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7호 | 김형용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 기획주제 : 시민사회 회복과 제3섹터 복지 [기획1] 왜 시민...
편집인의 글 김형용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 도대체 어디에서부터 풀어야 할까? 정부는 연일 개혁 약속을 지키지 않고 ...
왜 시민인가? 최영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들어가며 며칠 전에 배달노동자들과의 집단표적면접을 진행한 적이 있었다. 40대 배달노동자들의 ...
우리나라의 비영리 지원과 모금의 동향, 그리고 코로나 19 이후 황신애 한국모금가협회 상임이사 우리나라 모금의 초기 성장기 2000년대 초부터 ...
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의 과제 : 낯선 지역들과의 느슨한 연대 조아신 사회적협동조합지리산이음 이사장 위험이 일상화된 시대일수록 ...
시설중심 지원을 넘어선 한부모 정책이 필요한 이유 오진방 한국한부모연합 사무국장 ‘보호’와 ‘시혜’차원을 넘어선 한부모 탈시설 정책 요구가 ...
예술인과 예술인 고용보험 이씬정석 음악노동자, 뮤지션유니온 조합원 예술인? 조금 뻔한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예술인...
공공의료 강화는 허황된 꿈일까? : 2020년 12월 13일 보건복지부 보도자료를 비판하며 김경일 사회복지연대 사무국장 2020년 12월 13일, <감염병...
[대담] 코로나19 이후 새 위험사회에 대한 경험과 전망 사회 : 남기철 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월간복지동향 편집위원장 패널 : 백명희 ...
코로나19로 가려진 얼굴, 가정폭력 송아영 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우리 사회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한국의 산업화 시기는 경제성장으로 일자리와 소득이 증가하면서 소득 불평등의 완화로 이어진 시기입니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개발국가 ...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66호 | 김아래미 복지동향 편집위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기획주제 : 복지제도와 연령 [기획1] 노인연령 상향 조정...
편집인의 글 김아래미 복지동향 편집위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비스마르크가 세계 최초로 노령폐질연금을 도입했던 1889년의 평균 ...
노인연령 상향 조정이 필요한 이유 이상이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인구구조의 위기가 매우 심각하다. 그런데 이 ...
아동ㆍ청소년 연령 기준의 문제점과 과제 김기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들어가며 우리나라에서 생애 전반기에 해당하는 어린 시기...
홈리스 청소년의 존엄한 삶1) 마한얼 사단법인 두루 변호사 “저는 저의 존엄성을 찾기 위해 거리로 탈출한 그 선택과 살기 위해 보호시설로 들어간...
장애인활동지원 만 65세 연령제한을 폐지하라 임소연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사무총장 현대판 고려장 - 만 65세 생일이 즐겁지 않은 장애...
한국판 ‘나, 다니엘 블레이크’ 소송의 의미 박영아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어떤 의사로부터 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료가 ...
비싸고 형편없는 5G, 해결책은 없나? 문은옥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 평소라면 깜깜했을 밤 11시. 휴대폰 대리점에 카메라가 가득하다. “5G ...
공공의 역할을 다시 묻다 - 2021 회계연도 서울시 예산 분석 중심으로 김경훈 서울복지시민연대 사무국장 2021년 서울시 예산안 분석 2021년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