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공정위는 ‘배민기업결합’ 조건부 승인 꿈도 꾸지 말아야 ‘조건부 승인’ 보도에 공정위는 ‘미정’ 입장 밝혔으나 우려 커져 지금도 독과점·불공정 폐...
'그 갑질 사건' 이후 7년, 자영업자 삶은 나아졌을까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⑥] 중소상인·자영업자들에게 '경제민주화'가 필요한 이유 이성원...
2020.11.12. 대규모 소비자 피해사례 발표 및 소비자 권익 3법 입법 토론회 <사진=참여연대> 가습기살균제 참사, BMW 차량연쇄 화재사고, 금융·카...
고된 일상 바꿀 수 있는 법, 재벌들이 막고 있다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⑤] 평범한 시민들에게 '경제민주화'가 필요한 이유 박상인 경실련 정...
자동차에 불이 나도 참는 사람들... 소비자 주권시대?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④] 소비자들에게 '경제민주화'가 필요한 이유 변웅재 한국소비...
2020.11.9. 200개 중소상인, 노동자, 소비자, 시민사회단체가 11월 9일을 경제민주화의 날로 선포했습니다 [사진=참여연대] 전국 200개 노동조합, ...
경영세습에 쓸 돈은 있고, 양질 일자리 만들 돈은 없나?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③] 원하청노동자에게 '경제민주화'가 필요한 이유 한상진 민...
원청에 기술 뺏긴 중소기업 사장님, 이걸 어쩌죠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②] 중소기업 사업주-노동자에 경제민주화가 필요한 이유 서치원 민변...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는 지난 9월 23일,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 집행과정에서...
중국, 인도, 심지어 일본보다 뒤처진 한국의 '이것' [경제민주화 119 연속기고 ①] 공정경제3법이 국민 모두에게 필요한 이유 김남근 재벌개혁경제민...
벌써 국회 앞 상인단체들의 농성장엔 얼음이 얼었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이 다가오는데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일들이 산더미입니다. 오늘은(10/...
오늘(11/2) 민생경제연구소, 소비자시민모임,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한국소비자연맹은 통신 공공성 확대와 가계통신비 인하를 위해 21대 국회에 ...
여러분의 5G는 안녕하신가요? 안녕하세요, 가계통신비 인하운동 활동만 20여 년째,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입니다. 3G에서 LTE로 전환될 때도 통...
서울시가 1일부터 시작하는 공공와이파이 ‘까치온’ 시범서비스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불가방침을 밝히며 법적조치와 10억원...
안녕하세요.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입니다. 세입자로 살면서 임대료, 관리비, 곰팡이, 누수 등의 문제로 한 번쯤은 임대인과 갈등을 경험한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