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코로나19와 사회복지관의 대응과 과제 김용길 세화종합사회복지관 관장 들어가며 코로나19는 사회 곳곳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변화는 우리의...
코로나19 시대 장애인거주시설 현장 이승민 사회복지법인 SRC보듬터 원장 “나가고 싶어요. 외출하게 해주세요.” 언뜻 들으면 간혹 대서특필되는 장...
코로나19에도 이어진 위법하고 위험한 요양노동실태 오승은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정책기획부 코로나19 재난이 우리 사회를 뒤...
꼬인 남북관계 실타래를 푸는 방법 이영아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활동가 “한반도 평화는 여전히 취약합니다. 그동안 각고의 노력으로 어렵게 만들...
부산역에 있던 노숙인들은 어디로 갔을까? : 존재함으로 존엄한 모두를 위해, 보다 단단한 사회안전망을 촉구하며 김경일 사회복지연대 사무국장 ...
차별받아도 되는 사람은 없다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집행위원장,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기록/정리: 김경희, 이조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1호 | 이주하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기획주제 : 긴급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기획1] 특...
편집인의 글 이주하 복지동향 편집위원, 동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4차 산업혁명과 플랫폼 자본주의로 인해 재조명을 받은 기본소득이 기존 경제교...
특이점의 경계에 선 복지 : 재난지원금과 기본소득 한동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감염병보다 감염 1601년 영국은 인클로저 운동의 후폭풍...
긴급재난지원금 이후 : 기본소득, 정책적 효용성 따져봐야 1) 양재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긴급재난지원금이 4인 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1) 최한수 경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코로나 19시대 재정의 과제는 세 가지이다. 먼저 코로나 19의 확산을...
긴급재난지원금인 남긴 기본소득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백승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서론 코로나로 인한 긴급재난 상황은 한국 복지국가...
긴급재난지원금이 가져온 새로운 선순환의 가능성 윤형중 정책연구자 재난 기본소득 논의에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까지 정부가 5월 13일부터 총 ...
코로나 위기 속 “별별가족”의 복지정책 이야기 정리 김경희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위기 속에서도 살아남는 가족은 따로 있다? 코로나19 ...
더 이상 죽이지 마라!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제정해야 하는 필연적 이유 한창현 (공인노무사, 산업안전보건지도사, 참여연대 노동사회위원회 실행위원)...
2019회계연도 서울시 결산안 분석 김경훈 서울복지시민연대 사무국장 들어가며 서울시는 시민의 삶을 바꾸는 ‘시민 일상의 공공성 강화’에 두고, ①...
사회복지시설의 문제, 공공성 강화로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신용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사무총장 기록 및 인터뷰 김경희, 이조은 참여연대 사회...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제적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김승연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 코로나19 사태로 개인의 경제활...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0호 | 김보영 복지동향 편집위원,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교수 기획주제 : 21대 국회에 남아있는 복지정책 과제 [...
편집인의 글 21대 국회가 이어받은 국민의 짐 김보영 월간 복지동향 편집위원,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교수 이 정도일 줄은 아무도 상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