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이야기 사무처 2020-09-15   1388

[팩트체크②] 숫자 부풀려진 ‘참여연대 출신’ 보도, 사실은 이렇습니다

 

참여연대가 정부 요직을 독점했다, 공직 통로가 됐다, 권력의 등용문, 현 정부는 ‘참여연대 정부’… 

보수언론들이 자주 쓰는 표현들입니다. 참여연대 일부 전직 임원들이 공직에 참여했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이전과 다를 것 없이 논평과 보고서를 쓰고 기자회견과 캠페인 등을 진행하는 참여연대 활동가들은 이런 류의 기사가 좀 의아합니다. 현재 참여연대 활동가들도 잘 모를 정도로 오래 전 잠시 활동했던 ‘전직’ 임원들의 행보가 ‘현재’ 참여연대의 평가가 되는 것도 부당하고, 이런 보도들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시민들과 회원들에게 보일까 싶어 걱정되기도 합니다. 

 

반복되는 허위, 왜곡 보도들을 참여연대 회원들과 시민들에게 충실히 설명하고 싶어 만든

<참여연대,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해 말하다!> 특별기획 두 번째 영상입니다. 

 

조선일보 왜곡 보도를 조목조목 따져 본 

1995년부터 활동해 언론에 언급되는 분들에 대해 가장 정확히 알고 있는 이태호 참여연대 정책위원장이 언론의 과장, 왜곡 보도들을 조목조목 반박합니다. 

 

 

  • 01:30 ㅇㅇㅇ도 참여연대 출신 인사? 사실은
  • 05:40 언론의 참여연대 출신 부풀리기 보도가 반복되는 이유는
  • 11:10 시민단체의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보수언론의 의도된 오해 

 

OOO도 참여연대? 법조계, 학계 등 각 영역 전문가들의 사회 참여 

 

다들 아시는 것처럼 몇 몇 전직 임원들이 공직에 참여한 것은 사실이며, 참여연대도 이에 대한 경각심과 감시를 늦추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언론이 ‘참여연대 출신’으로 언급한 분들 중 다수는 참여연대가 아닌 법조계, 학계 등의 주요 경력이 있는 각 영역의 전문가들로 참여연대 창립 초기 1~2년 정도 도움을 준 인사들입니다. 조선일보는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20여년 전 단 10개월의 참여연대 자문경력을 누락했다고 의도가 의심스럽다며 대서특필했습니다.

 

sl9Qzay_0nXINcUiIs87rb4ko104XxzP_Twd7iSP

조선일보, 2019.3.23. 기사 ‘김후보자는 약 10개월 간 참여연대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이처럼 잠시 참여연대에 도움 준 인사 모두를 ‘참여연대 출신’으로 묶는 것은 과장된 보도, 숫자 부풀리기입니다. 시민들의 후원과 지지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변화를 만들어낸 참여연대의 영향력을 경계하고, 부정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의도가 아닐까요. 

 

 

언론, 정부정책 비판활동 보도하면서 한쪽에선 권력화됐다 보도

 

‘정부에 대거 진출’, ‘참여연대 정부’ 등의 기사 헤드라인을 보면 마치 참여연대가 친정부, 정부 정책에 발 맞추는 단체인 것 같지만 이 또한 사실이 아닙니다. 

 

노무현정부 시기에도 참여연대가 권력에 대거 참여했다는 보도가 많았지만, 당시 참여연대는 한미FTA나 정치개혁, IMF 이후 신자유주의 정책 등 정부 정책에 매우 비판적인 입장이었습니다. 문재인정부 하에서도 은산분리나 각종 규제완화 정책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참여연대 출신이라고 언급하는 정책담당자들과 신경전을 벌이기도 합니다. 보수언론은 이와 같은 참여연대의 정부정책 비판활동을 보도하면서도 한쪽으로는 정부정책에 따라가는 권력단체가 되었다 보도합니다.

 
 
hTflJWbwkfY2KRGXnLWNY0i7I6OPubspjCm-mlVv
조선일보, 2018.8.10. 기사 제목 캡쳐 이미지
 
 

정책과 제도가 실제 만들어지는 현장에 참여하는 것 또한 시민운동의 역할 

 
숫자 부풀리기 뿐만 아니라 시민운동에 대한 이해, 시민운동 현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 한 보도들도 다수입니다. 일부 보수언론들은 참여연대 전현직 임원들이 여러 정부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 마저도 비판의 근거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민운동의 ‘현장’은 권리를 옹호하고 권리 주체들과 연대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제도와 정책이 실제 만들어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시민들이 요구하고, 참여연대가 제시한 정책대안이 구체적으로 다뤄지는 현장에 참여해 시민들의 의사를 잘 대변하고 제도화되도록 하는 역할도 시민운동의 역할입니다. 최근 사회적 대화나 합의 방식이 점차 중시되고 있는데,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는 각계각층이 참여해 토론하는 게 당연하겠지요. 정부위원회에 경총이나 대한상의 등 경제계를 대변하는 단체가 참여한다고 해서 이 단체들이 권력화되었다 비판하는 언론은 없습니다. 유독 언론이 시민단체만 다른 잣대로 보도하는 것은 협치와 거버넌스에 대한 의도적 오해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Iz_XBzYWM1OsPEPnKQWgFW1c0j-TnjZYMUHjoSPf

연합뉴스, 2018.11.6. 기사 제목 캡쳐 이미지 
 
 
일부 전직 임원들의 공직 참여로 참여연대 활동의 독립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한 참여연대 활동에 부족함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언론의 진지한 비판이 제기된다면 겸허히 수용하고 성찰할 것입니다. 그러나 흠짓내기와 비방을 목적으로 한 왜곡보도에 대해서는 바로 맞설 것입니다.  
 

 

3편 예고, 보수언론이 진보 시민단체를 소비하는 방식 

 
마지막 3회는 보수언론들이 진보 시민단체들을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지, 민주언론시민연합 신미희 처장님과 함께 합니다. <참여연대,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해 말하다!> 3편에서 만나요. 
 

 

참여연대는 사실을 기반으로 한 언론의 공정한 평가와 비판은 겸허하게 수용하고 성찰하겠습니다.

그러나 음해나 비방을 목적으로한 허위, 왜곡 보도에 대해서는 조목조목 따지고, 따박따박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2020년 상반기에 언론중재위원회 등을 통해 6건의 왜곡 보도에 대한 정정 및 반론이 이뤄졌습니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