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공정경제 실현위해 힘있는 범정부기구 있어야 갑과 맞설수 있는 을의 힘 관건…문재인 정부 2년, 민생정책 평가㊤ ‘공정경제’는 문재인 정부 경제...
적자 대출 카드론, 편의점 왕국 늪에 빠진 점주 출점경쟁, 돈버는 본사…적자 지속되는 점포, 위약금 없이 폐업해야 #1. 결혼과 출산, 육아 등의 ...
청년이 결혼하지 못하는 이유, 이겁니다 [박동수의 주거칼럼 14] 시장임대료 분석... 저성장·고용불안에 주거 부담까지, 심각하다 박동수 참여연대...
[이슈토론] 이동통신 기본요금 폐지 2016.07.06. 매일경제 이동통신 기본료 폐지를 놓고 논란이 뜨겁다. 찬성 쪽은 매년 통신사가 막대한 이익을 챙...
합병은 무슨? 기본료 폐지부터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 경제민주화실현전국네트워크 집행위원장 2016.7.4. 한겨레신문. <전략> 그런데도 청...
세입자에 월세 대출? '집값'만 따지는 정부 [박동수의 주거칼럼 13] 세입자 소득 높이고 주거비 낮추는 정책 필요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
1인 가구, '월세형 인간'으로 만들지 않으려면 [박동수의 주거칼럼12] 수도권 역세권에 1인·2인 가구 공공임대주택 대규모로 공급해야 박동수 참여...
역세권 원룸 마다하고 서울에 등돌리는 청년들 [박동수의 주거칼럼 11] 잘못된 2030 청년주택 정책... 서울시는 대책 마련해야 박동수 참여연대 민...
[주간현대가 만난 사람] 조형수 참여연대 본부장 주거·통신·교육비 이슈 전문가…서민 가계부담 완화에 앞장서다! 2016.04.01. 주간현대 ▲ 참여연대 ...
세입자에게 명절 선물 주는 '착한 임대인' 이야기 [박동수의 주거칼럼 10] 장기임대차와 전·월세 임대료인상에 대한 사회적 기준 마련돼야 작년 연...
[소소권31] 남산 터널 미납 통행료 ‘너무 짧은’ 납부 기한 “일주일 지났다고 4배 과태료는 가혹” 고속도로 통행료는 3~4개월 서울시 “조례 위반, 즉...
전셋값 폭등에도... 서민주거특위는 세입자 외면? [박동수의 주거 칼럼9] 정부와 정치권, 불신·불공정·불통·무책임·무능의 주택정책 실시 박동수 ...
경제성장 비법? 소득 늘리든지 전월세 부담 줄이든지 [박동수의 주거칼럼 8] 주거비 부담완화가 내수경제 살리는 길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기고] 사법부가 확인한 ‘경제민주화’ / 김남근 대법원은 지난달 중소상인의 생존권과 유통산업 노동자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대형마트의 심야영업을...
박근혜 주택 정책에 서민-세입자는 없다 [박동수의 주거칼럼⑦] 서민·세입자 희생 위의 부동산 경기 부양은 불공정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실...
집 사도, 세입자로 남아도 '진퇴양난' [박동수의 주거칼럼⑥] 주택 정책 전환만이 답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실행위원> 부동산 관련 뉴스...
소득은 줄고 월세는 늘고, 세입자는 '혼돈' [박동수의 주거칼럼5] 임대료 동결 등 주거비 부담 완화해야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자문위...
중산층의 꿈? 중산층의 짐! [박동수의 주거칼럼4] 주거비 부담 낮추고 세입자 '지속 거주권' 보장해야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자문위...
대학생 원룸 임대료 월 42만원, 이게 말이 됩니까? [박동수의 주거칼럼3] 세입자 주거 안정 정책으로 전환해야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자...
학원비 아낀 돈으로 월세 내라니... [박동수의 주거 칼럼2] 주거의 질 떨어뜨리고 내수경기에 악영향 미치는 비싼 월세 <박동수 참여연대 민생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