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인권/노동 관련 단체, 한국인 포함 노동운동가 연행에 항의 - 한국공동성명서 홍콩 정부에 발송 1. 바른 언론을 위해 항상 애쓰시는 귀사의 노고에 경...
2020년 6월 30일 오전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위원 162명 전원은 홍콩 국가보안법(이하 홍콩보안법)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습니다....
지난 4월 18일, 홍콩 경찰은 홍콩의 주요 민주인사들을 불법 시위∙행진을 조직하고 참여했다는 이유로 무더기로 체포했습니다. 홍콩 경찰은 자의적 체...
지난 5월 28일(목),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통과시켰습니다. 그 결과 홍콩 기본법 23조 부칙에 추가되는 내용은 “홍콩특별행정구...
필리핀 정치살해와 관련된 필리핀 군부의 개입 국제적인 인권문제 당사자인 필리핀 군부에 대한 차량지원의 부당성 지적 최근 필리핀에서 지속되고 있...
한국정부와 아세안은 버마정부의 무력시위진압을 강력히 규탄하고 버마의 민주화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실행할 것을 촉구한다 버마의 평화적인 민주...
참여연대, 국제민주연대, 민주노총,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을 비롯한 15개 한국시민사회단체들은 올해 8월 29일부터 9월 5일까지 인도 현지에서 포스코 ...
한국기업의 무분별한 버마가스개발에 반대한다! 슈에가스 반대 국제공동행동의 날을 맞이하여 오늘 2011년 11월 30일에 전 세계 곳곳에서 대우인터내...
- 대우 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의 대책 마련과 한국 정부의 개입을 촉구하며 - '인권과 평화를 위한 국제민주연대'를 비롯한 10개 시민사회노동단체...
한국 정부는 인권옹호자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 포럼아시아(FORUM-ASIA)는 아시아의 인권과 개발을 위해 활동하는 인권단체로서 아시아 15개국 40개 멤...
ANNI(인권위원회에 관한 아시아 시민단체네트워크)가 아시아 국가의 인권위원회 활동과 설립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보고서 가운데 한국의 ...
[기억과 전망] 2004년 겨울호 제목: 한국 민주주의와 인권외교 : 버마군사정부에 대한 외교적 제재의 타당성 글쓴이: 박은홍(성공회대 아시아NGO정보센...
7월 27일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에서 (가)성·인종 차별 대책위원회 결성 기자회견이 열렸다. 미디어법이 직권상정되어 처리된 이후 정신없는 정국에서 ...
최근 필리핀에서는 아로요 정부가 집권한 2001년부터 일반 시민, 인권활동가들뿐 아니라 진보진영에서 일하는 활동가들에 대한 살인과 실종이 증가하고...
2001년 필리핀 아로요 정권이 시작된 후 현재까지 필리핀 전 지역에서는 인권 활동가, 정당 활동가, 노동자, 농민, 학생, 종교인 등에 대해 무차별적...
지난 7월 3일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은 반 테러 법안(Anti-Terrorism Act of 2020)에 서명하였습니다. 2007년에 만들어진 보안법(2007 Human Securit...
- 필리핀 피플파워 21주년에 즈음하여 - 최근 2007년 1월까지 필리핀 전 지역에서는 인권 활동가, 정당 활동가, 노동자, 농민, 학생, 종교인 등에 대해...
필리핀 선주민을 겨냥한 집단학살에 대한 한국 시민사회단체 공동성명 #JusticeforTumandokMassacre! #StoptheKillingsinthePhilippines! 지난 12월 ...
국제민주연대, 민변 국제연대위원회, 민주노총, 한국진보연대 및 참여연대등 시민사회노동단체는 2월 19일(화) 낮 11시, 포스코 본사 앞에서 " 포스코...
5월 25일 국제민주연대, 참여연대등 시민사회단체들은 강남 포스코 본사앞에서 인도 오리사주 주민들의 유혈사태에 대해 포스코가 사태를 파악하고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