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준설이 영산강 살리기 대안 아니다!

수질 오염 주범인 하구둑, 경작지 비점오염원, 지천 오염 대책이 우선되어야
생명의강연구단, 영산강시민행동 대안 마련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벌여


○ ‘생명의강 연구단’과 영산강운하백지화광주전남시민행동(이하 영산강시민행동)은 3월 21일(토), 영산강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정부의 4대강살리기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현장조사사업으로 지난 2월 25일 실시된 낙동강 현장조사에 이은 두 번째 현장 조사다. 영산강 하구둑부터 전남 담양군 대전면에 위치한 담양습지 (하구둑 기준 96km 지점)까지 육상과 보트를 이용한 수상조사가 병행되었다. 조사 내용은 총 13개 지점에서 수심, 수질, 유속, 저질토양-하천바닥 퇴적물을 채취 하였고 특히 영산강 유입 지천 합류 지점과 평상시 오염이 심한 지천 본구간도 함께 조사했다. 본 조사에는 박창근 생명의강 연구단장, 전승수 전남대 교수 등 관련 전문가와 영산강 시민행동 관계자 등 39명이 참여했다.

<사진 1. 대학교수, 언론사, 시민단체 등 각계 전문가들이 영산강 하구에서 수질을 종합적으로 측정, 조사하고 있다 ⓒ생명의강연구단>|1074800291.gif|width=\
○ 현장 조사에 참여한 많은 전문가들은 영산강 살리기에 있어 우선 되어야 할 것은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산강 하구둑 및 둔치경작 등에 의한 비점오염원 유입, 오염 지천 관리를 꼽았다. 정부가 주장하는 것처럼 하도 준설만이 대안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 일반적으로 영산강 수질에 있어 하구둑의 악영향은 하구둑 기준 상류 약 16km까지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장조사 결과, 하구둑 상류 13km 구간까지 저질층은 육안으로 봐도 검게 퇴적돼 있어 영산호의 수질 및 생태현황이 좋지 않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특히 영산강 하구언의 저층에 해당하는 수심 12m 지점은 DO(용존산소)가 0.28ppm으로 생물이 살 수 없는 무산소층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구둑 기준 상류 21Km부터 비교적 건강한 상태의 퇴적토가 채취되었다.

○ 조사결과, 영산강 전체 구간의 DO(용존산소)는 10ppm 이하로 지난 2월말에 조사된 낙동강 수질(DO 12~13ppm)보다 조금 떨어지고 있다.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 자료를 확인해도 2008년 기준 낙동강 하구와 영산강 하구는 BOD 기준 각각 3등급과 4등급으로 차이가 나고 있다. 낙동강의 오염유발여건이 영산강보다 약 20배 높음에도, 낙동강의 수질이 영산강보다 좋게 평가되는 것은 낙동강 본류의 물이 식수원으로 이용되고 있어 고도하수처리시설 도입 등으로 오염원을 차단하고 하천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져 왔던 결과로 파악된다.

<사진 3. 4대강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듯이 본류의 문제보다는 지천의 오염이 심하다. 심하게 오염된 광주천의 모습 ⓒ생명의강연구단>

○ 무분별한 둔치 경작에 의한 비점오염원 유입과 하수처리시설 부족 문제가 영산강 수질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영산강 구간인 나주 영산교 부근은 와편모조류가 과하게 번식해 진한 갈색을 띠고 있는데 질소, 인 성분이 정체하면서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영산강의 비점오염원 부하량은 37.4%로 이는 4대강 중 가장 높다. 그리고 영산강 유역의 하수도 보급률은 76.4%로 전국 평균 87.1% 비해 상당히 떨어지고 있다. 그만큼 비점오염원과 점오염원 관리가 미흡한 상황이다. 또한 광주천과 같이 도심을 통과하는 오염된 지천의 유입도 영산강의 주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 이번 현장 조사에서 그간 정부나 지자체에서 발표한 갈수기의 유량자료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현장에서 직접 측정한 광주하수종말처리장부근, 극락강 지점(영산강 하구에서 78km 지점)의 유량은 초당 10톤(17시35분 측정)인 반면에 영산강 홍수통제소에서 실시간 측정한 것은 1.25톤 이었다. 본 조사의 실측값과 정부자료의 차이가 무려 초당 약 7.8톤의 차이가 났다.
<영산강 현장관측 중간 결과>

















































































































































번호


시간


거리(km)하구둑기준


위치


DO(ppm)


하상토


수심(m)


유속(m/s)


유량(cms)


1


9:38


1


영산대교 하류


10.4(표층)0.28(바닥)


뻘, 악취발생


12


 


 


2


9:22


2


선착장


10.4


뻘과 가는 모래


 


 


 


3


10:22


8


무영대교


11.15(표층)9.9(바닥)



9.5


 


 


4


10:40


13


상사바위


10.8(표층)10.0(바닥)



 


0.10


 


5


11:15


21


 


10.8


뻘, 갈색


4.6


 


 


6


12:04


23


몽탄대교


9.7


진흙, 갈색


4.4


0.18


 


7


12:45


30


 


8.21


진흙, 갈색빨간 지렁이 서식(1cm)


7.15


0.07


 


8


13:40


38


함평천 합류지점, 사포나루


11.48


굵은자갈(준설)


4.7


0.10


 


9


16:03


47


황포돛배 나루터


 


 


 


 


 


10


16:40


58


영산포, 나주선도사업지구


7.88


진흙, 가는모래


 


 


 


11


17:33


78


극락교


5.9


검은색 가는모래, 악취


 


0.3


10


12


18:09


80


광주천 하류부


5.45


뻘, 굵은 모래, 악취


 


 


 


13


19:20


96


담양습지, 정체수역


5.15


깨끗한 굵은모래


 


0.03


 



<사진 4. 운하와 4대강 정비계획만 없다면 영산강은 바닷물과 강물, 사람과 자연이 만나는 강 본래의 모습으로 국민들이 만들어갈 수 있다. 금강정에서 바라본 영산강의 아름다운 모습 ⓒ생명의강연구단>○ 향후, 생명의 강 연구단과 영산강시민행동은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저질퇴적토 분석 등 결과자료를 종합하여 발표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영산강 살리기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해 나갈 것이다.


2009. 3. 22

생명의강연구단 / 영산강운하백지화광주전남시민행동


<생명의강연구단 공동연구단체>
시민경제사회연구소/민변 환경위원회/운하반대전국교수모임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시민환경연구소


문의
시민환경연구소 백명수 기획실장 02-735-7034/011-662-8531
영산강운하백지화광주전남시민행동 최지현 사무국장 019-623-7813


090322_(보도자료)__영산강_현장_조사.hwp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