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21대 국회가 우선 다뤄야 할 11대 분야 70개 입법⋅정책과제 △코로나19 위기극복 사회안전망 구축, △산재와 위험의 외주화 근절, △자산불평등 해소와 주...
대통령 개헌안 ‘투표불성립’, 분노한다 ‘6월 개헌’ 약속 어긴 국회는 국민에게 석고대죄하라 대통령 개헌안 폐기일뿐, 개헌 무산은 아니다 국회는 연...
헌법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현행 헌법은 1987년 6월민주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모여 만들어진 민주헌법입니다. 하...
대통령의 권력구조 개편 개헌안, 실망스럽다 대통령 권한 축소와 분산 기대에 미치지 못해 과도한 대통령-행정부 권한 내려놓고 협치와 협상 가능성 ...
대통령 개헌안 공개, 범국민적 개헌 논의 계기로 삼아야 기본권٠국민주권 강화, 자치분권, 경제민주화는 시대적 요청 중앙권력구조 및 정치구조의 민...
개헌정책토론회 「정보기본권과 개헌」 개최 - 디지털시대 정보인권 침해 논란 계속돼 개헌안에 ‘정보기본권’ 신설 논의 - 오는 22일 오전10시 ...
자문특위 개헌안 대통령 보고와 관련된 참여연대의 입장 국민주권, 기본권, 자치분권 등 5대 방향 긍정적 사회보장권 등 기본권 강화, 대통령 권한 ...
'참여연대 개헌안'에 대한 회원님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 '참여연대 개헌안' 보러가기 회원모니터단 설문조사 회원모니터단이란? 참여연대...
<사진=김상희 의원실> 참여연대 헌법개정안 입법청원 기자회견 개최 기본권 강화, 자치와 분권, 대통령 권한 축소, 직접민주주의 제도화, 사회연대 가...
참여연대 헌법개정 논의 경과와 개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던 2014년, 창립 20주년을 맞은 참여연대는 중장기 활동 비전과 방향을 새롭게 정비하고...
헌재의 결정문에도 등장하는 ‘민주적 기본질서’가 왜 문제인가 황당한 민주당의 ‘민주적 기본질서’ 당론 오락가락 색깔론 꺼내 개헌 무산시키려는 자유...
참여연대, 헌법 개정 시안 발표 토론회 개최 분권, 자치, 기본권 연구모임 1년 6개월 연구결과 발표 기본권 강화, 분권과 자치 등 새로운 대한민국의 ...
‘시민이 참여하는 개헌, 어떻게 할 것인가’ 제헌절 맞이 시민사회 개헌 방안 토론회 2 개최 ‘헌법 개정 주권실현 국민행동’ 추진과 추첨제 ‘시민의회’...
참여연대, ‘개헌, 어떻게 할 것인가’ 시민사회 개헌 방안 토론회 개최 기본권, 사회권, 환경, 여성, 분권과 자치, 사법, 직접민주주의와 권력구조,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