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8년 01-02월 2018-01-03   1243

[만남] 노년의 재발견 – 정헌원 회원

노년의 재발견

정헌원 회원

 

글. 이한나 미디어홍보팀 간사

사진. 이영미 미디어홍보팀 간사

 

20171208_만남 (3)

 

어느 금요일. 참여연대 회의실에 오전부터 낯선 이들이 모여 있었다. 4~50대 혹은 그 이상, 나이를 쉬이 가늠하기 어려운 얼굴과 밝은 표정들. 밤사이 냉기가 채 가시지도 않은 사무실에서 유일하게 그 공간만이 온화하고 정겨운 공기를 내뿜는다. 그 속에 잠시 후 내가 만나야 할 사람이 있었다. 

 

그 모임의 이름은 ‘새로운 노년을 위한 배움의 공동체 서클’이라고 했다. 내가 가닿으려면 아직 한참이나 남은 그 이름 ‘노년’. 그것도 ‘새로운 노년’이라니, 전혀 감을 잡지 못한 채 그를 만나러 카페통인으로 향했다. 4~50대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그는 앞자리 수 7을 바라보는 명실상부 ‘노년’이었다. 이제 겨우 앞자리 수 3을 넘어온 내가 과연 그와 어떤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까. 일곱 번이나 앞자리가 바뀌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물색없이 그에게 나이 얘기부터 꺼냈다. 

 

“나이 먹는 게 저한테는 별로 큰 의미 없는 것 같아요. 사는 동안 내가 가고자 하는 그런 방향으로 살면 족하지. 그래서 저는 칠십 되면서 머리 염색을 안 하기로 했어요. 칠십 살이면 머리가 하얘지는 게 당연한 거잖아요.” 

그렇게 말하면서 그는 겸연쩍은 듯 머리를 매만졌다. 희끗희끗한 머리카락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워 보였다. 그 자연스러움을 얻기까지 그는 어떤 삶을 걸어왔을까.

 

두 번의 터닝포인트 

조숙했던 사춘기 시절, 우연히 배운 자동차정비기술이 평생직업이 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자동차정비라는 직업 자체가 워낙 험했고 관리자가 되고부터는 사람들을 만나야 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스트레스도 늘어났다. 그러다가 인생의 큰 시련이 찾아왔다. 

“40대 전후로 한 번의 큰 시련이 있었어요. 사업하면서 힘든 과정을 겪다 보니까 정신적으로도 많이 부담이 됐고 그러다 보니 눈이 고장 난 거죠. 눈이 잘 안 보이니까 모든 게 영향을 받게 돼요. 그렇게 2년 가까이 시련을 겪으면서 회사에서도 조금씩 내 시간을 가지려고 노력하게 됐고요. 그러던 중 산업연수원에서 2박 3일간 기업체 중간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받았는데 그중에 심리학 강의가 있었어요. 시련을 겪는 와중에 강의를 들으니까 더 강하게 와 닿았던 거 같아요. 그때 나를 엿볼 수 있었죠. 내가 얼마나 생을 무지하게 살고 있는지…. 처음으로 부끄러워진 거죠. 삶의 정신적 전환기, ‘터닝포인트’라고 해야 할까요.”

 

백내장 수술을 받고 시련이 지나가자 감동도 점차 잊히고 희미해졌다. 게다가 당시 막내의 나이가 겨우 8살, 아직 가장으로서 해야 할 일도 많았다. 살다 보니까 삶은 다시 척박해졌고, 욕심이 생기고, 돈도 더 벌고 싶어졌다. 그게 가장으로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은 길이라고 믿었다. 그렇게 20년이 흘렀을 때였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죠.. 퇴근길에 운전하면서 라디오 주파수를 돌리는데 너무 아름다운 목소리가 들리는 거예요. 정목스님의 <마음으로 듣는 음악>이었죠. ‘아, 이런 목소리도 있구나’ 책도 읽어주고 정목스님 만나는 게 너무 즐겁고 좋은 거예요. 저녁 7시만 되면 그게 기다려지더라고요. 그러면서 내가 40대에 느꼈던 감동들이 되살아나는 걸 느꼈어요. 그래서 ‘아, 내 삶이 이렇게 끝나서는 안 되겠다’ 그런 생각이 들었죠.” 

 

하고 싶은 일을 다 해보고 살리라 마음먹은 그는 곧장 퇴사를 결심했다. 막내도 다 큰 성인이 되었기에 걱정은 덜었다. 

“회사를 그만두고도 한 5시가 되면 눈이 떠지더라고요. 아침에 한겨레신문을 두 시간 읽으면 그날의 중요한 것은 다 보거든요. 신문 읽고, 산에도 다니고 그러다가 서울도서관에도 가보게 됐어요. 정말 잘해놨더라고요. 지하에 시민청이 있잖아요. 강의를 많이 하더라고요. 전부 무료니까 청강도 하고 자연스럽게 다니게 됐죠. 항상 지적 갈증을 느끼며 살아왔으니까요.”

 

그것은 40여 년 만에 처음 맛보는 즐거움이었다. 그동안 쌓인 갈증이 한 번에 해소되는 것 같았다. 그는 뒤이어 서울시청과 중랑구 평생학습관에서 글쓰기 강좌와 지역평생교육활동가 양성과정을 수료했고 비슷한 시기, 운명같이 ‘그 모임’을 만났다.

“참 좋은 세상이다 싶었죠. 그런 거에 흠뻑 빠져 지내던 어느 날 『참여사회』에서 봤나,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 하는 ‘새로운 노년을 위한 배움의 공동체’ 모집 공고를 봤어요. 한번 가봐야겠구나, 그렇게 해서 공동체에 참여하게 됐어요.”

 

나의 인생사를 돌아보다 

2015~2016년 봄, 아카데미 느티나무가 운영한 <푸른시니어학교> 1~3기 과정이 2016년 가을부터는 참여자들의 자발적 서클로 4~6기가 이어졌다. 노년의 부모와 어떻게 관계 맺으며 살아갈 것인가 고민하는 자녀, 노년의 삶과 죽음을 공부하는 연구자, 새로운 노인의 삶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은 사회복지사, 상담치유활동가 그리고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인 이 모임에서 그는 원년멤버이자 가장 든든한 버팀목으로 함께해왔다. 그렇게 형성된 작은 관계망이 지난 10월, 또 하나의 씨앗을 싹틔웠다. 바로 이름도 거창한 ‘인생사 전시’. 

“정애자 선생님이 마침 이사를 하신다고 해서 댁에 가서 짐 정리를 함께 했어요. 짐이 너무 많은데 가져갈 수도 버릴 수도 없고 이런 얘기를 주고받다가 주은경 원장님이 전시를 한번 해보자고 제안을 해주셨죠. 정애자 선생님의 인생사뿐 아니라 각자의 삶도 한번 정리를 해보면 좋겠다, 그렇게 인생사 전시를 하게 됐어요. ”

 

그는 글쓰기 강좌에서 배운 것을 토대로 직접 여러 편의 글과 사진으로 인생사를 정리했다. 한 번에 정리하기 어려운 것들은 직접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조금씩 글을 쓰고 콘텐츠를 쌓았다. 

“부끄럽게도 저에게는 어떤 전시회에 대한 지식이나 정보가 거의 없었어요. 전시는 전문가나 유명한 사람들이나 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무모할 정도로 힘들고 어렵게 준비하는 과정을 보면서 저도 새롭게 보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제 삶의 기록을 찾아보면서 알게 된 거죠. 인생사 전시라는 게 아프고 슬픈 자기 고백이고, 하나의 자화상이고 자서전이구나. 언감생심 배워가는 마음으로 작품이라고 할 것도 없는 내 삶의 기록을 전시하는 것에 용기를 내게 된 거죠.”

 

30591769591_c6bcd75aee_z

아카데미느티나무에서 열린 배움의 공동체 서클 ‘새로운 노년 교육을 위하여’ 

 

인생사 (2)

2017년 10월에 열린 ‘나의 인생사 전시’

 

작은 관계망이 싹틔운 씨앗

“공동체 모임 자체가 우리 사회가 갖추어야 할 하나의 작은 관계망이에요. 그래서 꼭 공부 이런 것보다 서로 소통하고 관계 맺고 견학 다니고, 그런 것들이 너무 좋으니까 계속 모이고 참여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나만 이렇게 행복해도 되나, 다른 사람들한테도 좀 나누고 싶고 알려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그는 작은 관계망에서 멈추지 않고 씨앗을 가능한 한 더 멀리 퍼뜨리고 싶었다. 지난 40년간 살아온 망우동 지역에서부터 그 변화를 이끌어내 보자고 생각했다. 이번에도 생각에 멈추지 않고 바로 실행에 옮겼다. 가장 먼저 아파트 단지에 직접 꼬리표를 잘라서 모집 공고를 붙였다. 그러자 사람들이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처음엔 두세 사람 모아서 공부모임 하나 만들어보자는 심정이었어요. 원래 경로당이 있었는데 한 3~4년 전인가 구성원들 간에 싸움이 나서 폐쇄됐었는데 시설이 굉장히 좋거든요. 노인회관이 있고 그 안에 독서실도 있고요. 그걸 새로 해보자 생각한 거죠. 공간을 재구성해서 노인들이 많이 오도록 해보자, 그래서 아파트 관리단에 들어가서 설득하고 제안해서 만들게 됐죠. 그러다가 젊은 활동가의 도움을 받아서 이웃만들기지원사업에 응모했죠. 거기서 받은 100만 원으로 노인회 구성도 새로 하고, 읽을 만한 책도 갖다 놓게 됐어요. 다들 굉장히 좋아해요. 모르는 사람들끼리 모여서 서로 친구가 되고 이름도 알아가니까요.”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아파트 단지 내 경로당을 재건한 지 벌써 1년째. 얼마 전부터는 ‘경로당’이라는 이름 대신 ‘문화관’으로 바꾸어 부르고 있다. 노·장년 간 관계망 형성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직은 단지 내 주민들끼리 친목도모나 쉼터 역할을 하고 있지만, 새해에 그가 꼭 이루고 싶은 바람이 하나 있다고 했다. 

“새해엔 문화관이 좀 더 질적으로, 내용적으로 향상되기를 바라요. 그 안에서 좀 다른 것들이 꿈틀거리면 좋겠어요. 우리가 이대로 살면 안 된다, 하는 작은 불씨가 생겨나서 삶의 하나의 작은 모델이라도 되어줬으면 하는 욕심이 있습니다.” 

 

‘새로운 노년’의 의미 

논어의 첫 구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그중에서도 ‘습(習)’은 배우는 것을 몸소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라고 했던가. 이제야 알겠다. ‘새로운 노년’이라는 것은 배움을 실천하는 데서 온다는 것을. 나는 마지막으로 그에게 물었다. ‘평생 배워야 한다’는 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저는 그게 하나의 인생철학이기도 해요. 살면서 세상에 교육이 아닌 게 없죠. 특히 노년에게 교육은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대부분 노년들이 자기가 지금까지 보고 듣고 느낀 대로만 세상을 평가하기 때문에 그걸 부술 수 있는 방법은 교육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노인들을 어떻게 교육의 장으로 나오게 할 것인가가 하나의 숙제죠. 100세 시대라고 하면 앞으로 30년을 더 살아야 하는데 노인들이 소외되고 외로워지는 건 뻔하잖아요. 그럴수록 개척하고 떨치고 일어서야죠. 노인이라고 주저앉아서는 안 되고, 의식을 바꿔야지. 세상을 더 보고. 우리 공동체 모임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걸 세상에 통째로 보여주고 싶어요. 내가 사는 모습이 세상에 하나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말이죠.” 

 

한 해를 마무리하는 때, 그와의 만남이 특별히 뜻깊은 것은 나이가 들어도 얼마든지 새로워질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기 때문이다. 좋은 어른은 존재 그대로 나 같은 젊은이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준다. 삶의 본보기가 있다는 것은 얼마나 든든하고 큰 힘이 되는가. 그를 비롯해 수많은 ‘새로운 노년’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이유다. 그의 인생사 전시에 걸려 있던 글 중에 이런 문장을 하나 건져 올린다.

“노년에 이르러 배움의 즐거움이 없었다면 내 인생은 참으로 메마르고 삭막했을 것이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