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기 후기] 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권리, 동물권

참여연대 20기 청년공익활동가학교는 2017년 7월 3일(월)부터 8월 10일(목)까지 6주 동안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24명의 20대 청년 분들이 함께 참여하는데, 이 6주 동안 우리 청년공익활동가학교 친구들은 인권과 참여민주주의, 청년문제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직접행동을 기획하고 진행함으로써 미래의 청년시민운동가로 커나가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후기는 이지현님께서 작성해주셨습니다 🙂

* 청년공익활동가학교란?
청년공익활동가학교는 그 동안 방중마다 실시되었던 참여연대 인턴프로그램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청년들의 공익활동을 위한 시민교육과 청년문제 해결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공부하는 배움 공동체 학교입니다.

<카라> 김혜란 님 강연 후기

저는 강아지 두 마리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사랑하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만큼 동물을 좋아하고, 개 식용이나 공장식 축산에 반대하며 동물권에도 관심이 많았지만 혼자서 깊이 공부해본 적은 없었는데 동물 보호 시민단체인 <카라>를 알게 되고 강연을 들었던 것이 정말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카라>는 현재 산하 보호소가 없고 대신 마포구 서교동에 동물 보호 교육 센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1층에는 입양 카페 아름품, 2층에는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동물 병원, 3층에는 고양이 사서들이 있는 동물 전문 도서관이 있습니다. 저는 특히 동물 전문 서적들을 아카이빙할 수 있는 도서관을 지었다는 점이 정말 좋았습니다. 구조나 보호, 캠페인과 같은 기존 활동들도 정말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사람도 살기 힘든데”, “동물 때문에 사람이 불편해야 해?”, “사람 복지 먼저”와 같은 편견들을 극복하고 동물권, 생명권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확산시키려면 지속적인 교육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0170726_[강연]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권리, 동물권 (1)   20170726_[강연]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권리, 동물권 (2)

강연을 함께 들은 청년공익활동가 학교 동료들은 본인이 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어서, 혹은 동물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동물권에 대해 말하기 어려웠다는 고민을 나누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연을 통해 얻은 답은, 동물권 운동은 동물을 ‘좋아하는’ 것, 동물과 친밀한 것과 무관하다는 것입니다. 인권 운동을 비롯한 모든 사회 운동은 노예,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청소년 등 끊임없이 낮은 곳을 향해왔습니다. 동물 운동을 통해 더 많은 생명들을 존중하고 권리를 찾아가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인 것입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더 약한 존재를 찾고 존중하고 연대하는 ‘선택’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 법체계에서는 동물을 물건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반면 독일과 같은 나라들의 헌법에서는 동물을 제3의 존재로 명시하고 생명으로서 존중합니다. 안락사 없는 No-Kill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뉘른베르크에서는 주민 1명당 1유로의 세금을 동물 보호에 사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독일 여행을 갔을 때 지하철을 반려동물과 함께 이용하는 시민들이 정말 흔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반려동물과 함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너무 불편하고 눈치 보였던 경험이 있는 저에게 매우 와닿는 차이였습니다.

모든 폭력이 그러하듯이 동물에 대한 폭력도 인간과 동물 간의 위계 때문에 형성되며, 또한 연쇄적입니다. 연쇄살인범의 100%, 강력범죄자의 80%에서 동물 학대 이력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왜 인권 운동에서 더 나아가 생명권 운동을 해야 하는지, 왜 끊임없이 낮은 곳을 향해야만 하는지, 왜 당사자가 아님에도 연대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대목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동물 학대 처벌에 대해 국내법은 그 대상을 ‘반려동물’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주인’이 반려 개를 학대하고 있어도 그 개를 식용으로 키우는 것이라고 주장하면 처벌할 근거가 없어지는 것입니다. 한국의 동물 보호법이 너무나 열악한 수준이라는 것을 체감하며 분노를 느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기견 보호소에 대한 현황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익히 알려져 있듯이 지자체 보호소는 그 수 자체도 매우 적고 각 보호소의 인력도 매우 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그곳에 있는 개들의 건강이나 환경에도 문제가 생기고, 입양이 될 때도 신원 확인 등이 제대로 되지 않아 식용 개장수에게 입양되거나 펫샵에서 되팔이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 복지 관련 자격증도 생겼다고 하는데, 이 부분을 본격적으로 전문 인력화해서 지자체 차원에서 일자리도 창출하고 제대로 된 관리도 할 수 있게 상황이 많이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후기를 쓰는 와중에 친구와 함께 방학 중에 마포구에 있는 더불어숨센터에 방문해서 동물 관련 책을 읽는 시간을 가지기로 약속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거나 동물 ‘애호가’가 아니더라도, 혹은 당장 육식을 전면적으로 그만두지 못하더라도 끊임없이 더 윤리적인 선택을 하고 더 약한 존재의 권리를 찾아가는 노력을 모두가 함께하면 좋겠습니다!

20170726_[강연]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권리, 동물권 (3)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