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무상급식 문제가 경기도 교육청의 추진과정에서 좌파사회주의 정책이니 포퓰리즘 정책이니 하는 논란에 이어 올해 6월 지방자치제 선거의 큰 이슈로 ...
경제위기 하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각지대 해소 방안 부양실태에 맞지 않은 부양의무자 제도와 간주부양비를 중심으로 이찬진(변호사) 1998년 ...
우리 사회가 직면한 진짜 재앙은... 김보영(이화여대 박사후 연구원) 6년여 전 참여연대 간사를 하다가 무지를 깨닫고 유학길에 올라 다다른 곳은 영국...
이명박 대통령이 ‘중도’와 ‘친서민정책’을 표방하며 새로운 정책적 전환을 모색한다고 한다. 일단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엠비(MB) 정부가 진정 서민...
처음부터 많은 이들이 헷갈려했다. 도대체 능동적 복지가 무엇이냐고 …. 누가 보아도 성장 지상의 신토건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새정부가 국적 불명의 ...
올해는 장애인 실태조사를 하는 해다. 1980년부터 5년마다 해오다 2007년 조사 주기가 3년으로 단축됐다. 장애발생률과 장애인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
그 할머니, 그 할아버지 "아들과 연락이 끊긴지 벌써 한참 되었어. 지금은 이렇게 몸이 아파서 약을 달고 살고 있는데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으려고 ...
국민보다 기업이 우선인 기획재정부, ‘공· 사보험 정보공유’ 철회해야 문상준 (서울의대 의료관리학교실, 의사) 보안이 철저하게 유지되고 있는 CIA의 ...
최근 우리 사회는 전에 없는 복지논쟁이 한창이다. 민주사회에서 논쟁이 일어나는 것은 생산적이며 바람직한 일이다. 그런데 논쟁이 일어나는 과정에...
참여를 위한 정치 바로 보기 18대 대선 후보들의 복지공약 유감 대선후보들은 구체적인 공약을 제시하고 자신이 당선되면 제시한 공약을 어떻게 성실...
지지율 수치만큼인 MB의 복지성적 점수 : MB정부의 잘못된 3대 작위(作爲)와 3대 부작위(不作爲) 디딤돌복지, 능동적 복지, 휴먼뉴딜, 친서민정책. MB...
윤홍식(인하대학교 교수) 요즘처럼 맥이 빠지는 시기도 없었던 것 같다.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던 언론인들이 검찰에 붙잡혀가고, 촛불집회에 참...
[오마이뉴스 연재] 영리병원이 절대로 허용되어서는 안되는 이유 이찬진 참여연대 공동집행위원장 [링크] 오마이뉴스 원문보기 참여정부가 경제자...
임성만(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회장) 나는 누구일까? 어떤 사람이든 자기가 누구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일정 기준을 가지고 자기를 다른 사람과 '분류...
지난 13일은 사회복지학을 연구하는 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기쁜 날이었다. 정부와 한나라당이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2014년까지 7,000...
[칼럼] 이상한 나라의 이상한 복지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영국의 작가 찰스 도지슨이 1865년 발간한 책이다. 적어도 174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을 ...
1504:15:00. 이명박 퇴임시계가 인터넷에 떠다니고 있단다. 2009년 1월13일 오전 9시에 확인해 보면 시계의 숫자는 친절하게 1504일하고도 15시간이 남...
[칼럼] 아침을 열며 성장의 저주 사제는 말했다. “이 병은 하느님이 우리의 죄를 벌 주려 보내신 것이요. 이 세상은 악으로 가득 차고 있소.” 신자는...
흐르는 구름이 해를 가릴 수는 없다. 비록 온통 구름에 싸여 희뿌연 하늘이 계속되는 겨울 들녘이라 해도 머리를 들면 구름 너머 창공에는 찬란한 태양...
현재 한국사회에서 복지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흐름은 복지시장화라 할 수 있다. 복지시장화 우려는 참여정부 때부터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이명박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