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21년 09월 2021-09-01   990

[환경] 라벨이 말하지 않는 것들

라벨이 말하지 않는 것들

 

 

참여사회

 

옷에 붙은 라벨을 꼼꼼히 읽어본 적 있나요? 라벨에는 소재, 생산지, 세탁 방법 등 옷에 대한 기본 정보가 담겨 있어요. 그런데 이 정보를 한 번 더 곱씹어 보면 라벨 너머 자리 잡은 생산구조가 보입니다. 생산과정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누가 고통을 겪는지 말이지요. 

 

많은 옷의 소재로 폴리에스터polyester가 쓰입니다. 폴리에스터의 원료는 석유화학공장의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에틸렌ethylene과 파라자일렌paraxylene 즉 페트PET입니다. 틀에 넣어 사출하면 페트병이 되고 실을 뽑아 옷감을 짜면 폴리에스터가 됩니다. 대체 석유에서 섬유 뽑을 생각을 어떻게 했을까요? 석유가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오면서 다방면으로 활용도를 떠올리는 과정에서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을지 모릅니다. 게다가 폴리에스터의 단가는 면보다 무려 70~80% 저렴하니 망설일 이유가 없었겠지요. 질기고 염색이 잘 되며, 구김이 잘 가지 않고 빨리 마르는 등 폴리에스터의 장점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매력적이었을 겁니다.

 

그런데 말이지요. 편리한 기술이란 이유로 한 자락 의심 없이 두 팔 벌려 환영했다는 점은 무척 아쉽습니다. 편리함 이면에 숨어있을지 모를 어떤 위험을 왜 의심조차 하지 않았을까요?

 

옷, 일회용품이 돼버린 시대

라벨에는 중국,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여러 국가들의 이름도 적혀있어요. 염색, 워싱 등의 제조 공정에서 폐수를 비롯해 여러 오염원을 배출하고 있는 의류 기업들이 비교적 환경 규제가 허술한 저개발국가로 공장을 옮겨다닌다는 얘기는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저개발국가의 값싼 노동력은 저렴한 옷값으로 이어집니다. 옷값의 문턱이 낮아지니, 패션의 유행이 일 년에 많게는 오십 번이나 돌아옵니다. ‘패스트 패션’이라고 불리는 이유지요. 지난봄 입었던 옷은 이듬해 봄이 되면 이미 한물간 옷이 돼버립니다. 싸게 산만큼 옷이 금방 해지기도 합니다. 입던 옷을 다시 입지 않게 될 확률은 점점 올라가겠지요. 옷이 일회용품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잘 사는 북반구 소비자들이 계절마다 유행 따라 값싸게 옷을 사 입는 동안, 남반구 의류 공장은 무너져내렸습니다. 2013년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 외곽에 위치한 라나플라자 건물 붕괴사고였어요. 그곳에서 일하던 의류공장 노동자 1,138명이 사망, 2,500여 명이 부상당한 대형 사고였는데, 희생자 대부분이 여성이었습니다. 사고 이후 그들이 얼마나 열악한 환경에서 턱없이 싼 인건비를 받아왔는지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사고 이후 피로 짠 옷을 입지 않겠다는 유럽 소비자들의 요구가 있었지만 패스트 패션은 여전합니다. 

 

그토록 많은 옷이 소비되니 버려지는 옷도 많을 수밖에요. 동네 의류 수거함으로 모이는 옷들의 행방이 궁금했던 적 있나요? 중고 의류의 고작 5%만 대한민국 땅에서 활용되고 나머지는 모두 저개발국가로 떠넘겨집니다. 우리나라 인구 규모는 세계 28위지만, 중고 의류 수출은 세계 5위입니다. 폐기물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저개발국가로 밀려드는 옷 가운데 절반은 그대로 쓰레기가 되어 강가며 마을 곳곳에 산을 이룹니다. 

 

월간참여사회 2021년 9월호 (통권 288호)

우리나라에서 버려진 옷의 대부분은 저개발국가로 떠넘겨진다 ⒸIkhlasul Amal

 

의류산업 배출 이산화탄소량, 세계 배출량의 10%

잘 사는 나라들이 오직 ‘소비’의 즐거움만 취사선택하고 나머지 귀찮고 더러운 과정은 저개발국가에 떠넘기는 행태를 보고 있자면, 인간 이기심의 끝이 궁금해집니다. 스웨덴의 기후 활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올해 성년을 맞아 더 이상 새 옷을 사지 않겠다고 선언했다지요. 옷장에서의 탄소배출은 상상조차 못했던 이들에게 이 선언은 신선한 충격과 의문을 동시에 던져줬습니다. 

 

세탁할 때마다 합성섭유에서 떨어져 나오는 미세플라스틱은 바다로 흘러가 어패류의 몸을 거쳐 결국 다시 인간에게 되돌아옵니다. 세계 생산 면화 중 유기농 면화는 고작 1%에 불과합니다. 면화 농업에는 많은 살충제와 농약이 쓰입니다. 모두 석유 기반 물질이지요. 원유를 원료로 하는 합성섬유는 매립을 하든, 소각을 하든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저런 의류 공정으로 의류산업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세계 전체 배출량의 무려 10%나 된다고 합니다.

 

옷의 단가를 낮추기 위해 의류 기업들이 과잉생산을 하면서 도미노처럼 벌어지는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뭘까요? 옷 생산에 문제를 느끼고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유기농 면으로 옷을 만들거나 기부받은 옷을 리폼해서 새 옷을 만드는 기업도 있고요. 때론 옷을 되살려 판매한 금액으로 파키스탄 빈민가 아이들의 학교를 짓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방법이 우리의 끝없는 욕망을 조절하지 못한다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➊ 한살림생활협동조합은 2017년부터 매년 4월, 옷되살림 운동으로 모인 옷을 재판매하여 그 금액으로 파키스탄 알카이르 학교를 지원하고 있다


글. 최원형 환경생태작가

우연히 자작나무 한 그루에 반해 따라 들어간 여름 숲에서 아름답게 노래하는 큰유리새를 만났습니다. 큰유리새의 아름다운 새소리를 다음 세대도 들을 수 있는 온전한 생태 환경을 바랍니다. 『세상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착한 소비는 없다』 외 다수 저.

 

>> 2021년 9월호 목차보기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