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1년 09월 2011-09-05   1548

참여사회가 눈여겨 본 일-당신은 안녕하십니까

당신은 안녕하십니까

 

불평등한 사회 구조속 일그러진 우리의 자화상

 

 『참여사회』 시민평가단(가)

 

우리나라 삶의 질 지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 20개국(G20)에 포함된 39개국 중 27위로 하위권이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라는 불명예를 6년째 안고 있다. 노인빈곤율은 2010년 45.1%로 OECD 회원국 중 1위로 노인 2명 중 1명이 가난에 허덕이고 있다. 2006년에는 우리나라 전체인구 4천899만명 가운데 27.9%(1천367만명)만이 토지를 소유하고, 땅부자 상위 1%가 개인 소유 토지면적의 57%(서울시 면적의 45배에 달하는 규모) 차지했으며, 미성년자 소유 토지는 142㎢(여의도 면적의 16.9배)로 증가했다. 2011년 8월 현재 대한민국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과연 얼마나 될까?

 

 

가속되는 부의 쏠림

 

상위 20& 계층의 1인당 급여, 하위 20% 계층의 1인당 급여 3.6배

종합소득세 신고자 상위 20% 소득금액은 하위 20%의 약 45배

상위 20%의 순자산 점유율은 하위 20%의 325배

상위 20%의 보유 자산은 하위 20%의 467배



 

 가계 부채, 지난 10년간 100% 이상 급증

 

2010년 현재 한국의 가계부채는 개인금융부채와 가계신용 모두 10년 전에 비해 100%이상 급증하였다. 2010년 말 기준으로 개인금융부채는 896조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540조원 이상 증가했으며, 가계신용의 경우에도 520조원 이상 증가한 795조원에 이르렀다.

 

■(개인금융부채) 자금순환표상 개인부문의 이자부 금융부채(대출금·정부융자) – 국민계정통

계 작성기준(SNA94)에 따라 작성되므로 국제비교시 활용

■(가계신용) 가계부문의 신용공급상황*(가계대출+판매신용) 파악을 위해 ‘97년부터 한국은행이 별도로 통계를 편제 – 자금순환의 조사대상과 달리 개인사업자가 제외되고, 종금사ㆍ증권사ㆍ대부사업자 등 일부 금융기관이 제외되나, 판매신용을 포함

 

교육비 마련, 거주주택 마련 등의 이유로 가계부채 증가 전망

 

2010. 2월말에 비해 1년 후 가계부채가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가구 중 부채가 없는 가구는 ‘거주주택 마련’을, 부채가 있는 가구는 ‘교육비 마련’이 가장 큰 부채증가의 원인으로 전망하였다.

 

 

불평등한 사회 구조의 되물림

상위 20%는 ‘교육비’, 하위 20%는 ‘주거비’ 지출 가장 높아

 

저소득층일수록 생활에 필수적인 품목에 대한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반면 고소득층의 경우는 생필품 보다는 선택적인 소비품목에 대한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 소득 상위 20%의 고소득층은 2000~2005년에 교육비(13.3%) 지출 비중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교통비(12.9%), 식료품(12.9%), 외식비(12.1%) 등의 순이다. 저소득층은 전월세 비용이 포함된 주거비(19.7%) 부담이 가장 높고, 식료품(17.8%), 외식비(11.6%), 교통비(8.9%) 등의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다.

 

 

대학생 60%, 졸업 전 이미 빚쟁이 신세,‘1인당 평균 빚 1,579만원’
대학생 85.8% “빈부격차가 취업에 영향 미친다”

 

대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대학생 빚 현황’에 대해 조사한 결과, 59.8%가 ‘현재 빚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진 빚의 평균은 1,579만원으로 집계되었다. 빚을 지게 된 원인은 ‘학교 등록금’이 86.8%(복수응답)로 1위를 차지했다. 본인의 빚을 모두 갚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4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중 17.1%는 ‘10년 이상’이라고 답했고, ‘못 갚을 것 같다’는 응답은 1.3%였다. 또, 응답자의 50%는 빚으로 인해 ‘심각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 11%는 빚 때문에 신용불량자가 된 경험이 있었으며, 이 중 28.6%는 현재도 신용불량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학생 중 85.8%는 “빈부격차가 취업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며, 87.7%는 “친구 사이에서 빈부격차를 경험했다”고 한다. 

 

OECD 국가 중 사교육비 비중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는 OECD 다른 국가에 비해 합리적인 비용의 교육 환경이 보장되고 있지 않다. 특히 높은 사교육비는 소득의 양극화와 함께, 심각한

 

 

사회 불평등 문제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OECD 국가 중 저임금 고용비중이 가장 높은 한국

 

우리나라는 OECD국가들을 대상으로 볼 때 저임금 고용비중이 높은 나라다. 2008년을 기준으로 저임금 비중 통계가 이용 가능한 OECD국가들 중 우리나라의 저임금 고용비중이 25.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임금이란? 근로소득 지위별로 5개 범주를 구별할 때, 빈곤층은 중위소득 기준 50% 미만의 소득을 버는 자, 저소득(임금)은 중위소득(임금) 기준 2/3 소득, 고소득(임금)은 중위소득(임금) 기준 2/3 소득을 말한다. 이는 OECD 보고서에서 흔히 활용되는 상대빈곤, 상대 고소득 기준이다.
출처 : 월간 노동리뷰 2011년 3월호 통권 제72호 ‘저소득 고용의 소득지위 이동’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 OECD 국가 중 7번째로 높아

 

현재 우리나라의 상대적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7번째로 멕시코, 터키, 미국, 일본, 아일랜드 폴란드 다음으로 높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45.1%로서 OECD 평균(13.3%)의 3배에 달한다. 우리나라 근로연령층 빈곤율은 11.7%로 OECD 평균(9.3%)을 상회한다. 근로연령층의 빈곤은 일자리의 불안정에 기인한다. 근로연령층 인구 중 실업자의 약 1/3, 일용직의 약 1/5은 빈곤층으로 추정된다. 그 외 무급종사자, 자영업자, 임시직도 평균 이상의 빈곤율을 보이고 있다.                       

출처 : KDI 연구보고서 2011-01 ‘분배구조의 변화와 사회정책의 방향[1]’

 

 

‘자살’ 권하는 불평등한 사회

 

OECD 평균 자살률(OECD 표준인구 10만명당)은 11.2명, 한국은 28.4명으로 가장 높다.

 

2009년의 자살 사망률은 1999년 대비 10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 너무 길고, 빈곤·질병 등 노인문제 많아

 

‘빈곤 유전자’ 물려받은 세대, 연애·결혼·출산 포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생 100세 시대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2011. 6~8) 결과, 우리나라 노인 자살·빈곤율 1위, 10만명 중 160명 꼴로 자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수명 연장으로 90세~100세 이상 사는 현상을 ‘축복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응답이 43.4%였다. 평균수명 연장이 ‘축복’이라고 답한 비율은 28.7%에 그쳤으며 28.0%는 ‘그저 그렇다’고 답했다. 오래 사는 것을 축복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로는 ‘노년기가 너무 길다’가 38.3%로 가장 높았다. 30.6%는 빈곤과 질병, 소외와 같은 노인문제를 꼽았고 24.1%는 ‘자식에게 부담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빈곤 유전자’ 물려받은 세대, 연애, 결혼, 출산 포기

 

빈곤의 악순환 속에서 이제 우리사회의 젊은 세대는 스스로를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포 세대’라고 부른다. 여성가족부 2010년 ‘제2차 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남성의 총 결혼비용은 5,000만원~1억 미만이 45.8%로 가장 높았으며, 1억 이상이 27.6%, 3,000만원~5,000만원 미만이 13.6%로 나왔고, 여성의 총 결혼 비용은 1,000만원~3,000만원 미만이 39.2%로 가장 높았다. 초혼연령도 남성 31.8세, 여성 28.9세로 점차 혼인 연령대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출생률 또한 1970년대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통계청의 2010년 출생율 자료에 따르면 1970년도의 출산율은 4.53명인데 반해 2010년도 출산율은 1.22명이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