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오늘(12월 21일)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사회당 등 제야당과 6.15 공동실천남측위원회,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시민사회단체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비상 상황입니다. 지난 1월 말 국경을 폐쇄하며 비상조치에 들어갔던 북한은 “지금까지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은 없...
시민평화포럼 정책포럼 북한의 인도적 위기와 남북협력의 길 일시 : 2021년 8월 23일(월) 오후 2시, 온라인 공간 ZOOM 코로나19 방역으로 국경 ...
시민평화포럼 정책포럼 기후위기와 남북협력 일시 : 2021년 11월 17일(수) 오후 2시, 온라인 공간 ZOOM 2021년 1월 '신기후체제'라 불리는 파리기...
4월 평화정책세미나 대북정책 전환을 위해 남북관계 법률 다시보기 시민평화포럼과 이인영 의원실이 공동주최하여 매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정...
한국전쟁 종식과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글로벌 캠페인 행동과 연대를 촉구합니다! 1. 배경 2013년은 한국전쟁 정전협정을 맺은 지 60주년이 되는 ...
"휴전에서 평화로" - 7·27 정전 60년 한반도평화실천행동 - ★ 시민평화마당 "평화바캉스" ※ 개성공단입주기업들과 함께하는 시민평화마당! ※ 남북...
[정전60년캠페인종합] '휴전에서 평화로' 한반도평화실천행동 보러가기 클릭! <정전 60년 즈음 글로벌 시민평화선언> 한국 전쟁 종식하고 평화협정 ...
[토론회] 정전 60년, 휴전에서 평화로: 한반도 평화정책 보고서 발표회 일시: 2013년 7월 25일 오후 2시-5시 장소: 국가인권위원회 8층 배움터 주...
아래는 오늘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에서 발표한 성명 전문 입니다. 오늘 조선반도정세는 남조선보수당국의 무분별한 반공화국대결책동에 의하여 갈...
참여연대, 평화네트워크 토론회 “북미관계 변화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정부 6.15, 10. 4 선언 수용하고 대북 쌀 지원에 나서야 - 북한 ‘통미봉남’...
□ 남북관계는 민족과 국가라는 두 개념에 바탕을 둔 조국통일의 관점이 지배해 왔으며, 최근 통일운동과 함께 ‘민간’과 ‘해외 겨레’의 중요성이 강조...
"한명이라도 더 만나봐야지 불신을 해소하지요" “더 빨리 보내주겠다는데 육로개방을 거절하다니...이거 원...”, “현장확인도 없이 어떻게 지원부터 해...
"남과 북은 손등과 손바닥, 북한자유법안은 손목 자르려는 시도" 미 의회에서 제정하겠다는 '북한자유법안'은 미국의 주장처럼 '북한의 민주화와 인권...
참여연대는 1월 30일 오전 10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박근혜 당선인과 인수위가 우선적으로 해결에 나서야 할 현안 및 정책 과제를 발표하고 ...
[이슈리포트] ‘NLL 쟁점과 대안 : 서해, 한반도 화약고에서 평화생태수역으로’ 발간 - NLL 갈등의 배경과 연원, 쟁점 살펴보고, 평화적 해결방안 검토...
참여연대 <북한인권법안 등에 관한 의견서>발표 북한인권개선에 실효성 없는 반북단체 지원법에 불과 인도적 문제해결 우선 추진, 남북인권협력 기반 ...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는 지난 11월 7일 통일부가 발표한 제2차 남북관계발전 기본계획(이하 2차 기본계획)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참여연...
대북 전단 살포 정당화하는 ‘반북활동 지원법’, 대북인권 활동 현실성 없어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소장 구갑우)는 오늘 (12월 4일) 현재 국회에 제출...
전 세계에서 가장 긴 휴전을 끝내고 핵무기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어요 한반도를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고 어렵게 맺은 남북·북미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