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4년 10월 2014-09-29   1162

[듣자] 브람스, 투박한 껍질 속의 달콤한 열매

브람스,
투박한 껍질 속의
달콤한 열매

이채훈 MBC 해직 PD

듣자-노년 브람스
듣자-qr코드

브람스 교향곡 4번 E단조 Op.98

이 음악을 듣고 싶다면? 

유투브에서 Brahms Symphony 4 Carlos Kleiber를 검색하세요.

http://youtu.be/wxB5vkZy7nM

1853년 10월, 스무 살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가 슈만과 클라라의 집을 처음 방문한 건 낙엽 지는 가을이었다. 그는 갓 작곡한 소나타 1번을 연주해 보였다. 슈만은 <새로운 길>이란 평론에서 “크로노스의 머리에서 완전무장한 미네르바처럼 갑자기 나타난 거장”이라며 브람스를 격찬했다. 이 글 덕분에 브람스는 단숨에 유명 음악가의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선배의 큰 기대는 젊은 브람스를 무척 부담스럽게 했다. 슈만의 의도와 달리 브람스는 극도로 긴장했고, 자기 비판적인 성격이 더욱 굳어졌다.

베토벤의 아홉 교향곡은 낭만시대 작곡가들이 넘어야 할 거대한 산이었다.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 <환희의 송가>로 교향곡의 역사는 끝난 것처럼 보였다. 베를리오즈, 리스트, 바그너는 미래를 향해 날아갔다. 새로운 관현악법의 교향시와 거대한 악극으로 베토벤과는 다른 세계를 열어 보였다. 브람스는 과거로 걸어갔다. 그는 베토벤, 모차르트, 바흐를 넘어 팔레스트리나까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옛 음악을 연구했다. 옛 거장들의 유산 속에 음악적 자산이 이미 다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구축하면 될 일이었다. 그러나 교향곡에서 베토벤과 비교되는 운명을 피해 갈 수 있는 작곡가는 없었다.

브람스는 교향곡을 섣불리 내놓지 않았다. 1876년 첫 교향곡을 완성하기까지 무려 20년의 산고를 겪었다. 그 기간 브람스는 베토벤을 끊임없이 의식해야 했다. 첫 교향곡은 C단조의 조성이 베토벤 5번과 같았고, 4악장의 웅대한 행진이 베토벤 9번의 피날레를 연상시켰다. 이 곡이 초연되자 지휘자 한스 폰 뷜로는 “드디어 베토벤 교향곡 10번을 얻었다”며 최고의 찬사를 바쳤다. 이러한 평가에 브람스는 물론 기뻐했지만, 마음 한 켠이 씁쓸했을 것이다. 누군가와 비교하며 칭찬한다는 것은 뒤집어 보면 그 사람만 못하다는 말 아닌가.

브람스는 이미 빈 음악계의 가장 중요한 인사로 안정된 삶을 누리고 있었다. 하지만 베토벤과 비교하며 칭찬인지 아첨인지 모를 평론가들의 입방아는 계속됐다. 한스 폰 뷜로는 “브람스는 바흐, 베토벤과 함께 독일 음악의 위대한 3B”라고 치켜세웠다. 브람스가 사람들의 평가에 연연하는 사람이었다면 이미 필생의 꿈을 이룬 셈이었다. 그러나 브람스는 속물이 아니었다. 남들의 시선이 아니라 자기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살아가는 사람이었다. 그의 교향곡 중 베토벤과 비교되지 않은 건 마지막 작품인 4번 E단조, 단 하나였다.

듣자-자필악보

브람스 교향곡 4번의 자필악보

이 곡에는 낙엽 지는 늦가을의 쓸쓸함과 황량함이 짙게 배어 있다. 브람스의 우수어린 색조는 만년이 될수록 짙어져 갔다. 평생 ‘자유롭게, 그러나 고독하게frei aber einsam’ 살다 간 브람스는 이 곡에서 완전히 내면으로 침잠하는 모습을 보였다. 슈만은 브람스를 처음 만난 뒤 3년 만에 세상을 떠났지만, 부인 클라라 슈만은 평생 브람스의 음악적 연인으로 살았다. 브람스가 걸어간 인생길에 여러 여성이 교차했지만 40년 넘도록 한결같이 존중하고 아낀 소울메이트는 클라라뿐이었다.

그녀는 “브람스 음악은 투박한 껍질 안에 가장 달콤한 알맹이가 들어있는 열매”라고 했다. 브람스는 4번 교향곡을 작곡한 오스트리아 산골 뮈르츠추슐라크에서 말했다. “이 작품이 기후 영향을 받는 게 아닌지 두렵네. 여기서 생산되는 버찌는 결코 단맛을 내는 법이 없어.” 브람스는 아침마다 아주 진하고 독한 블랙커피를 마셨는데, 이 교향곡 또한 쓰디쓴 커피 맛을 닮은 게 아닐까. 그는 심오하고 아름다운 정신을 무뚝뚝한 태도와 엉뚱한 언행으로 가린 채 살았다. 이 투박한 껍질은 자신의 내면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4번 교향곡의 달콤함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클라라 슈만 아니었을까?

처음 만난 그날처럼 낙엽 뒹구는 1895년 10월 아침, 브람스와 클라라는 마지막으로 마주 앉았다. 벌써 40년이 넘었다. 클라라는 브람스의 인터메조를 연주했고, 브람스는 묵묵히 들었다. 77세 할머니가 된 클라라, 63세 초로의 브람스……. 두 사람은 지난 세월을 되새기며 힘없는 미소를 나누었다. 이듬해 5월, 클라라가 위독하다는 소식에 브람스는 프랑크푸르트로 서둘러 출발했지만 그녀의 임종을 지킬 수 없었다. 이미 숨이 멎은 그녀를 보며 브람스는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고, 그녀가 떠나는 길을 향해 노래를 불러주었다. 장례가 끝난 뒤 브람스는 친구들에게 말했다. “오늘 나는 진정으로 사랑하는 오직 한 사람을 묻었다네.”

브람스는 4번 교향곡 자필 악보 1악장의 첫머리, ‘BG—EC—’ 음표 아래에 “오, 죽음이여, 죽음이여”라고 써넣었다. 이 곡을 클라라의 죽음에 바치고 싶었던 걸까. 그는 비탄에 젖어 말했다. “이렇게 고독한데, 그래도 살 가치가 있는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을 먼저 보낸 브람스는 이듬해, 1897년 4월 세상을 떠났다.

이채훈 

MBC에서 <이제는 말할 수 있다>와 클래식 음악 다큐멘터리를 연출했다. 2012년 해직된 뒤 ‘진실의 힘 음악 여행’ 등 음악 강연으로 이 시대 마음 아픈 사람들을 위로하고 있다. 저서 『내가 사랑하는 모차르트』, 『우리들의 현대 침묵사』(공저) 등.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