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참여사회 2019년 03월 2019-03-01   650

[여성] ‘캐슬’과 ‘궁전’ 그리고 두 개의 성

‘캐슬’과 ‘궁전’ 
그리고 두 개의 성

 

드라마 속 ‘두 개의 성’을 지키려는 여성들

비슷한 시기 방영된 두 드라마가 화제 속에 종영했다. 바로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하 ‘<궁전>’)과 <SKY 캐슬>(이하 ‘<캐슬>’)이다. 하나는 증강현실로, 다른 하나는 현실반영으로 인기를 끌었다. 게임과 교육이라는 서로 다른 소재를 다루었지만, 둘 다 이야기 속 여성의 입지를 생각해보게 한다는 점에서 함께 곱씹을 만하다. 

 

먼저, 이 두 드라마는 현실을 뛰어넘는 돌발사건으로 시작한다. <궁전>에서는 먼 나라에서 시작되는 게임 속 가상이 진짜 현실이 되고, <캐슬>에서는 평온한 일상을 뒤흔드는 총성으로 오히려 현실세계가 가짜라고 말한다. 

 

여기서 가장 시선을 끄는 존재는 그 경계에서 싸우는 전사(戰士)다. <궁전>에서는 검과 총을 휘두르는 남성이, <캐슬>에서는 눈빛으로 기선을 제압하는 여성이 매력적인 전사로 등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두 드라마는 각기 여성재현과 여성주체를 문제 삼는 텍스트가 된다. <궁전>의 여성은 유일하게 닫힌 성(城)의 문을 열어젖히는 ‘여신’으로 묘사된다. 동시에 그 ‘여신’은 프로그래밍대로 움직이는 논플레이어 캐릭터(NPC, Non-Player Character)에 불과하다. <캐슬>에서의 여성은 입시교육계의 야심찬 플레이어(player)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이 계승한 것은 가부장제라는 공고한 성(城)이다.

 

각기 다른 두 개의 성(城)을 지키는 이 여성들은 여전히 남과 여로 구획되는 두 개의 성(性) 안에서 움직인다. <궁전>에서 남성이 게임 속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분투할 때, 여성은 평화를 지키는 신비로운 ‘힐러(healer)’로 기능하며 자리만 지키고 있다. <캐슬>에서의 여성은 계급 재생산을 위해 ‘엄마’로서 자식의 성공적인 대학 진학을 목표로 발 벗고 미션을 함께 치러낸다. ‘남녀’라는 규범적 성역할 속에서 여성이 존재하고 움직이는 양극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주어진 서사에서 어떤 균열과 전복을 찾아내려고 애쓴다.

 

가장 먼저 주목된 것은 이 두 개의 성(城)이 모두 여성 주인공 엠마/희주(박신혜 분)와 곽미향/한서진(염정아 분)에 의해 거침없이 흔들린다는 점이다. ‘힐러’는 게임 속 전투의 룰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약속한 곳에서는 싸우지 않는다), ‘엄마’가 입시경쟁의 룰을 과잉으로 따랐을 때(자식을 위해서라면 악행도 마다하지 않는다) 드라마는 파국의 그림자를 드리운다. 결국 이들은 각기 연인의 가슴을 찌르고, 자식을 지옥으로 몰아넣는다.   

 

월간 참여사회 2019년 3월호 (통권 263호)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속 여성은 게임 속 신비로운 ‘여신’이자 ‘힐러’로 기능하는 논플레이어 캐릭터로 묘사된다.

출처 tvN

 

신자유주의 가부장제, 그 젠더화의 장(場)을 벗어나 

그런데 파죽지세로 달려온 두 서사는 종결을 앞두고 급선회한다. 남녀라는 성城 역할, 그들이 기거하는 성(城), 이 두 개의 ‘성’을 지키려다가 오히려 그를 내파(內破)하는 여성들. 

 

‘성’이 훨훨 불타고, 여성들이 그 폐허에서 걸어 나오는 장면은 끝끝내 나오지 않았다. 모종의 비밀을 껴안고 긴장도를 높여가던 이 스릴러들은 차라리 아무런 반전도 허락하지 않기를 선택한 듯하다. <궁전>에서 몇 명의 인물을 죽게 했던 시스템 버그는 삭제됐고, 일정한 시간에 접속해야 한다는 조건만 더해졌을 뿐이다. <캐슬>에서도 한 명의 소녀를 무참히 죽인 어른들의 잘못은 철저히 반성 되지 않았으며, 그저 가족의 소중함만 복창할 뿐이다.

 

<궁전>과 <캐슬>에서 폭주하던 두 전사들도 문득 숭고해진다. 스스로 ‘인던’에 갇히거나 경찰서로 출두함으로써 결국 이 두 세계를 지켜낸다. 파국은 오지 않았고 얄팍한 계몽의 메시지만 남았다. 게임중독 예방과 자기주도 학습을 설파하듯, 다음 세대 남녀 청년들은 게임회사의 천재 연구원이 되거나 검정고시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나무랄 데 없는 신자유주의 주체들이 된다. 더 견고한 ‘성’을 위한 보수(補修)만 복창된 셈이다. 

 

사실 신자유주의 가부장제는 여성이 없으면 작동할 수 없다. 여성의 능력을 남김없이 쓰려고 한다. 두 드라마에 ‘가정’은 여성들 간의 네트워크로 이뤄져 있다. <궁전>에서는 조실부모한 조손가정의 장녀가장이 가정의 제 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상적으로 보이는 <캐슬>의 가정들은 하나같이 문제를 갖고 있으면서도 여성들로부터 지탱된다. 이 여성들의 세계가 흔들리면 가장 먼저 발 벗고 나설 플레이어 또한 여성들이다. 이때 침묵하던 NPC 남성들이 갑자기 입을 연다면 옷을 입고 샤워를 하는 것만큼 우스꽝스럽게 느껴질 것이다.

 

그러나 자기 몫을 다 하는 제각각의 여성들은 쓸모가 없어지면 대체되게 마련이다. <궁전>과 <캐슬>, 두 성城에서도 결국 여성 힐러 ‘엠마’와 여성 전사 ‘한서진’만이 소거됐다. 이제 다른 여성 NPC와 여성 플레이어가 그들의 빈자리를 채우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한계 덕분에 향유자들이 재차 쓰는 이야기들이 오히려 전복적이었다. 이미 여성들은 두 개의 성(城·性)을 떠나 그 젠더화 된 장(場) 자체를 밀어내려 애써왔다. 여기에서 알함브라 궁전으로 돌진하는 플레이어 ‘희주’는 불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자기 때문에 죽은 딸에 대한 반성보다 엄마에 대한 원망을 쏟아내는 남편(정준호 분)에게 ‘미향’은 더 이상 참지 않고 이렇게 말할 것이다. 

 

“확, 아갈머리 찢어버릴라!” 

현실은 드라마보다 더하다. 

 

 

➊ 가상현실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

➋ 게임 안에서 사람이 직접 조종할 수 없는 캐릭터. 주로 한 지역에 머물면서 게임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도우미 역할을 한다

➌ 인스턴스 던전(Instance Dungeon)의 줄임말. 게임 속 은신처를 뜻한다  

 


글. 류진희 성균관대 강사 

동아시아학과에서 한국문학을 전공했다. 탈/식민 서사, 장르, 매체를 횡단하는 여성들의 목소리와 매체/장르/언어를 횡단하는 여성들의 목소리에 관심 있다. 『양성평등에 반대한다』,『소녀들』,『그런 남자는 없다』를 같이 썼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