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글] 도와 술

여는글

와 술

 

다기망양多岐亡羊이라는 고사가 있다. 갈림길이 많아서 양을 찾을 수가 없다는 뜻이다. 『열자』 「설부」편에 나오는 말이다. 부국강병이 국가의 절대적 목표였던 중국 전국시대, 개인의 주체와 존엄을 주장했던 철학자 양주楊朱, BC 475~221가 있었다.  

 

어느 날 양주의 이웃집에서 기르던 양 한 마리가 우리를 나와 달아났다. 

그 이웃 사람은 자기 식구들을 모두 동원하여 양을 찾아 나서느라 소란스러웠다. 

그리고 양주에게도 하인들을 청해 그것을 따라가게 했다. 

양주가 말했다.

“아! 양 한 마리를 잃어버리고 어찌 쫓는 사람이 이리 많은가!”

이웃 사람이 말했다.

“갈림길이 많습니다.”

얼마 후 양을 뒤쫓아 갔던 사람들이 피곤한 기색으로 돌아왔는데 시무룩했다. 

“양을 잡았느냐?”

“잃어버렸습니다.”

“어째서 잃어버렸느냐?”

“갈림길 가운데 또 갈림길이 있으므로 저는 양이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어서 되돌아왔습니다”

양주는 이 말을 듣고는 얼굴빛을 바꾸고 말하지도 웃지도 않으며 하루를 보냈다.

(하략) 

 

이에 대해 양주의 제자 맹손양이 선배인 심도자를 찾아가 그 뜻을 물으니 심도자는 이렇게 말했다. 

 

“큰 길에는 갈림길이 많아 양을 잃었고, 학자는 방법이 많음으로 그 본성을 잃는다는 것이지. 학문이란 근본이 같지 않은 것은 아니며 근본은 하나가 아님이 없지. 끝에 가서는 차이가 이와 같구나. 오직 근본으로 돌아가면 얻는 것도 잃는 것도 없다는 것이지.”

 

인간 사회의 문명은 시간과 함께 거듭거듭 진화한다. 진화란 곧 다양한 길을 뜻한다. 두 발로 걷고 기껏해야 말을 타고 다니던 옛 시절과 달리, 지금은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른 문명의 다양한 생산을 가늠할 수 없을 정도다. 하룻밤 자고 나면 신기술, 신제품이 쏟아져 나오곤 한다. 신구新舊의 교체 시간은 하도 빨라서 ‘신’이라는 말이 금세 ‘구’가 되고 마는 세상이다. 신기술, 신제품이 대량/다량으로 쏟아져 나오고, 그 빠른 교체에 적응하기 매우 힘들다. 이에 적응하지 못하면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으로 인식하고 인식된다.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 괜스레 주눅이 든다. ‘진화’와 ‘다양성’이라는 갈림길이 갈수록 가지를 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문명의 도구들은 정신 못 차릴 정도로 거듭거듭 다종다양해지고 있을까?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필요하다고 해서 만들었을 것이다. 좋아서 만들었을 것이고, 편리하다고 해서 만들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리하지 않으면 물건이 팔리지 않고 퇴보하고 몰락하기에 그럴 것이다. 그리고 다양성이 문명의 진화라는 믿음이 있을 것이다. 

 

생각해보자. 이제 디지털과 인공지능의 문명은 주류가 되어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다. 이를 트렌드라고 하고,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말한다. 충분히 그럴 것이다. 작정하고 문명의 이기理氣를 청산하고 혼자 숨어 살지 않고서야 이런 흐름에 따라야 한다. 간혹 보자니 〈나는 자연인이다〉에 나오는 사람들도 휴대전화는 거의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또 생각해보자. 첨단 문명의 도구가 헤아리고 예측할 수 없는 모습을 가지고 있는데, 자칫 ‘갈림길’에서 ‘양’을 찾지 못하는 형국은 아닌지. 그렇다면 그 ‘양’은 우리 시대에 무엇인가? 마음의 여유와 평화,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시간, 일도 빛나고 삶도 빛나는 일상, 어느 존재도 소외와 배제가 없이 더불어 숲을 이루고 사는 삶, 이런 것들이 바로 우리가 찾아야 할 ‘양’이 아닌가? 그러기에 답은 분명할 것이다. 늘 해답은 단순명료하다.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공존의 사회이고 문화일 것이다.

 

가상공간의 시대가 오고 있다. 메타버스라는 말이 등장하고 있다. 머지않아 일상의 문화가 될 것이다. 이럴수록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정신 차리지 않으면 무수한 갈림길은 미로가 되고 길에서 길을 잃는다. 

 

이런 말이 있다. 마술사가 술법으로 호랑이를 만들었는데, 그 호랑이에게 마술사가 잡혀 먹혔다는 얘기다. 현대사회는 갈수록 테크놀로지라는 술법이 눈부시게 탄생한다. 그 술법에 우리 삶이 속박당하지 않으리라고 누구도 장담하지 못한다. 도는 없고 술만 기세를 부리는 시대를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도가 빛나고 술도 빛나는 길! 그 길은 도를 잃지 않는 일에서 시작한다. 도를 빛나게 하기 위해 술이 있다. 명심하고 명심하자. 

 

여는글

 

➊ ➋ 김원중, 《고사성어 사전 : 한마디의 인문학》, 휴머니스트, 2020 

➌ 원시 삶 속에서 여유와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자연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MBN 교양프로그램

 


글. 법인 스님 참여사회 편집위원장

16세에 광주 향림사에서 천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대흥사 수련원장을 맡아 ‘새벽숲길’ 주말 수련회를 시작하면서 오늘날 템플스테이의 기반을 마련했다. 실상사 화엄학림 학장, 〈불교신문〉 주필, 조계종 교육부장,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지냈으며 현재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지리산 실상사에서 공부하고 있다.

>> 2022년 1-2월호 목차보기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