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희망본부 교육 2012-02-02   1205

‘2030 의회진출 가능한가?’ 토론회 열려

등록금, 청년실업 등 청년 문제가 대두되면서 선거시기 20~30대의 정치참여가 관심받고 있다. 최근 각 정당에서 경쟁적으로 청년세대의 표심을 잡기 위해 각종 정책을 제시하는 한편 청년들이 직접 의회에 진출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에 반값등록금국민본부와 청년실업네트워크는 2012년 선거를 맞아 청년들이 풀어야 할 당면과제는 무엇인지, 20~30대 정치세력화를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월 2일 열린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안진걸 반값등록금국민본부 정책팀장은 “민주통합당 청년 비례대표 경선 공모 신청이 처음에는 극히 저조하다 막판에 400여명 정도가 신청한 데서 보듯 여전히 정치와 국회는 2030세대에게 멀고 무거우며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것입니다.”며 기성 정당들이 청년들의 정치참여 통로를 충분히 열어놓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민주통합당 청년 비례대표 경선에 대해  “인위적 느낌과 ‘슈퍼스타 K’ 방식의 문제점, 4명뿐인 선출 인원, 지역구에서 지원이 제대로 논의되지 않는 점, 평소 2030세대의 훌륭한 정치인을 만들려는 고민과 기획이 빈약했던 점 등을 고려하면 일종의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에 대해서는 “2030세대와 거리가 멀고, 설령 도전하는 2030세대가 있다 해도 공천을 위한 경선에서 대부분 탈락할 것”이라고 비판했고, 통합진보당의 경우 “공천과 비례대표 선출에 특별한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며 우려했다.

 

안진걸 팀장은 “각 정당과 정파의 청년조직, 청년 시민단체 등이 모두 모여 2030연대를 꾀하는 일상적 연대기구가 필요하다”며 “일상적으로는 청년들의 현안을 위해 연대하고 선거를 전후해서는 2030세대 진출 확대를 위해 공조하자”고 제안했다.

 

손한민 민주통합당 대학생위원장은 “한국의 청년 의원들은 어린 시절부터 정치적 내공을 쌓을 기회를 거의 얻어보지 못한 채 갑자기 의원으로서 엄청난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는다”며 “청년ㆍ대학생 조직을 통해 예비 정치인을 받아들이고 능력이 검증된 인재를 지도자로 키우는 서구 정당과 대조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박지웅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사무차장은 “계파로 구성된 정치구조 틀 속에서 청년 국회의원이 할 수 있는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라며 “국회 의사결정 구조 과정에서 배제되고 주요 의제 순위에서 청년 이슈가 미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희숙 한국청년연대 공동대표는 청년 비례대표 경선에 대해 “계파 중심 운영으로 청년 세력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청년을 수혈해야 하는 필요성에서 나온 것”이라며 “시도는 좋으나 정치판의 ‘청년 인턴제’가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위 글은 연합뉴스 기사를 참조하였습니다. ☞ 기사원문보기

CCp20120202_자료집_2030 의회진출.hwp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