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05년 09월 2005-09-01   1174

햄릿은 과연 사색형 인간인가?

그렇게 말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결단을 끝없이 미루는, 행동이 결여된 사색형 인간의 대명사로 햄릿을 든다. 물론 그렇게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에 있다.

왜 햄릿이 사색형 인간인가? 십중팔구는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기 때문이다. 아니면, 유명한 사람이 그렇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자기도 그렇게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햄릿의 표현을 빌리자면, “이것이 문제다(that is the question)”.

우리는 햄릿의 표현대로 이 문제에 대해 고민해보아야 한다. 우리가 옳다고 주장하는 것 중 어느 정도가 자신의 고민을 통하여 내린 결론인가. 진지한 고민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떤 상황에 대하여 다른 사람의 의견보다는 자기 스스로 결론을 내려 주장하는 경우가 얼마나 되는가? 작품을 읽어보고, 햄릿은 남들이 이야기하는 대로 정말 전형적인 사색형 인간이라고 결론을 내린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햄릿을 사색형 인간의 대명사로 만든 것은 19세기 낭만주의의 영향이며 동시에 소설이 주도적인 문학 장르가 된데 기인한다.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낭만주의의 경향과 주인공의 성격을 중심으로 소설 작품을 이해하는 문학평론의 경향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그대로 적용된 것이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면 문학을 보는 관점도 바뀌는 것이다. 햄릿을 사색형 인간이라고 여전히 주장하는 사람들은 문학에 대한 주관이 뚜렷하거나 19세기의 영향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사람, 둘 중 하나일 것이다.

햄릿이 행동하는 인간이라는 증거를 한번 이야기해보자. 햄릿은 연극을 즐기고 칼싸움 연습을 절대 게을리 하지 않으며 유학을 한 30세의 왕자이다. 햄릿이 유랑극단을 맞이하여 연극에 대하여 말하는 것을 들어보면 그가 매우 활기찬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 햄릿은 칼싸움을 아주 잘한다. 오필리어의 오빠 레어티스는 매우 거친 인물로 묘사된다. 하지만 이렇게 거친 레어티스도 칼싸움에서 햄릿을 이길 수 없다고 판단한 삼촌 클로디어스는 칼에 독약을 바르는 야비한 술수를 쓴다. 실제로 칼싸움에서 햄릿은 압도적으로 우세하지만 독약 때문에 죽고 만다.

이처럼 햄릿이 나약한 사색형 인간이 아니라는 증거가 작품에 더 많이 나온다. 그런데도 여전히 햄릿은 행동과는 거리가 먼 사색형 인간이 되어있다. 그만큼 오랜 세월을 통해 세뇌되어온 문화적인 유산을 벗어나기가 어려운 것이다.

또 햄릿을 한가지 인간형으로 완전히 규정하려는 시도는 더 위험한 것이다. 16~17세기 연극에서 한가지 성격을 끝까지 유지하는 인물은 없다. 인물의 성격으로 연극을 만든 것이 아니고, 이야기의 전개에 인물의 성격이 종속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주장을 설명할 수 있다면 그것은 존중되어야 한다.

남의 이야기를 나의 말인 양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주장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 신문기사의 내용이나 정부, 정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자신만의 필터로 걸러 볼 필요가 있다. 자기 나름의 시각으로 보는 것이다.

심지어 참여연대의 주장도 비판적으로 걸러 볼 필요가 있다. 그것이 사색형 인간(?) 햄릿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교훈일 것이다.

진영종 성공회대 교수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