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자료

발간자료 / 입법자료 / 소송자료

1994년부터 참여연대가 제기한 고소, 고발, 소송, 헌법소원 자료입니다. 시민적 권리의식 제고와 사회적 이익 향상을 위한 소송, 절차적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소송, 법시스템의 변화를 위한 소송 등 참여연대가 진행해 온 공익 소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가 요금제 가입 소비자들 mVoIP 서비스 차단한 이통사 상대 손해배상소송 제기

소송
민사소송
작성일
2013-09-30

진행상황 : 진행중

원고 : 참여연대, 경실련, 민변, 오픈넷, 진보넷,

피고(피청구인) : SK텔레콤, KT

내용 및 경과 : 2013.09.30. 저가 요금제 가입 소비자들 mVoIP 서비스 차단한 이통사 상대 손해배상소송 제기
2015.02.23. 서울지방법원, 원고 패소
2016.01.13. 서울중앙지방법원, 항소 기각
2016.04.19. 대법원, 상고이유서부제출기각

담당재판부/기관 : 서울중앙지방법원

사건번호 : 2013가단5131238


 



- 이용자가 구매한 데이터 용도를 일방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공정거래법 상 금지되는 거래상 지위남용행위에 해당


지난 8월 말에 예고한 바와 같이 3~4만 원대의 저가요금제에 가입한 소비자들과 함께 2013. 9. 30. 이동통신사를 상대로 저가요금제에서 모바일인터넷전화(mobile-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하 “mVoIP”)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 손해를 배상하라는 취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함


이번 손해배상소송에서 피고는 저가요금제에서 mVoIP 서비스를 완전 차단하고 있는 SK텔레콤과 KT이며, 원고는 SK텔레콤이나 KT의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서비스(3G 또는 4G LTE 사용자)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 중 저가요금제에 가입하여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 총 16인임.


-공정거래법 제56조 ‘거래상 지위남용행위’ 금지 의무 위반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제56조는 사업자가 공정거래법의 규정을 위반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 경우에는 당해 피해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이번 소송의 소장은 “공정거래법은 불공정거래행위로서 ‘거래상 지위남용행위’를 금지하고 있고, 동법 시행령은 거래상 지위남용행위 중 하나로 ‘불이익제공’을 금지하고 있는데, 이동통신사가 이용자가 구매한 데이터를 저가요금제라는 이유만으로 mVoIP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은 공정거래법 상 거래상 지위남용행위 중 불이익제공 금지 의무를 위반한 것이므로, 해당 이동통신사는 이용자에게 그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점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


- mVoIP 서비스 사업자들이 제시하는 데이터 소모율은 분당 약 0.4~0.6MB 정도인데,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시간당 약 24~36MB 정도이고, 이를 요금으로 환산하면 시간당 약 1,224~1,836원 정도가 나온다. 한편, 피고들이 제공하는 음성통화 서비스의 요금은 초당 1.8원이고,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시간당 약 6,480원의 요금이 부과된다.  이와 같이, mVoIP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는 경우에 비해 피고들이 제공하는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는 경우 소비자인 원고들은 약 4~5배 정도 높은 요금을 내야 하는 불이익을 입게 되는 것이다.


특히 mVoIP 서비스를 국제전화에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경우 mVoIP를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입게 되는 손해가 더 클 수밖에 없다는 점도 함께 명시되었다. 국제전화 이용요금이 가장 싼 미국(1분당 100~200원)을 예로 들면, 이 경우에는 음성통화 서비스 요금(시간당 약 6,480원)과 함께 국제전화 이용요금(시간당 6,000~12,000원 정도)까지 부담해야 하므로, 국내통화 때보다 훨씬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것임.


본 소송을 기획한 시민단체들은 지난 7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내린 mVoIP 차단 관련 판단은 인터넷에 내재한 개방성과 이를 무시한 대기업들의 소비자 이익 저해 행태의 심각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일 뿐 아니라 공정거래법 제56조상 거래지위남용 금지조항 위반 여부에 대해서 판단이 누락된 점을 강조하며, 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