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구속적부심 기각은 평택사태 평화적 대화노력에 찬물 끼얹은 불행한 결정 협상의지 밝힌 주민대표 구속사유로 ‘도주우려’ 수용한 법원의 기각결정 유감...
한미정상회담에 즈음한 한국 시민사회의 입장발표 기자회견 오늘(6월 8일) 64개 시민사회단체와 주요 인사들은 오는 11일로 예정하고 있는 한미정상회...
일본 '효고현 변호사 9조회'와의 간담회 지난 25일,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에서는 일본에서 방한한 ‘효고현 변호사 9조회’ 소속 16명의 변호사들과 한국...
한미정상회담에서 핵문제에 대한 미 행정부의 평화적 해결의지, 전략적 선택 촉구해야 오는 11일 한미간 최대 현안인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문제를 주 ...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는 이명박 정부의 대외정책에 관한 쟁점토론 연속기획으로서, 그 두 번째 순서인, "전략동맹, 한미동맹의 미래인가?"라는 주제...
노무현 대통령의 파병연장 담화에 부쳐 노무현 대통령이 이라크에 주둔중인 자이툰 부대에 관한 대국민 담화를 통해 공표한 것은 파병 연장만은 아니다...
미군기지 확장을 위해 국민을 작전대상으로 삼는 정부, 폭력적인 평택 강제집행 즉각 중단하라 오늘 정부는 국민적 합의 없이 일방적으로 미군기지 확...
지난 1월 19일 한미 양국은 첫 한미 외무장관 전략대화에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합의하였다. 이번 합의를 통해 주한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이...
핵폐기를 넘어 군축 등 대북 군사적 긴장해소 논의 병행되어야 지난 13일 6자회담 참가국들은 ‘9.19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치’를 채택하였다. 북...
국방부의 미국에 대한 남다른 ‘이해심’인가 아니면 국민들에 대한 기만인가. 지난 주말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김장수 국방장관이 “...
11개 시민단체 평택강제수용 중단 촉구 기자회견 열어 오늘 (5월 2일) 11개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보장을 위한 평택...
부시 미 대통령의 재선은 한미동맹과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LA와 APEC에서의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은 이후 한미관계에 어떤 요소로 작...
독도 관련 美 조치가 외교적 승리라고 자화자찬 할 일인가 미국 지명위원회가 독도에 대한 영유권 표기를 다시 한국으로 조정한 것에 대해 청와대와 ...
5월 평택 대추리는 고립된 섬이다. 국토방위를 존재 이유로 하는 한국군이 미군기지 예정지를 철통같이 지키고 있고 2000여명의 경찰들도 미군기지 예...
기지이전협상 등 정부 대미협상에 대한 정책감사 요청 100일 되도록 답변없어 정책감사 요청에 대한 성실답변 촉구 및 감사원장 면담 요청 공문 발송 ...
[한반도 브리핑] 한계 봉착한 남북한 전략, 정상회담 고려하라 우리의 상상력을 반(反)패권주의적 관점에서 발휘해 보자. 미국의 유일패권적 지위가 사...
미군의 철조망 공사는 새만금 부지 무단 점유하는 불법행위, 즉각 철거해야 군산에 주둔하고 있는 주한 미 공군이 새만금 부지에 불법으로 철조망 공...
한미동맹? 이미 이라크에서 철군한 모든 나라들과 미국과의 동맹이 깨졌던가? 국방부 한 관계자는 지난 8월 30일 "파병연장 여부에 대해서는 이라크의 ...
반환기지 오염정화, 미국 책임!! 113개 시민사회·노동조합·종교·정당·풀뿌리단체 공동성명 발표 - 우리는 발암물질로 범벅된 반환기지의 오염...
○ 대북정책 - 남북 정상선언 존중과 조속한 대북식량 지원 통한 남북관계 개선 촉구 - 실효성 없이 ‘인권의 정치화’ 불러올 ‘북한인권법’ 제정 반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