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한반도 종전 평화 캠페인, 미국 바이든 대통령에게 서한 발송 한국전쟁 종전과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 위해 북미 합의 이행, 남북 교류협...
최근 조선노동당 제8차 당대회,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 발표와 신년 기자회견이 잇달아 진행되었습니다. 두 정상의 입장에는 접점보다는 쟁점이 많...
제재만으로 북핵 문제 해결할 수 없다 어제(11/30, 현지시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지난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응해 북한의 석...
수적 우위를 앞세운 특검법 처리 유혹은 절대로 뿌리쳐야 할 것 새 특검법 처리,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가 제안한 대안야당 비전의 첫 관문 1. 지난 8일...
2020.12.04 제6차 울란바토르 프로세스 회의 (사진 = GPPAC 동북아위원회) 코로나19 팬더믹 상황에서 무장갈등예방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PPAC...
2017. 4. 14(금) 광화문광장, 한반도 평화 촉구 한국 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 (영상=참여연대) 한반도 주민 볼모로 하는 모든 무력시위를 중단하...
첨부자료 제 1장 남북화해 관련/제 2장 남북불가침 관련/ 제 3장 교류협력 관련 10255f.hwp
23일 예정된 북 중 미 3자 대화 감상법 이른바 '북핵위기’로 불리는 북-미간 갈등 해소를 위한 첫 번째 틀거리로 '북-미-중’ 3자 회담이 발표되자, '남...
한반도 주민 볼모로 한 북한과 한미 당국의 군사행동 즉각 중단하라 北 미사일 발사, 美 한반도 핵재배치 논의, 사드배치 강행 등 군사적 대결만 ...
남북대화 재개 움직임을 환영하고 향후 진전을 기대한다 북한이 신년사에서 평창올림픽 참가와 남북대화 의사를 발표한 것에 대해 한국 정부는 즉각...
1. 일부 보수우익 단체들의 잇단 반북시위로 2003 대구유니버시아드 대회가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다행히 북한측이 경기에 계속 참가하겠다고 밝힘으...
남북관계와 한국의 선거 How inter-Korean relations are politicized in elections in Korea 2016년 4월 /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April 2016 / ...
시민사회단체들, 미 의회에 북한자유법안에 대한 의견 전달 미 의회에서 입법을 추진 중인 '북한자유법안'에 대해 시민사회가 본격적인 목소리를 내기 ...
6/3(화)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와 평화네트워크가 공동주최한 토론회 "NLL(북방한계선)의 평화적 관리방안은 무엇인가" 자료입니다. PDp20030603(NLL)....
금강산관광 중단 10년, 금강산관광 재개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정부는 금강산관광 조속히 재개하라” 2008년 7월 12일 금강산관광이 중단 ...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으면, 뭔가 새롭고 희망찰 법도 한데, 올핸 전혀 그런 기분이 아니다. 영 찝찝하고 답답하다. 수족관 바닥에 달라붙은 광어...
4월 평화정책세미나 대북정책 전환을 위해 남북관계 법률 다시보기 시민평화포럼과 이인영 의원실이 공동주최하여 매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정...
동북아 평화위협‧군비경쟁 촉발하는 북 무수단 발사 유감 4차례 핵실험한 북한의 로켓 발사는 주변국에 명백한 위협 군사적 대결과 제재 위주 대응에서...
얼마 전 눈길을 끄는 한 여론조사 결과가 언론에 보도됐다. ‘세계 평화의 최대 위협은 이스라엘.’ 유럽연합집행위원회가 지난달 15일 15개 회원국에서 ...
10여년 논란 가장 첨예하고 근본적인 협상국면에 진입 1. 지난 23-25일 베이징에서 열린 북미중 회담 과정에서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