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보건의료예산에 대한 의견 (표빠짐)

김대중정부의 보건의료예산은 독재정권때보다 결코 낫지 않다

김대중 대통령이 재임한 2년(1998∼1999)간의 보건복지부 예산 비중은 4.49%로 이는 노태우 정권 5년간의 평균 4.30%와 비교해서도 그리 높지 않다. 특히 의료보험과 의료보호에 대한 지원금을 제외할 경우, 최근 2년간의 보건복지부 예산은 2.2%로 전국민의료보험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았던 박정희정권과 전두환 정권당시의 예산 비중보다도 낫다(표 1). 또한 보건의료부문 사업예산만을 놓고 볼 때, 현 정권의 예산 비중이 역대 정권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표 2)

<표 1> 중앙정부 일반회계 세출예산 대비 보건복지부 사업예산(의료보험, 의료보호예산 제외)의 비중(역대정권 별)

<표 2> 중앙정부 일반회계 세출예산 대비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부문 예산의 비중(역대정권별)

또한 의료보험 국고지원을 제외할 경우, 올해 보건복지부 세출예산 중에서 보건분야 사업비에 할당된 예산은 5.84%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예산 편성을 볼 때, 보건의료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현 정권의 예산당국이 이전 정권의 예산 당국과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산적 복지'와 따로 노는 2000년 보건의료예산

지난 8월 15일 김대중대통령은 광복절 기념사에서 '생산적 복지'를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과 함께 3대 국정운영 철학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각 부처에서는 후속대책을 마련하고 이에 필요한 소요재원의 2000년 예산 반영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당정협의를 완료한 2000년 보건복지부 소관 예산에는 생산적 복지에 걸맞는 예산이 반영되었을까?

<표 3>에서 보듯이 2000년 보건예산은 일반회계기준으로는 99년에 비해 79억원, 4.3% 삭감되었고 특별회계까지 포함한 총예산 기준으로는 488억원 13,8%가 삭감되었다.

(* 기획예산처가 9. 13 일자 한겨레신문 기사에서 반박하였듯 의약품유통센터 건립비용 150억이 당연히 삭감된 것을 고려하면 결코 삭감된 예산이 아니라는 언급은 사실이 아니며, 또한 보건복지부 예산 요구액에는 이 항목에 250억을 추가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있다는 점에서도 건립비용 150억이 당연히 내년 예산에 미반영되어야 하는 예산도 아니다.)

한편 <생산적 복지> 정책 발표후 보건복지부가 후속조치로 발표한 "2000년대 국민보건복지 비전"에서 열거된 보건의료 관련 조치들은 다음과 같다.

1) 보건의료

○ 2003년까지 치매요양시설 26개소 및 2001년까지 치매요양병원 16개소 확충

○ 평생건강관리 기본모형 정립 및 국민건강검진 체계 구축

○ 예방보건서비스, 건강상담 등 포괄적 1차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치의제도 도입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실시 및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지원

○ 2003년까지 암센터 운영 내실화 및 암연구사업 지원

○ 암·고혈압·당뇨병·간염·결핵 등 5대 질병에 대한 건강검진, 보험혜택 확대 등 국가 중점 관리

○ 의약분업제도의 실시, 의약품 유통구조의 개선, 응급의료체계의 선진화

2) 의료보험

○ 2000년부터 의료보험 본인부담금 경감대상 70세이상 에서 65세이상으로 확대

○ 2000년부터 산전진찰에 대한 의료보험 급여 실시

○ 2000년부터 의료보험 급여 365일 연중 실시

그러나 예산 편성 결과 생산적 복지 정책을 위해 보건의료에 소요되는 예산이 874억인데 비해 편성된 예산은 436억원으로 437억원이 부족하며 의료보험에 소요되는 266억중에는 164억원만 반영되어 102억원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형편이다. .

이렇게 볼 때 대통령이 발표한 <생산적 복지> 정책이 보건의료분야에서는 반영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3>2000년 보건복지부 예산의 세부 분야별 편성액(1999. 9. 15 현재)

○ 일반회계 기준

(출처 : 9. 15 現在 『2000年度 保健福祉部所管 歲入·歲出豫算 槪要』)

○ 특별회계 포함한 총예산 기준

(출처 : 9. 15 現在 『2000年度 保健福祉部所管 歲入·歲出豫算 槪要』)

2000년 보건의료예산에 대한 건강연대의 최소한의 요구

건강연대는 국민건강권 확보를 위해 국가 보건의료예산이 시급히 확충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대통령이 제시한 <생산적 복지>의 실현을 위해서도 최소한 다음의 몇가지에 대한 예산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 65세이상 노인에 대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사업 : 40억원

2.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 70억원

3. 정신장애인 지역사회 복귀 및 재활 사업 : 24억원

4. 중소도시 지역 보건소에 대한 지원 : 58억원

5. 본인부담금 상한제 도입 : 1,600억원

또한 지역의료보험가입자에 대한 정부의 국고지원 50%가 법제화되고 이를 위한 국가의 예산확충 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건강연대는 지금까지의 보건의료예산의 계획과 집행이 과거 개발독재시절의 방식을 답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보건의료예산의 계획과 집행의 방식과 틀을 새롭게 짜야 하며 이를 위한 연구와 대안제시를 해나갈 것이다.

김용진 / 건강연대 조직국장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