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복지동향 2001 2001-10-10   889

미국의 실천현장에 기반한 지역복지교육

미국의 지역복지론 교육은 일차적으로 지역사회에 뿌리를 둔, 즉 지역사회의 변화하는 욕구를 반영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미국 역시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학계와의 관계가 그렇게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다. 그렇지만 지역복지 교육에서 실천 지향적인 특성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역복지 교과과정에 지역사회 다양한 실천영역들을 반영하려고 하며, 교과과정 편성은 물론이고 교육과정에 지역사회 실천 현장 이해 당사자들의 실질적인 참여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문 2편 Johnson, A. K. (2000). "The Community Practice Pilot Project: Integrating Methods, Field, Community Assessment, and Experiential Learning,"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8(4) 5-25, 과 Margolis, L. H., Stevens, R., Laraia, B., Ammerman, A., Harlan, C., Dodds, J., Eng, E., & Pollard, M. (2000). " Educating Students for Community-Based Partnerships,"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7(4) 21-34.을 소개한다.

Johnson(2000)은 조사연구를 통해 대학원 과정에서 초기에 지역사회 실천현장을 경험하는 학생들은 거시적 실천에 대한 관심이 고양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거시적 사회복지실천 교육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environment-surrounding the person)"의 관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Case Western Reserve대학의 사회복지 전공 대학원생 15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실천시험프로젝트를 구상하였다. 프로젝트의 목표는 세 가지로 지역사회실천에 대한 통합 교육내용 구성,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조직화 주도 경험 제공, 석사과정 교과과정 마련 등이다.

지역사회실천 교육내용 구성은 먼저 학생들의 관점을 개인이나 가족을 대상으로 한 미시적 실천으로부터 지역사회기반의 거시적 실천으로 전환시키는 데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관련 세미나 참석, 실천현장 방문 등 정규 수업 외 교육 기회 제공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지역사회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평가 과제'를 부과하였다. 과제는 지역사회 관찰 및 묘사(산책, 버스/자전거 타기 등을 통한 지역사회 이해), 지역사회 자료 조사 및 검토, 주요 인사 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교육과 과제를 통해 학생들에게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협동적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배우게 하였다.

오늘날 지역사회의 주요 문제는 빈곤 해소와 가족관계 강화에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은 공공 기관과 민간기관 간의 지역사회 협의체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역사회 조직화 주도 경험을 위해 학생들은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영역이 아닌 실천의 장, 예를 들어 흑인 교회, 레크레이션 센터, 건강 센터 등에 소개되었다. 활동의 결과 학생들 상호간 인적 연결망, 실천현장간 연합체 결성의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곧 바로 이들 기관에 학생들의 취업기회 확대를 가져왔다.

석사과정 교과과정 문제는 그 동안 거시실천방법 교육 부족은 거시실천영역 전공학생 수의 감소, 미시실천 전공 학생들의 거시과목 선택 감소의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석사과정 초기에 지역사회 관련 과목의 교육 기회 제공은 거시실천 선택의 확대를 가져 왔다.

연구 결과 Johnson은 지역사회복지 교육과 관련해서 4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거시실천 전공 학생들의 경우 실천관점을 "환경 속의 개인(person-in-the-environment)"에서 "개인을 둘러싼 환경(environments-surrounding-the-person)"으로 전환시켜서 처음부터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켜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 활동가들의 활동의 장을 전통적 의미의 사회복지실천의 장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셋째, 주요 실천 현장인 빈민지역 등 일정 지역별로 적정 학생들을 일정기간 실습하게 하여야 한다. 그 결과 학생들간 인적 연결망이 형성되어 특정 지역에서의 실천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넷째, 초기에 정규 수업 외 지역사회실천 관련 교육기회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Margolis 등(2000)은 지역사회에 기초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에 의한 전문 교육프로그램의 틀을 제시하고 있다. 노스 케롤나이나대학 지역사회 기반 공공보건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능력(community capacity) 향상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서 지역사회 능력배양이란 지역사회의 공공 보건정책 결정과 집행 과정 참여 및 주도, 보건기관과 지역사회와의 관계 재 규정, 연구 및 교육에 지역사회 지향 확대를 의미한다. 교육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육 목표, 교육 파트너, 지역사회 지향 정도, 교육 결과물, 수업시간, 교육자 등의 6가지로 이루어진다.

교육의 목표는 교육에서 지역사회 능력배양을 얼마나 고려하는 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능력배양이 교육의 목적과 목표에서 언급되는 정도에서부터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로 삼는 것까지 다양한 편차가 있다. 교육 파트너는 교육을 함께 담당하는 주체와 관련해서 1차 보건의료서비스 제공기관부터 취약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풀뿌리조직까지 얼마만큼 광범위한 집단을 포함하는가를 평가한다. 지역사회 지향 정도는 교육활동 중 1번의 지역사회 관찰이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모든 교육활동이 지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가 등의 여부를 평가한다. 교육 결과물은 관련보고서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 정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의미하며, 수업시간은 수업시간에 얼마나 지역사회 참여가 이루어지는가를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자는 교육과정에 다양한 관계자들의 조직적 참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가를 평가한다.

지역복지교육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변화를 위해 활동하는 다양한 집단들에 초점을 둔 교과과정의 편성이 요구된다. 기존의 지역복지 조직활동에 더하여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풀뿌리 조직, 이익 집단, 노조 등 기능 집단에 대한 실천교육, 지역운동을 주도하는 것은 개인이 아니라 집단이라는 점에서 집단지도론 교육과의 연계 그리고 학교, 지역복지관, 교회, 노동조직, 인권조직 등과의 연대활동을 고려한 교육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인재/한신대, 사회복지위원회 위원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