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행동은 바로 이것!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의 탄생과 함께 보낸 지난 1년, 검찰의 수사는 공정했을까요, 중립적이었을까요?
증거는 같았는데 결과는 뒤바뀐 월북과 탈북 의혹 사건, 가본 적은 없어도 모든 국민이 다 아는 대장동 사건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내가 사는 집도 깡통전세? 나도 당했을까 전세사기?
#빌라왕 #세모녀전세사기 #건축왕… 전국 도처에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의 탄생과 함께 보낸 지난 1년, 검찰의 수사는 공정했을까요, 중립적이었을까요?
증거는 같았는데 결과는 뒤바뀐 월북과 탈북 의혹 사건, 가본 적은 없어도 모든 국민이 다 아는 대장동 사건은 어떻게 된 것일까요?
내가 사는 집도 깡통전세? 나도 당했을까 전세사기?
#빌라왕 #세모녀전세사기 #건축왕… 전국 도처에서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전세사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양심의 소리를 외면하지 않고 용감하게 호루라기를 분 사람, 우리는 그들을 ‘공익제보자’라고 부릅니다. 공익제보자들이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비리와 불법을 용기 내어 제보한 덕분에 우리 사회는 더 나은 사회가 되어갑니다.
미처 몰랐습니다. 1년 만에 사회 전 분야가 이렇게 퇴행하고 후퇴할지는. 냉혹한 평가의 책임은 전적으로 최종 결정권자이자 국정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있습니다. 더 이상의 퇴행을 묵과할 수 없다는 시민들의 분노에 찬 목소리를 새겨들어야 마땅합니다.
<전세사기‧깡통전세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대책위원회>는 세분의 전세사기 피해자 죽음을 추모하고 더이상 안타까운 죽음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오늘(4/18)부터 5월 1일까지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모집이 마감되었습니다.참여연대 자원활동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자원활동가는 어떤 사람들일까요? 일반적으로는 ‘자원봉사자’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요, ‘봉사’가 더 나은 위치에 있는 […]
“우리는 당신이 어떤 사건을, 어떻게 수사 했는지 지켜보고 있다” 검찰개혁에 진심인 참여연대가 윤석열정부 1년 차 검찰보고서를 제작합니다. 올해로 벌써 15번째입니다.
하루아침에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유가족분들의 아픔이 하루빨리 치유될 수 있도록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으로 시민 여러분들의 힘을 모아주시기를 바랍니다. 2022년 10월 […]
다시 4월, 세월호 참사 9주기를 맞습니다.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 ‘안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지만, 지난해 […]
군사적 긴장을 낮추고 다시 대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시급합니다. ‘적대를 멈추고 평화로! 한미연합군사연습 중단! 3.11 평화행진’이 2023년 3월 11일(토) 오후 2시에 용산 대통령 집무실(전쟁기념관) 앞에서 진행됩니다.
정부가 대통령집무실이 위치한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와 백범로를 집회와 시위를 금지 또는 제한하는 집시법 시행령 개정안(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
대통령은 결코 ‘전제군주’가 아닙니다.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에 따라 국민으로부터 위임 받은 권한을 행사하는 최고위 공직자입니다. 당연히 공직자들에게 공직윤리와 공직기강의 모범이 […]
작년 9월 21일, 러시아의 푸틴은 30만 명의 시민을 추가로 전장에 투입하겠다고 동원령을 발령하였습니다. 소수 민족과 힘없는 취약한 계층부터 차별적으로 징집되어 […]
“그날의 진실 우리가 찾겠습니다” 10.29 이태원참사 100일 시민추모대회 독립적 조사기구 설치! 대통령 공식사과! 행안부장관 파면! 오는 2월 5일은 10.29 이태원 […]
미얀마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항쟁 2년 연대행동💥 군부 쿠데타 2년, 미얀마 시민들의 불복종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쿠데타 2년은 곧 시민항쟁 2년입니다. […]
지난해 8월부터 이슬람사원의 공사가 재개되었으나, 여전히 이슬람사원 공사는 원만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이슬람사원 공사를 막기 위해 일부 주민은 […]
국가권력이나 대기업 등 힘 있는 집단이 침해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권력의 남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송을 공익소송이라 합니다.
공익제보자들의 이야기에는 그 당시 사회적 상황과 문제들, 공익제보자 보호제도의 현실, 그리고 공익제보자를 응원하는 시민들의 모습이 담겨있습니다. 그 이야기들을 잊지 않기 […]
청년참여연대는 다양한 사회문제에 관심 있는 청년들이 모여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하고 방법을 찾습니다.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사회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