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7년 12월 2017-12-04   1675

[특집] MBC 몰락, 그 시작은 MB였다

특집3_MB 리턴즈

 

MBC 몰락, 
그 시작은 MB였다 

 

글. 김재영 MBC PD 

 

영화 <공범자들>의 포스터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얼굴이 크게 모자이크되어 있다. 영화의 말미, 최승호 감독은 이명박 대통령을 찾아가 “언론을 망친 파괴자라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묻는다. 혹자는 공영방송을 이 지경으로 만든 주범이 왜 박근혜 대통령이 아니냐고 묻고, 또 혹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그렇게까지 잘못을 했냐고 묻는다. 왜 그가 공범자들 피라미드 구조의 가장 꼭대기에 위치해있는 것일까. 그 해답이 나왔다. 

 

새로운 정부는 국가정보원 개혁위원회를 출범시켰고, 2017년 9월부터 MB와 박근혜 정권 아래에서 국가정보원이 했던 각종 불법행위들에 대한 자료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MB 정권이 양대 공영방송을 장악하기 위한 불법 공작들이 드러났는데 그 실상은 충격적이었다. ‘문화·연예계 정부 비판세력 퇴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등등 국정원 문건에 따르면 MB정부는 MBC와 KBS의 기자와 PD, 일부 연예인들을 일종의 ‘반정부단체’로 보고 불순분자를 박멸하듯이 솎아냈고, 공영방송사 구성원들이 가진 언론 자유에 대한 DNA를 철저하게 개종시키려 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군부독재, 스탈린이나 히틀러 같은 독재자들이 방송사를 장악하기 위해 정보기관을 동원했다는 잔혹사가 21세기 대명천지에 대한민국에서 반복된 것이다.

 

공범자들

영화 <공범자들>의 한 장면. 최승호PD가 MB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MB가 본 공영방송 정상화 

2008년 MB가 대통령으로 취임할 당시 KBS 사장은 정연주, MBC 사장은 앵커로 이름이 높았던 엄기영이었다.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수준 이하의 장관 후보자들이 각종 검증보도로 낙마하고,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한가’ 편 방송으로 검역 주권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일어났다. 정권은 큰 위기에 봉착했다. MB정부는 양대 공영방송이 자신을 공격한다고 음해를 시작했고 정연주, 엄기영 사장을 압박했다. 먼저 정연주 사장이 타깃이 되었다. KBS 이사회를 무력화시키고, 직원들의 극심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 사장을 해임시켰고 검찰은 정 사장을 횡령, 배임 등 혐의로 고발했다. 물론 이 모든 상황은 추후에 법적으로 모두 무효 판결이 났다. 이후 KBS에는 결국 MB 대통령 선거 특보 출신이었던 김인규 사장이 취임했다. KBS 저널리즘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탐사보도팀은 해체되었고, 그 주요 구성원들은 중계팀과 지역 KBS 등으로 쫓겨났다. 그렇게 KBS에 대한 장악이 끝났다. 

 

MBC 사장 엄기영은 굴욕을 참으며 버텼다. 구성원들의 극심한 반대 속에서 <PD수첩>에 대한 사과방송을 강행했고, 10월에는 손석희를 <100분 토론> MC 자리에서 내려오게 했다. MB에게 친절한 새로운 진행자가 ‘생방송 대통령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4대강 수질은 로봇 물고기가 지킨다’는 코미디가 만들어졌다. 방송이 끝난 후 당시 흡족한 이명박 대통령이 엄기영 사장에게 ‘앞날이 밝을 것’이라는 식의 이야기를 했다고 전해졌다. 

 

2009년에도 가까스로 엄기영 사장은 자리를 지켰다. 엄 사장은 기자들의 제작 거부에도 불구하고 MB정권의 미움을 받던 신경민 앵커를 4월에 쫓아냈다. 하지만 그해 8월 대통령과 고려대 동문인 김우룡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이 임기를 시작했고 MBC에 대한 간섭을 노골화했다. <PD수첩> 등에서 정권에 비판적인 방송을 멈추지 않자 김 이사장은 결국 엄 사장에게서 임원 인사권을 빼앗는 폭거를 저질렀고, 참지 못한 엄 사장은 결국 사퇴했다. 

 

국정원이 손을 본 MBC 

국정원의 발표를 보면 2009년 7월 국정원은 TF팀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국정원 문건에 의하면 노 대통령의 노제를 본 김제동은 1급 블랙리스트였다. 무려 연예인을 사찰하는 MB정부였다. 소름 끼치도록 냉혈한 권력은 먼저 MBC 노동조합부터 손을 봤다.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이라는 문건은 2010년 3월 2일 작성되었고, 대외비로서 3월 4일에 파기하라는 지침이 적혀있다. 이 문건에 의하면 국정원은 MBC 노사관계부터 간섭을 했다. 국정원이 보기에 노동조합이 제작 자율성의 주체로서 회사와 협상할 수 있는 것 자체가 ‘좌파’였고, ‘용공’이었다. 자신들이 파악하기에 노동조합에 우호적인 인사들은 모두 좌파였으니 척결대상이었다. 김우룡 방문진 이사장이 당시 <신동아>에 밝힌 대로 “김재철 사장이 청와대에 조인트 까여가며 좌파의 70~80%를 척결했다”는 증언은 국정원 방침과 딱 들어맞는 말이었다. 

 

국정원 로드맵을 따라 김재철 사장은 2011년부터 더욱 노골적으로 MBC 장악을 시도했다. 2011년 3월 <PD수첩>에서 최승호 PD가 쫓겨난 것이 일종의 신호탄이었다. PD들을 드라마 세트장 등에 강제 배치하는 만행도 이때 처음 시작되었다. 라디오에서는 김미화, 윤도현, 김어준이 줄줄이 하차했다. 국정원의 시도는 성공적으로 보였지만 그래도 MBC 시사교양PD, 라디오PD들은 매일 아침저녁으로 피케팅을 하고, 국부장의 면전에서 침묵시위를 하는 등 저항의 불을 지펴나갔다. 여기서 국정원의 의도대로 되지 않는 반전이 일어났다. 큰불로 번질 것이 두려웠던 김재철 사장은 노동조합과 2011년 9월 ‘꽤 괜찮은 공정방송 조항’이 담긴 단체협약을 체결했다. 이 소중한 단체협약은 김재철 사장, 그 배후에 있던 국정원 등 부당한 권력과 2년 동안 처절하게 싸워서 얻은 결실이었다. 

 

이런 와중에 2012년 국회의원, 대통령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당시 김장겸 정치부장은 ‘MB의 내곡동 사저 의혹’을 은폐하는 등 편파방송을 계속했다. 이는 결국 MBC 170일 파업으로 이어졌다. 비록 파업은 패배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김재철과 맺은 단체협약으로 파업의 정당성은 법원으로부터 계속 인정받았고 “공정방송은 언론인의 근로조건”이라는 엄청난 의미를 지닌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국정원 TF까지 동원한 MB정권의 MBC 장악은 단기적으로는 성공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MB의 몰락은 MBC를 비롯한 언론과 문화계를 자신의 손아귀에 넣으려 했던 그 불법적인 시도가 백일하에 밝혀지면서 시작되었다. ‘공범자들’의 결말이 기대된다. 

 

 

특집. MB 리턴즈 2017_12월호 월간 참여사회 

1. 모든 의혹의 칼끝은 ‘다스 실소유자’ MB를 겨누고 있다 정용인

2. 국정원 흑역사의 대마왕, MB와 원세훈 김당

3. MBC 몰락, 그 시작은 MB였다 김재영

4. MB 자원외교의 속살 고기영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