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다음글은 코리아연구원에 기고한 글입니다. (http://knsi.org/knsi/kor/center/view.php?no=12136&c=1&m=4) 천안함 진상규명, 처음부터 다시 ...
'핵폐기' 꿈꾸는 이들, NPT 평가회의에 모이다 프레시안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에 실린 글입니다.(프레시안으로 바로가기) 김재명 (프레시안 기획...
<새세상연구소 웹진 12호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김종대 (D&D Focus 편집장,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실행위원) 천안함 침몰 사건에서 사망한 분들...
<다음 글은 4월 20일자 경향신문 시론에 실린 글입니다> ㅣ경향신문 모든 공포영화의 시작은 ‘알 수 없는 위험’이다. 그래야 공포는 더 치명적이고 불...
<다음글은 창비 주간 뉴스레터 실린 글입니다.> 이태호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 지난 3월 26일 밤 서해안 백령도 서남방향에서 임무수행 중이던 1200톤...
현재 미국에 머물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이 북핵 해법으로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이라는 일괄타결안을 내놓았다. 6자회담을 통해 북한이 핵프로...
오늘(8월22일) 이명박 정부 출범 이래 처음으로 남북간의 고위급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대를 모았던 북 측 조문단과 이명박 대통령과의 면담은...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평양의 순안공항에 내리는 순간, 평택에서는 경찰이 쌍용자동차 노동자의 파업을 진압하기 위한 작전에 착수했다. 우리 안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온 나라가 슬픔에 빠져 있다. 많은 국민들이 울분을 토하고 서러워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정국에서 정면 대결로 ...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상징이자 최후의 보루로 남아있는 개성공단이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악화일로에 있는 남북관계의 현주소이다. 출범한지 1년 반...
오바마 등장으로 북핵 해결과 평화 정착의 중대 갈림길에 설 한반도 작년 12월 8∼11일 베이징에서 열린 6자 회담은 북한이 신고한 핵 목록의 검증 방...
이스라엘의 끔찍한 잔학행위를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지난 12월 27일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격이후 현재(1월 6일)까지 최소 580명이 사망했고 30...
'이라크 평화재건 활동'의 본질 국민들의 관심이 국회에 쏠려있던 지난 19일 이라크에 파병되었던 자이툰 부대와 쿠웨이트에 파견되었던 다이만 부대...
그 동안 한미 FTA를 지금처럼 졸속 처리해서는 안되는 수많은 이유들이 제기되었다. 한미 FTA가 가져올 사회, 경제적 문제점이 많겠지만, 한국의 대미...
이명박 정부 들어 국방부의 시대착오적 행태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아무래도 군은 예전시절로 돌아가기로 작정한 것 같습니다. 불온서적 선정만 하...
미국의 조지 부시 정부는, 2008년 6월 북한에 대한 적성국교역법 적용을 종료했고, 10월에는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했다. 북한도 환영으로 화답...
2008. 10. 15 Park Jung-Eun (Chief Coordinator of Center for Peace and Disarmament, PSPD) I am glad that AEPF has included in its agenda a foc...
독도 관련 美 조치가 외교적 승리라고 자화자찬 할 일인가 미국 지명위원회가 독도에 대한 영유권 표기를 다시 한국으로 조정한 것에 대해 청와대와 ...
노무현 대통령의 파병연장 담화에 부쳐 노무현 대통령이 이라크에 주둔중인 자이툰 부대에 관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공표한 것은 파병 연장만은 아니다...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이라는 커다란 성과를 남기고 마무리되었다. 이번 선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