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8년 10월 2018-10-02   779

[역사] 얀 팔라흐, 프라하로부터의 초대

얀 팔라흐,
프라하로부터의 초대

 

필자가 만든 영화 <1991, 봄>을 프라하에서 상영하고 싶다는 연락을 받았다. 과연 성사될까 싶던 일이 체코 대사관의 후원을 받아 드디어 10월 초로 예정되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프라하였을까?

“49년 전에 체코에도 젊은이들의 연쇄 분신자살이 있었어요. 얀 팔라흐(Jan Palach)라는 대학생이 시작이었는데, 체코에서는 범국민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어요. 내년이면 50주년이 되죠.”

 

참을 수 없는 역사의 가벼움

1989년, 극작가 하벨을 필두로 한 체코 시민들은 ‘벨벳’①이라는 단어에 ‘평화로운’이라는 뜻도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켰다. 한 사람도 피를 흘리지 않고 시민들에 의해 40년 체코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진 사건을 사람들은 ‘벨벳 혁명’이라 불렀다. 이듬 해, 체코 시민들은 그들이 모였던 바츨라프 광장의 한 복판에 그 광장에서 21살의 나이로 숨진 청년 얀 팔라흐의 기념비를 세웠다. 한국에선 노태우 정권의 주도하에 국민이 만든 여소야대 정국을 밀실 합의로 뒤집어버린 3당 합당이 일어났던 바로 그 해였다.

 

얀 팔라흐는 1969년 1월 16일 바츨라프 광장의 국립 박물관 앞에 있는 분수대로부터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자신의 몸에 기름을 부은 뒤 불을 붙였다. 만개할 줄 알았던 프라하의 봄이 소련의 무력 진압으로 허무하게 사그라진 뒤였다. 체코의 경찰들은 자살의 배후를 캐내겠다며 팔라흐가 후송된 병원까지 쫓아왔다. 비밀 분신 자살조가 있었다는 소문 또한 흉흉하게 번져갔다. 

 

다음날 그 자리에서 대규모의 단식투쟁을 비롯한 시민ㆍ학생들의 시위가 이어졌다. 약 한 달 뒤 같은 자리에서 또 한 명의 대학생 얀 자이츠(Jan zajic)가 분신했고, 두 달 뒤 이흘라바에서 에브젠 플로첵(Evzen Plocek)이 팔라흐의 뒤를 따랐다. 프라하의 겨울은 20년 동안 지속됐다. 팔라흐를 담당했던 의사 모세로바(Jaroslava Moserova)는 “그의 죽음은 소련의 점령에 맞서려던 것보다는, 포기했을 뿐만 아니라 굴복해버린 듯한 시민들의 무기력(demoralization)에 맞서는 것이었다.”라는 말을 남겼다. 

 

월간 참여사회 2018년 10월호 (통권 259호)

1969년 소련군의 침공에 저항하며 분신한 얀 팔라흐(왼쪽)와 약 한 달 뒤 그의 뒤를 따라 분신한 얀 자이츠(오른쪽)

 

생존 방식으로서의 애도

새로운 시대가 낡은 시대 앞에서 머뭇거릴 때, 역사는 거침없이 젊은 목숨들을 삼켜버리곤 했다. 한국 민주화 역사의 한복판에도 마산 앞바다에 떠올랐던 16살의 김주열부터, 광주 도청을 끝까지 사수했던 윤상원, 남산 안기부에서 죽어간 박종철, 학교 앞에서 산화했던 이한열, 그밖에도 셀 수 없고 잊을 수 없는 수많은 이름들이 있다. 

 

국내에도 잘 알려진 작품,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얀 팔라흐와 그를 담당했던 의사가 언급한 ‘무기력’이라는 단어를 투과할 때, 역사적 불행 속에서 살아남아 좌절한 인간들의 내면과 관계를 더욱 뚜렷이 드러낸다. 작가 밀란 쿤데라가 ‘단 한 번만 있는 삶’을 강조한 이유, 무엇보다도 주인공 토마시가 공감이 두려워 가벼운 관계에 집착한 이유가 행간에 새로이 채워진다. 

 

얀 팔라흐는 무기력함을 넘어서려는 체코인들의 또 다른 이름이 되었다. 그 마음들이 국경을 넘어 1970년 로마, 1978년 런던, 그리고 1997년 스위스의 베베이에도 얀 팔라흐를 기리는 기념물을 세웠다. 미국의 케이블 TV HBO는 얀 팔라흐의 이야기를 <Burning bush>라는 제목으로 영화화하기도 했다. 체코인들은 이 청년의 죽음을 일회적인 푸닥거리의 풍경에 가두지 않고, 지금도 당시의 슬픈 기억을 끊임없이 재생산하고 있다. 체코의 천문학자 루보 시 코호우텍은 그가 발견한 행성에 얀 팔라흐의 이름을 붙였고, 필자가 글을 쓰고 있는 2018년 9월 20일, 지금도 천여 명의 프라하 관객들은 ‘얀 팔라흐’의 영화가 상영되는 야외극장을 찾고 있다. 

 

‘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말하던 자끄 데리다의 말은, 역으로 애도의 방식이 정체성이 될 수 있음을 방증한다. 프라하에 세워진 그의 기념비는 세로로 곧게 서 있는 대부분의 기념비와는 달리 마치 인간의 모양처럼 굽은 채로 땅 위에 나지막하게 솟은 십자가 모양으로 누워있다. 십자가 왼쪽에는 얀 팔라흐와 얀 자이츠의 이름과 희생된 날짜가 새겨져 있다. 기념비는 사람들이 무심히 스치는 거리에서 그들이 쓰러졌던 자리를 가리키고 있을 뿐이다. 

 

한 인간의 희생을 특정한 정치적 입장에 가두려는 시도, 혹은 그의 선택을 신화화하며 보편적 인간으로부터 분리하려는 시도를 경계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애도의 출발점일 수 있다. 한국의 민주화를 우연한 생존의 역사인 동시에 고요한 애도의 역사로 새롭게 발견하는 것은 역사의 도가니에서 인간 본연에 대한 소중한 질문을 발견하는 일이기도 할 것이다. 

 

월간 참여사회 2018년 10월호 (통권 259호)

프라하 바츨라프 광장에 세워진 얀 팔라흐의 기념비

 

① 체코어 ‘sametov’는 ‘벨벳의’라는 뜻 이외에 ‘평화로운’, ‘비폭력스러운’ 이라는 뜻이 있다. 


글. 권경원 다큐멘터리 <1991, 봄> 감독

<1991, 봄>은 국가의 불의에 저항한 11명의 청춘들과 유서대필, 자살방조라는 사법사상 유일무이의 죄명으로 낙인찍힌 스물일곱 청년 강기훈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오는 10월 5일 프라하 상영에 이어, 10월 31일 전국 개봉을 앞두고 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