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범죄 전진기지, 동두천의 자존심을 찾는다

”‘동두천 민주 시민회’

“뭐 주한미군 범죄가 어제 오늘의 일입니까. 한 달에도 수십 건입니다. 그런데 요즘 몇몇 언론들이 장사가 된다 싶으니까 조금 보도를 하나본데, 또 얼마나 가겠습니까? 그러다 흐지부지되겠죠.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언론들은 미군 범죄가 터졌다 하면 동두천을 찾는다. 지난 ’92년 윤금이 사건 이후 ‘동두천 민주 시민회’(이하 ‘동두천시민회’)는 세간에 널리 알려졌는데,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변한 건 아무것도 없다. 최송권 회장(38세, 택시 운수업)이나 강홍구 사무국장(20세)은 그런 점이 속상하다.

더욱이 미국이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는 지난 4월 『USA TODAY』지 사건을 보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USA TODAY』는 ‘동두천은 매춘농장’이라는 왜곡 보도를 실었다. 이에 곧장 ‘동두천시민회’는 성명서를 내고 다른 동두천내 시민단체들과 연합하여 미 대사관에 항의방문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했다. 그리고 이후 ‘지하철에서 시민 폭행’ 등 몇몇 미군 범죄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이 그 심각성을 인식하고 싸움은 활발해지는 듯했다. 하지만 또다시 선언적 싸움에 만족해야 하는 등 그것으로 그쳤다. 정부나 기득권층은 절대적인 순간에는 안면을 싹 바꿨다.

“미군 범죄는 기지촌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단지 동두천이 미군기지와 지역적으로 가까이 있기에 노출된 것일 뿐이지 민족 자주권이 걸린 전체의 문제입니다. 그리고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동두천을 이상한 색안경을 끼고 보는 잘못된 시각부터 버려야 할 것입니다. 이제 미군 범죄 근절은 한미 관계를 새롭게 재인식하고 불합리한 행정협정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 등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들이 실현되야 할 때입니다.”

함께 하는 시민회로

동두천 시민의 한 사람으로 강 국장은 이 지역에 대해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다. ‘동두천시민회’가 처음 창립된 것은 지난 ’90년7월17일이다. 6월 항쟁 이후 대학생회 등 자발적인 활동을 벌이던 지역 모임들이 ‘자주·민주·통일’이란 기치 아래 함께 시민회를 꾸렸다. 현재 회원은 20대에서부터 60대까지 동두천 시민들로 150여 명 정도가 된다. 이들이 내는 회비로 어려운 살림이나마 꾸려가고 있다. 그런데 더 어려운 것은 일할 사람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로 미군 범죄와 관련 신고할 곳이 없기에 ‘동두천시민회’로 계속 들어오는데 교통사고 등 경미한 사건은 처리할 엄두도 못내는 실정이다.

한미 행정협정상 우리나라는 재판권도 없고 조사권이나 수사권도 없는 상황에서 미군 범죄 피해자들은 변변한 배상조차 받지 못한다. 그래서 미군 차에 치여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에는 배상은 생각도 못하고, 배상절차도 복잡해 100만 원 이하 경미한 사고의 경우에는 아예 포기하고 만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들을 ‘동두천시민회’는 함께 고민한다. 하지만 지역내에서 할 일이 이것뿐만 아니다. 좀더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기 위해 해야 할 사업들도 많다.

지난 5월에는 소년소녀 가장 돕기를 벌이기도 했으며, 향후 시민들을 상대로 한 시민문화강좌를 계획하고 있다. 이밖에 7월 창립기념 행사와 8·15 관련 통일 민족대회 행사, 그리고 10월에는 소요산 단풍제 알리기 운동 등을 추진중이다.

“미군 범죄와 관련 기존의 사업들을 해나가면서 사업들을 다양화할 것입니다. 지방자치로 앞으로 시민단체의 역할이 더 중요해지리라고 봅니다. 그러므로 우리 ‘시민회’는 동두천시의 모든 시민들이 참여하여 호흡하는 시민회로 뿌리내려갈 것입니다.”

말미에, 일할 사람 모집한다는 공고 좀 내달라고 당부까지 한 최 회장은 “감히 더 많은 시민들이 사랑하는 ‘동두천 시민회’로 발전해나갈 것을 자신할 수 있다”며 입을 앙다문다.

참여사회 편집위원회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