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공공의료 강화 없는 뉴딜은 허상 정형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 포스트 코로나를 위한 뉴딜에 공공의료는 언급조차 없어 8월 15일 이후...
노동 없는 ‘한국판 뉴딜’, 뉴딜이 아닌 역주행 가능성이 높다 박용석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장 7월 14일 정부는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
디지털 뉴딜이 아니라 디지털 삽질 오병일 진보네트워크센터 대표 <그림5-1> 디지털 삽질을 멈춰라. 출처=진보네트워크센터 새로움도 사회적...
그린 뉴딜, 기후위기 시대 생존 전략을 짜자1)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이사, 지역에너지전환을위한 전국네트워크 공동대표 “30년 전과 ...
차별 없는 건강권 보장을 위한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 김경희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국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일까. 자본...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그 이후를 생각해 본다 이강훈 변호사,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실행위원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은 주거 인권 보장을 위한 ...
왜 사람이 죽어도 솜방망이 처벌을 할까?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이 필요한 이유 최명선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운동본부 상황실장 기록 및 인터...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2호 | 김형용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기획주제 : 코로나 시대의 보건복지 현장 [기획1] 코로나1...
편집인의 글 김형용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2020년의 시작과 함께 코로나19의 등장은 그동안 미래학자들이 제시하였던 뉴...
코로나19 신종감염병과 병원노동 현장 안수경 보건의료노조 국립중앙의료원지부 지부장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와 같은 전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병...
코로나19와 사회복지관의 대응과 과제 김용길 세화종합사회복지관 관장 들어가며 코로나19는 사회 곳곳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변화는 우리의...
코로나19 시대 장애인거주시설 현장 이승민 사회복지법인 SRC보듬터 원장 “나가고 싶어요. 외출하게 해주세요.” 언뜻 들으면 간혹 대서특필되는 장...
코로나19에도 이어진 위법하고 위험한 요양노동실태 오승은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정책기획부 코로나19 재난이 우리 사회를 뒤...
꼬인 남북관계 실타래를 푸는 방법 이영아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활동가 “한반도 평화는 여전히 취약합니다. 그동안 각고의 노력으로 어렵게 만들...
부산역에 있던 노숙인들은 어디로 갔을까? : 존재함으로 존엄한 모두를 위해, 보다 단단한 사회안전망을 촉구하며 김경일 사회복지연대 사무국장 ...
차별받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집행위원장,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기록/정리: 김경희, 이조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1호 | 이주하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기획주제 : 긴급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기획1] 특...
편집인의 글 이주하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4차 산업혁명과 플랫폼 자본주의로 인해 재조명을 받은 기본소득이 기존 경제교...
특이점의 경계에 선 복지 : 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 한동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감염병보다 감염 1601년 영국은 인클로저 운동의 후폭풍...
긴급재난지원금 이후 : 기본소득, 정책적 효용성 따져봐야 1) 양재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이 4인 가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