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합의 규탄 기자회견 열려 최근 한미 외교장관 전략대화에서 한미간에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을 합의한 것과 관련하여 오늘(...
한반도 평화 역행하는 전략적 유연성 합의, PSI 참가 철회해야/ PSI는 미 군사패권 구상의 한 축, 이어질 전지구적 군사협력의 전초전 한미동맹 재조정...
지난 2월 7일 국내 일간지를 통해 15개 반환 예정 미군기지에 대한 오염조사 결과(“반환예정 미군기지 환경오염조사 후속 쟁점사항 및 향후대책”)가 처...
전략적 유연성 협상, 용산 등 미군기지이전협상 등에서 나타난 정부 외교안보당국의 협상태도 및 문제점에 대한 축소, 왜곡 등 밝혀야 참여연대 평화군...
일-조용했으나 미국측 주장 관철되지 못해, 한-소란했으나 사실상 요구 대부분 수용 * 코리아연구원-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가 공동기획하여 공동으로 ...
미 군사전략과 용산이전 관련성 부인, 분리협상 등 이유와 의도 밝혀야 어제 민주노동당 노회찬 의원이 공개한 2004년 12월 이라는 청와대 문서는 정부...
반인권적 강제토지수용 조치 지탄받아 마땅 정부가 어제(6일) 미군기지 확장이전 예정지인 평택 대추리 일대의 강제토지수용을 위한 행정대집행에 착수...
한미동맹 재편 합의 철회를 촉구하는 141개 시민단체 기자회견 열려 오늘 (3월 9일) 141개 시민단체들은 지난 3년간 노무현 정부의 한미동맹 재편 협상...
지난 1월 19일 한미 양국은 첫 한미 외무장관 전략대화에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합의하였다. 이번 합의를 통해 주한미군은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시민사회종교단체 긴급 기자회견 정부가 지난 6일 대추초등학교에 대한 강제 접수를 시도한 데 이어 15일에는 농민들의 농지 접근 차단을 위해 굴삭기...
‘미래 한미동맹 비전’ 논의 중단하고 전시작전통제권부터 환수하라 오늘부터 이틀 동안 한미양국이 안보정책구상(SPI) 회의를 열어 미래 한미동맹 청사...
평택 평화적 생존권은 인권이다! 인권활동가 박래군 조백기 석방 촉구 시민사회 기자회견 황새울의 평화를 지키던 두 인권활동가가 지금 구속되어 있다...
2006년 한국사회포럼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주한미군 주둔 및 기지이전에 관한 비용문제 박정은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 현재 주한미군에 대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한국 측 비용부담, 국회는 청문회 개최 등 미군기지이전사업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나서야 예고되었던 졸속협상의 문제점들이 속...
반환기지 치유없이 기지이전 강행은 있을 수 없어 미군이 오염기지 치유책임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벨 주한미군 사령관이 ‘미군기지 환경문제를 한...
지난 4월 7일 국방부는 경찰 5천7백명과 용역 750명과 함께 포크레인, 레미콘, 불도져, 견인차 등 중장비를 이끌고 대추리 도두리 일대 수로와 농로, ...
주한미군 기지이전 및 전략적 유연성 합의에 대한 정부 논리, 주장 반박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소장: 박순성 동국대 교수)는 오늘(4월 27일) 를 발표...
11개 시민단체 평택강제수용 중단 촉구 기자회견 열어 오늘 (5월 2일) 11개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보장을 위한 평택...
평택 미군기지 확장 반대를 위한 서울대책회의 결의문 지금 평택 대추리, 도두리 주민들은 지난 3월 6일과 15일, 4월 7일에 이은 대규모 강제집행을 목...
평택 강제집행에 대한 평택미군기지확장반대 서울대책회의 규탄 성명 19개 사회단체로 구성된 '평택미군기지확장반대 서울대책회의'는 2006년 5월 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