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이야기 청년사업 2015-08-09   1664

[16기 후기] ‘청년, 지역에 살으리랏다’ 신촌민회 사무국장 이태영 강연 – 참여연대 청년공익활동가학교

참여연대 16기 청년공익활동가학교는 2015년 7월 6일(월)부터 8월 6일(목)까지 5주 동안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26명의 10~20대 청년친구들이 함께 참여하는데, 이 5주 동안 우리 청년공익활동가학교 친구들은 인권과 참여민주주의, 청년문제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직접행동을 기획하고 진행함으로써 미래의 청년시민운동가로 커나가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후기는 강성준님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
 

* 청년공익활동가학교란?
청년공익활동가학교는 그 동안 방중마다 실시되었던 참여연대 인턴프로그램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청년들의 공익활동을 위한 시민교육과 청년문제 해결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공부하는 배움 공동체 학교입니다. 

 

20150722_청년공익활동가학교16기_청년,지역에살으리랏다_이태영강연(3)

 

대학 사회와 해당 지역에 살아가는 대학생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한 가지 드는 감상이 있었다. 대학생들은 젊음의 한 복판에서 짧게는 4년, 길게는 10년을 대학을 중심에 두고 삶을 영유한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부유한다. 그리고 대학생들은 어떤 공간 위에서 살고 있지만, 스쳐 지나갈 사람이라는 이유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배제되어 살아간다. 뿌리 없이 살아가는 부평초 인생이라는 단어가 새삼 부활한 듯한 느낌마저 가지게 한다. 조직될 수 없다는 것은 곧 요구할 수 있는 힘이 부재한다는 것과 동급이다. 굳이 대학생뿐만 아니라 청년세대, 더 나아가서는 일련의 기성세대마저도 공간에 참여하지 못한 상태로 부유할 수밖에 없는 것이 한국 사회인 것이다. 본인 역시 2014년 모두를 위의 문제를 고민했다. 지역공동체 사업도 열심히 참여해보았고,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많은 공부를 하기도 했었다. 결론은 생각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본인이 느낀 마을 만들기 같은 운동은 ‘동호회’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관심이 있는 사람들만이 참여한다. 주최도, 손님도 절대다수가 ‘그 사람들’이다. 그래서 본인은 위와 같은 잠정 결론을 내리고 그냥 돌아가는 상황을 관찰하기로 했다.

 

20150722_청년공익활동가학교16기_청년,지역에살으리랏다_이태영강연(1)

 

그러던 중 이번 이태영 신촌민회 사무국장의 강연을 듣게 되었다. 굉장히 당연하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전략을 배웠다. 그건 바로 ‘공간’이 아닌 ‘관계’를 뚫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사회의 도시 거주자는 끊임없이 부유한다. 본인의 집이 없으니 돈에 흐름을 타고 이동한다. 즉 공간은 그다지 매력적인 유인동기가 아니다. 게다가 청년세대는 공동체 문화 자체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은 ‘사람’을 통해서 모인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이태영 사무국장은 결국 관계를 통해서 지역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태영 사무국장은 청년 세대가 지역이라는 공간을 바꿀 수 있는 방법 역시 이 부분에서 기인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태영 사무국장의 실험은 조금씩은 나아가고 있는 미진한 실험 중이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 선거에서 서대문 가 선거구에서 10% 미만의 지지율을 얻었다. 아직 관계를 통해서 모인 조직에게 효능감을 선사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비단 이태영 사무국장 뿐 아니라, 은평구 지역사회 네트워크가 지지한 구의원 후보들, 마포의 지역 정당인 마포파티의 후보가 모두 낙선했다. 정당에 들어간다고 해도 이야기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던 마포의 오진아 의원, 관악의 나경채 의원, 구미의 김수민 의원 모두가 떨어졌다. 이태영 의장의 신념과 현실 사이의 간극 역시 아직은 너무나 큰 것일 수도 있다. 강연 내내 본인 역시 생각이 오락가락 했다. 이태영 사무국장이 맞는 것일까, 본인 스스로 잠정 결론을 내린 현실이 맞는 것일까. 물론 이태영 사무국장과 같은 사람들이 늘어날수록, 이들을 지지하는 조직이 늘어날수록 사회는 이태영 사무국장이 가지고 있는 신념에 가까워질 것이다. 본인 역시 이것을 위해 계속 공부와 실천을 병행할 예정이기도 하다. 그래도 생각이 참 복잡해지는 것은 사실이었다.

 

20150722_청년공익활동가학교16기_청년,지역에살으리랏다_이태영강연(2)

 

강연 후 돌아오는 버스에서도 머리가 복잡했다. 강연 내용을 복기하면서 잔상처럼 남는 내용이 있었다. 내용자체가 확실하게 기억이 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태영 사무국장이 부정적 상황 속에서도 공동체를 만들어야 무언가를 바꿀 수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을 했었다. 이 결론이 맞는 말인 듯 하다. 그리고 그것을 배우기 위해서 청년공익활동가 학교를 지원했다. 이번 이태영 사무구장의 강연은 가장 중요했지만 잠시 외면했던 스스로의 신념을 재고, 혹은 제고할 수 있었던 강연이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