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시민운동을 대중적으로 알리고, 올바른 시민사회 여론 형성을 위해 참여연대가 발행하는 월간지입니다. 정부지원금 0%, 참여연대 회원들의 소중한 후원금으로 제작됩니다.

...
[목차] 참여사회 2023년 12월호 (통권 311호)

2023.12통권 311호 여는글 가해자의 말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 | 법인 스님 Issue 정의구현 전성시대“얼른 클릭해!” 범죄 장사가 계속되는 이유 | […]

...
[인터뷰] 모범생 목사는 이렇게 확신범이 됐다 – 이동환 목사

이동환 목사(수원 영광제일교회)는 2019년 8월 31일 인천퀴어문화축제에서 축복식을 집례했다는 이유로 지난 2020년 6월 기독교대한감리회(이하 감리회) 내에서 기소됐다. 감리회 헌법에 해당하는 […]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


...
부패는 ‘식국’이며 ‘식인’이다

부패는 ‘식국’이며 ‘식인’이다 잇닿는 떼죽음의 참상에 분노하고 비찬하던 사람들은, 이제 ‘사고의 세계화’, ‘참사의 세계화’를 자조하며 찬 웃음을 날린다. 찬 웃음을 […]

...
영국 시민사회와 제3세계를 잇는 민(民)의 다리

영국의 가톨릭국제관계연구소(Catholi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Relations) 영국 런던에 있는 가톨릭국제관계연구소(이하 CIIR)는 연구소가 아니다. CIIR은 그 어느 활동단체보다도 실천사업을 많이 하는 […]

...
1995, 아직은 끝나지 않았다.

– 한 시민운동가의 고백 1980년을 보낸 한 학생운동가가 당시를 회상한다. 그러면서 자신이 겪었던 좌절감과 그것을 딛고 지금의 시민운동가로 성장하기까지 솔직한 […]

...
허물어진 마지막 피난처

허물어진 마지막 피난처 극단적인 수사(修辭), 일상화한 승부욕 우리 대통령은 극단적인 용어를 잘 구사한다. 오랫동안 독재와 싸워서 그런지 그분이 즐겨쓰는 용어는 […]

...
양심선언자들을 돕는 호루라기

미국의 GAP(Government Accountability Project) 어느날 밤 한 마을 전체가 불에 타고 많은 사람이 죽었다. 그 마을의 한 여인은 그 화재는 […]

...
광고와 신세대론 – 이영애의 트로픽오렌지에서 레게베이지로

광고와 신세대론 – ‘이영애’의 트로픽오렌지에서 레게베이지로 현대사회에서 소비란 일종의 신앙이다. 소비사회에서 특별하게 이름 붙여진 신세대, X세대, 미시족 등이 소비집단을 창출해내기 […]

...
시민단체 후보와 선거 결산

시민단체 후보와 선거 결산 전국 동시선거에 따른 선거관리 능력의 한계를 드러내며 지역할거주의의 고착화로 대변된 이번 지방선거. 지난 6.27 지방선거 결과를 […]

...
수입농산물과 벌이는 제2라운드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수입농산물에서 위해농약이 검출됐다는 언론 보도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서울 양재동에 사는 이아무개(36세) 주부는 얼마 전 […]

...
성(性)-다르게보기

성(性)-다르게보기 성에 대한 토론은 이제 더 이상 침묵되지 않으며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성을 전체 사회의 관계망 속에 자리매김하려는 접근들을 소개한다. […]

...
지방선거, 무엇을 남겼나?

– 정국 전망과 시민운동의 역할 민자당 패배에 따른 지방판 여소야대를 만들어낸 6.27선거로 향후 정국은 권력구조 재편등 커다란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

...
공단과 산동에서 뿌리내린 탁아의 꿈

‘지역사회탁아소연합회’ 서울 장충동에 위치한 여성평화의 집은 여성단체들이 모여 있는 보금자리다. 붉은 벽돌로 아담하게 지어진 그 건물 3층에 지역사회탁아소연합회(이하 지탁연)가 있다. […]

...
구속전말기(1)

구속전말기(1) "폭행에 기물파손…공무집행 방해라…영장 신청해버려." 엄지손가락에 침을 발라가며 조사기록을 이리 뒤적 저리 뒤적 하던 형사반장은 저만큼 구석진 데서 초조하게 앉아 […]

...
대학개혁과 교육자율화

대학개혁과 교육자율화 ‘5·31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앞으로 대학교육의 자율화는 더욱 가속화되고 확대될 전망이다. 이때 철저한 시장원리가 도입돼 강자의 논리가 대학교육을 지배하게 […]

...
“미군 범죄 전진기지, 동두천의 자존심을 찾는다

”‘동두천 민주 시민회’ “뭐 주한미군 범죄가 어제 오늘의 일입니까. 한 달에도 수십 건입니다. 그런데 요즘 몇몇 언론들이 장사가 된다 싶으니까 […]

...
인터뷰 – 이명현 교수(교육개혁위원회 상임위원)

“교육개혁안은 전체 기본틀을 바꾸는 문명 전환” – 교육개혁안 발표 이후 교육개혁위원회의 활동은? “9개 과제를 이미 끝냈고, 이제 5개 소위원회에서 후반기 […]

...
‘시민의 한국통신 만들기’, 시민단체 토론회 열려

‘시민의 한국통신 만들기’, 시민단체 토론회 열려 한국통신노조의 명동성당·조계사 농성이 정부의 공권력 투입으로 파국적으로 끝난 직후인 지난 6월7일, YWCA 대강당에서는 한국통신 […]

...
교육시장 개방과 국가경쟁력

교육시장 개방과 국가경쟁력 다가올 교육시장 개방은 한국 교육자본의 잠식 및 문화 침탈이라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최근 ‘교육개혁안’도 발표됐지만 교육시장 […]

...
부실시공, 부실행정, 부실사법처리가 빚은 대형참사

– 삼풍관련과 살인죄 기소 축구 및 ‘시설물 관리 특별법’ 입법 청원 성수대교 붕괴사건(’94년 10월), 아현동 가스폭발 사고(’94년 12월), 대구가스 폭발사고(’95년 […]

...
대학 개혁은 국민 참여로

대학 개혁은 국민 참여로 열린 교육 체제를 기본 목표로 한 대학 개혁 방안 중 몇 가지는 논리적으로 일관성도 부족하고 수많은 […]

...
정책위원회

정책위원회 ‘사법개혁의 과제’, 제3회 참여연대 월례정책토론회 지난 5월6일 오후 3시 참여연대 회의실에서 제3회 월례정책토론회가 ‘사법개혁의 과제’라는 주제로 열렸다. ‘민주사회를 위한 […]

...
좌담 – 교수 임용 칠거지악

좌담 – 교수 임용 칠거지악 일시 : 1995년 6월 1일 장소 : 참여연대 회의실 정리 : 『참여사회』편집실 이정민/’교수 공정 임용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