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복지동향 2007 2007-04-01   889

편집인의 글

편집인의 글

최혜지(서울여자대학교 인간개발학부 사회사업전공 조교수)

요즘 사람들은 사회복지를 마치 맥가이버로 인식하는 듯하다. 크고 작은 사회문제의 원인을 사회복지의 부재에서 찾고 그 해결책은 당연히 사회복지의 확대로 결론짓는다. 지나치게 단순화된 사회문제의 해결공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류는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적 변화를 정직하게 투영한다.

우선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인의 심리적 거리지수(psychological distance indicator)가 낮아졌다는 것이다. 사회복지는 더 이상 일부 전문가나 정책가들에 의해 전유되는 전문성 짙은 용어로 인식되지 않는다. 오히려 사회복지는 일반인의 대화 속에 흔히 오르내리는 일상어(日常語)로 자리하게 될 만큼 친숙한 주제로 받아들여진다. 이는 일반인들이 사회복지를 추상적 이념이나 사상으로 대상화하기보다 매일의 삶속에서 체험하고 부딪치는 구체적 실체로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을 사회복지의 잠재적 수혜자로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 멀지 않은 과거까지도 사회복지는 정상적 또는 기능적이라는 다소 모호한 개념으로 경계 지어진 일정한 범주에서 벗어난, 극히 소수의 사회구성원만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을 사회복지의 대상으로 포함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즉 사회복지를 보편적인 제도로 바라보는 시각이 확대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회복지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적 변화에 이르기까지 사회복지의 전반적 환경이 크게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더딘 진보를 보이는 일면이 있다. 사회복지인력의 근로환경이다. 사회복지현장의 근로조건은 여전히 많은 문제들을 털어내지 못한 채 무겁게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사회복지인력의 처우에 대한 의미 있는 개선 없이 전문성 강화에 대한 내·외적 요구만 높아지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복지인력의 실태와 전망, 그리고 전문성 확보방안을 심층주제로 다루었다. 동향으로 사회복지사업법, 단전단수, 홀몸노인, FTA 협상과 의료제도를 살펴보았다.

최혜지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