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사회연구소 읽을거리 2002-07-16   3194

유엔 인권관련 국제협약 2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 ICCPR

채택일 1966년 12월 16일, 발효일 1976년 3월 23일, 당사국 2002년 2월 현재 148개국, 대한민국 적용일 199년 7월 10일

유엔총회는 1966년 12월 시민ㆍ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을 채택했다. 10년이 지난 후 35번째 비준서가 유엔 사무총장에게 기탁된 날로부터 3개월 후인 1976년 3월 23일 자유권규약은 법적 효력을 발효했으며, 현재 148개국(2002년 2월 기준)이 가입되어 있다.

자유권규약은 전문과 6부 53조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인민의 자기결정권(self-determination 혹은 자결권), 2부는 당사국의 이행의무와 차별금지, 남녀평등, 규약의 제한범위를 다루고 있다. 실체조항은 3부 6조부터 27조까지 구성되어 있는데 주요 조항으로 6조 생명권, 7조 고문금지, 8조 노예제도 금지, 9조 신체의 자유, 12조 거주·이동의 자유, 14조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및 평등, 17조 사생활(privacy) 보호, 18조 사상·양심 및 종교의 자유, 19조 표현의 자유, 21조 평화적인 집회의 권리, 22조 결사의 자유 등이 있다.

또한 24조와 27조는 세계인권선언에서 빠진 아동과 소수자의 권리보호를 언급하고 있고, 41조는 국가간 청원권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세계인권선언에서 보장한 재산권(rights to own property), 국적권(rights to a nationality) 등은 각 국가 간의 견해 차이 등 여러 사유로 자유권규약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자유권규약은 정부가 비상사태시 예외적으로 권리를 유보하거나, 특정한 권리의 행사방법을 제한하도록 허용하는 조항(4조)을 두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가장 본질적인 내용(essence)은 침해될 수 없음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제인권법 체계에서도 예외적으로 불가피한 경우 인권과 근본적인 자유를 제한할 수는 있는데 이 경우 3단계 원칙이 적용된다.

첫째, 어떠한 경우든 “법에 의해 명문화”(‘prescribed by law 원칙’)되어 있지 않으면 권리를 제한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법이란 자의적(arbitrary)이지 않고, 불합리(unreasonable)하지 않으며, 차별금지적(non-discriminatory)이어야 한다. 또한 법의 내용도 명확(clear)해야 하고, 누구든지 접근가능(accessible)해야 한다. 혹시라도 불법행위 또는 남용행위가 발생했다면 책임자 처벌, 피해자 보상 및 사과 등 실질적인 구제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국가보안법과 보안관찰법은 국제기준에 미달한다.

둘째, 그 제한이 “민주사회에서 꼭 필요”한 경우라야 한다(‘necessary in a democratic society 원칙’)는 것이다. 이러한 제한이 민주사회 작동원리를 저해하지 않는다는 입증책임은 당사국이 진다. 여기서 민주적인 사회에 대해 유일한 모델에 대한 합의가 여의치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국제인권법은 유엔헌장의 목적과 원칙 그리고 세계인권선언 등의 개념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당한 목적”을 가져야 한다(‘legitimate aims 원칙’)는 것이다. 정당한(정의로운) 목적이란 사회전반의 복지증진(공공복리) 등이다. 한편, 이러한 제한조치는 어디까지나 예외이기 때문에 보다 엄격하고 좁게(narrowly) 해석해야만 한다.

한국정부는 1990년 4월 10일 자유권규약의 비준서를 유엔에 기탁하였고, 1990년 7월 10일부터 규약의 적용을 받아 오고 있다. 반면 북한은 1981년 9월 14일 자유권규약에 가입하였다.

자료출처 : 인권운동사랑방

n6726.hwp

첨부파일: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