀, 민다나오에 평화는 오는가? 민다나오는 필리핀군도 중에서 두 번째로 크며 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역사적으로 스페인이 필리핀을 식민지화하...
필리핀 소비산업과 해외근로자 송출 김동엽 (부산외대 동남아지역원, 국제연대위원회 실행위원) 필자가 필리핀을 처음 방문한 것은 1994년이다. 그 후...
테러와의 전쟁 10년과 인도네시아의 민주주의 9.11 테러 발생이후 지구적 차원에서 테러와의 전쟁이 전개된 지 10년이 다 되어간다. 고강도와 저강도 ...
태국의 조기총선과 정국전망 태국에서는 금년 5월 첫째 주에 의회가 해산된 후 6-7월경 조기총선이 개최될 예정이다. 현재 선거법 수정안이 의회에 상...
[간담회후기] 태국 민주주의 위기로부터 아시아는 무엇을 배울 것 인가? -왜 태국에서는 시위와 쿠데타가 반복되는가? 5월 13일을 기점으로 태국 정부...
오랜만에 말레이시아 정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7월 9일 말레이시아 시민 수만 명이 민주주의와 선거개혁을 요구하는 집회를 개최하면서 혼란이 ...
탁신은 물러나고 민주당이 집권했지만… ▲ 방콕의 수완나품 국제공항을 점거한 채 시위를 벌이던 국민민주주의연대(PAD) 소속 반정부 시위대원들이 지난...
의사표현의 자유에 관한 유엔특별보고관 초청 국제심포지엄 “사이버상 표현의 자유: 동아시아지역의 실태와 과제” 참가 후기 70년대 말, 프랑스의 학...
5.18기념재단은 2000년에 광주인권상 시상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국제연대를 추진한지 10년 만에 국내에서 가장 포괄적인 국제연대 프로그램을 갖춘 단...
인도네시아의 메이데이 자카르타의 2011년 메이데이, 인도네시아 노동운동가 Fransiskus X Supiarso가 촬영 올해도 5월 1일에 인도네시아에서 메이데이...
자카르타에서 관전한 대통령 선거 지난 7월 8일, 인도네시아에서 대통령 선거가 평화적으로 수행되었다. 독재자 수하르토가 1998년에 물러나면서 시작...
인도네시아 특사단, 국가정보원, 그리고 ‘신아시아외교’ 인도네시아 대통령 특사단 숙소 잠입사건의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관련설로 인하여 최근에 국회...
인도네시아 인권의 역사적 시험대, 무니르 독살 형사소송의 ‘마지막 비상구’ 전 인도네시아 국가정보원(BNI) 부원장 묵디 뿌르워쁘란조노(...
인도네시아 노동조합으로부터 온 편지 이명박 대통령 한인공장 방문 유감 지난 3월 6일부터 8일까지 이명박 대통령 부부가 인도네시아를 국빈방문한지 ...
인도네시아 노동운동가 파우지 압둘라(Fauzi Abdullah)를 추모하며 파우지 압둘라(Fauzi Abdullah) 인도네시아의 독보적인 노동운동가 파우지 압둘라(F...
이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아시아 사람들 거리를 걷거나 지하철을 타다 보면 예전보다 자주 아시아 이주자들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도 느낄 ...
찬드라 무자파 박사 강연회 7월 20일 성공회대학교 강의실에서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저명한 무슬림 지식인 중 학명인 찬드라 무자파 박사를 모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