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제보 조작 인정한 국민의당, 공당으로서 책임 다해야 부실검증 시스템 책임자와 무책임한 지도부 등 징계조치 있어야 당 지도부의 증거 조작 관여 여부...
"민주화의 산물 헌법재판소, 민주주의를 삼키다" 통합진보당 강제해산 결정 비판 토론회 참여연대 의정감시센터와 사법감시센터는 12/22(월) 오후 1시...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치명상 입힌 헌법재판소 통합진보당 강제 해산결정 규탄 성명 민주적 기본질서 부정한 것은 통합진보당이 아닌 헌재와 정부 ...
[심포지엄] 정당해산제도와 한국의 민주주의 일시 2014. 6. 26. 목 오후 2시~6시 장소 정동프란치스코 회관 주최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 민주...
교사․공무원의 정당 가입 금지 합헌 결정 유감이다 헌법재판소, 교사와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침해 외면해 국회가 정당 가입조차 금지하는 정당법 ...
2014 지방선거 정치개혁 연속 좌담회#1 3/20, 왜 전국 규모의 정당만 허용해야 하나 - 까다로운 정당설립 요건에 대해 3월 20일(목) 오후 2시, ...
득표율 2%미만 정당등록 취소 조항 위헌결정 환영 전국 조직을 갖춘 정당만 인정하는 정당법 3조 및 17조도 개정해야 국회의원 선거에서 득표율 2%...
11/8 <정부의 통합진보당 해산심판청구 긴급토론회> 개최 일시 및 장소 : 2013년 11월 8일(금) 오후 1시 30분, 참여연대 지하 느티나무홀 11월 8...
정당해산심판제도 악용하면 도리어 민주주의가 파괴돼 정부의 통합진보당 정당해산심판청구에 대한 논평 정부 조치의 정당성을 묻는 긴급토론회 곧 ...
참여연대, ‘기초선거 정당공천 의견서’ 정치권에 전달해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가 정치개혁의 해답될 수 없어 지방정당 설립 허용, 기초의회 비례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 주장, 지역정치를 살릴 해답 아니다 정당의 책임을 따져 묻지 못하는 ‘교각살우’의 우려 있어 정당설립요건 완화․기초의원 ...
[좌담회] 지방선거 정당공천제를 논하다 2012년 대선 과정에서 주요 후보자들이 기초의회 정당공천 폐지를 공약한 이후 이 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새누리당 당원 명부 유출, 책임 있는 조치 취해야 부정 당선자 있다면 사퇴 등 책임 물어야 선거의 공정성 훼손한 사건 축소하려는 시도 용납할 수 없...
검찰은 통합진보당 압수수색 시도 중단해야 검찰이 오늘(5/21) 통합진보당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법조항 위반인지 불명...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논평] 통합진보당, 전면 쇄신 통해 국민의 정당으로 거듭나야 통합진보당의 향후 진로에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정당민...
통합진보당의 성찰과 근본적 쇄신을 촉구한다 부실·부정 경선 논란으로 촉발된 통합진보당 사태가 갈수록 태산이다. 통합진보당은 지난 2일 당 진상조...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치개혁위원회 논평> 통합진보당의 철저한 반성과 책임 있는 후속 조치 필요 어제(5/2), 통합진보당 진상조사위원회의 비례대...
통합진보당은 총체적 부정·부실 선거에 책임 있는 조치 취해야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과정에서 제기된 각종 부정, 부실 선거 의혹이 사실로 밝혀졌...
양대 선거를 앞두고 정당 정치 개혁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유권자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정치 변화가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연...
19대 국회의원 선거 공천개혁 토론회 <공천혁명으로 선거혁명을> 초대합니다. 19대 국회의원 선거가 불과 두 달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폭력 사태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