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행동은 바로 이것!
의義로움이 외로움이 되지 않도록 공익제보 수호자가 되어주세요
10.29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국회 통과를 위해 유가족들이 다시 농성과 행진에 나섭니다! 추운 날씨, 뜨거운 마음으로 함께해 주세요!
작년 9월 21일, 러시아의 푸틴은 30만 명의 시민을 추가로 전장에 투입하겠다고 동원령을 발령하였습니다. 소수 민족과 힘없는 취약한 계층부터 차별적으로 징집되어 […]
“그날의 진실 우리가 찾겠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100일 시민추모대회 독립적 조사기구 설치! 대통령 공식사과! 행안부장관 파면! 오는 2월 5일은 10.29 이태원 […]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항쟁 2년 연대행동💥 군부 쿠데타 2년, 미얀마 시민들의 불복종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쿠데타 2년은 곧 시민항쟁 2년입니다. […]
지난해 8월부터 이슬람사원의 공사가 재개되었으나, 여전히 이슬람사원 공사는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이슬람사원 공사를 막기 위해 일부 주민은 […]
국가권력이나 대기업 등 힘 있는 집단이 침해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권력의 남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송을 공익소송이라 합니다.
공익제보자들의 이야기에는 그 당시 사회적 상황과 문제들, 공익제보자 보호제도의 현실, 그리고 공익제보자를 응원하는 시민들의 모습이 담겨있습니다. 그 이야기들을 잊지 않기 […]
청년참여연대는 다양한 사회문제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모여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찾습니다.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사회문제를 […]
재개장된 광화문 광장에서의 집회시위를 금지하려는 서울시의 반인권적 행태에 맞서 인권단체들이 모인 <광화문광장 집회의 권리 쟁취공동행동>(이하 광화문공동행동)은 지난 10월 13일 불복종집회를 […]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을 위해 노조법 2·3조 개정 국민동의청원에 참여해주세요✍️ 12월1일까지 5만 명의 청원이 필요합니다.
한 권의 책이 갖는 힘 ‘양심의 호루라기를 부는 사람들 -인물로 본 우리 사회 공익제보의 역사’는 1990년부터 2021년까지 지난 30여년 동안 […]
계란이 바위를 부수기도 합니다. 그것이 공익소송을 하는 이유지요. 공익 소송을 위축시키는 ‘패소자 부담주의’를 개선한다면, 돈이 없다는 이유로 국가와 대기업으로 인한 피해를 참지 않아도 될 거예요.
히잡을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찰에 붙잡혀 의문사한 마흐사 아미니 사건을 계기로 이란의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성별을 뛰어넘은 저항은 […]
윤석열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을 내세우며 취임과 동시에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의 국방부 청사로 이전했습니다. 그러나 이전 과정 전체가 불투명하고 소통과는 거리가 […]
수도권매립지를 둘러싼 인천시와 서울시의 갈등, 자원회수시설 신설을 둘러싼 수도권 내 갈등 등. 쓰레기처리방식을 두고 여러 갈등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쓰레기 발생량 줄이기’입니다. 청년참여연대는 ‘시민의 입장에서 필요한 쓰레기 감축 정책 제안 캠페인’을 준비했습니다.
기후재난은 누구에게 재난일까요? 아마도 가장 극심한 불평등을 겪는 이들이 가장 큰 재난을 맞이할 것입니다. 분명한 것은 재난이 불평등하게 닥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한 경고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검사들의 나라’가 더욱 공고해지기 전에, 수사 절차가 엉망이 되어 시민들이 피해를 보기 전에 논의를 시급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시행령을 막을 수 없다면 국회가 나서서 제대로된 법률을 만들어야 합니다. 수사와 기소를 조직적으로 분리해 권한 오남용을 막아야 합니다.
참여사회연구소는 2018년부터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온 인문사회과학 분야 신진연구자를 응원하기 위해 논문상을 제정하고 지원해왔습니다. 우리 사회를 빛내줄 연구자들에게 힘이 되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