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대위원회 아시아 2003-09-23   3145

루이스 리키와 세 명의 여성 영장류학자들

최소희 시민과_센터 회원

1931년 아프리카 케냐의 올두바이 계곡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30년 동안 건조한 사막 바닥을 기어다니던 루이스 리키는 자신이 진잔트로푸스라 명명한 두개골 화석을 발견한 직후 유인원의 연구를 통해 인류의 과거를 알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세 명의 여성(일명 삼총사Trimates로 불린다)을 차례로 현장으로 파견한다. 대형 유인원으로 분류되는 침팬지, 마운틴고릴라, 오랑우탄을 연구한 제인 구달Jane Goodall, 다이안 퍼시Dian Fossey, 비루테 갈디카스Birute Galdikas가 바로 그들. 시중에 번역서가 꽤 있으나 제인 구달만 널리 알려진 것 같기에 소개해 본다.

『인간의 그늘에서: 제인 구달의 침팬지 이야기(제인 구달 지음, 이상임·최재천 옮김, 사이언스북스, 2001)』

『제인 구달: 침팬지와 함께 한 나의 인생(제인 구달 지음, 박순영 옮김, 민음사, 1999)

제인 구달의 이름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그는 루이스 리키가 대형 유인원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를 구상하고 선택한 첫 번째 여성이었다. 1960년 나이로비의 곰베 침팬지 보호구역에서 제인 구달의 현장 연구는 시작된다. 리키가 대학에서 관련 과목을 수강한 적도 없고 비서 학교 학력뿐인 제인이 침팬지 연구에 적합하다고 생각한 이유는, 관찰력, 감수성 및 직관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앞선다는 점, 그리고 기존의 학계에 오염되어 있지 않은 까닭에 동물 세계를 선입견 없이 바라볼 수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제인 구달은 당시 과학계의 전형적인 연구방식인 실험과 조작을 배제한 채 침팬지를 연구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침팬지 개체 하나 하나에 이름을 붙여서 관찰을 시작했다. 대상에게 1, 2와 같은 번호를 매기던 과학의 기존 방식과는 다른 접근 방법이었다. 이리하여 침팬지들은 플로, 데이비드 그레이비어드, 골리앗, 플린트, 미스터 맥그리거와 같은 이름을 갖게 된다.

그렇게 연구를 시작한지 다섯 달 째, 놀라운 결과가 학계에 보고된다. 침팬지가 포유동물을 사냥하고 또 사냥물을 나눠 먹을 줄도 알며 또 나뭇가지를 다듬어 흰개미를 낚시하여 먹는다는 사실이었다. 동물행동학이 동물의 비인격화·실험적 통제·통계화로 이루어지던 그 시절, 제인은 이야기식의 접근법을 구사하였다. 그는 관찰 결과를 수량화하지 않았고 애초에 어떤 이론을 가정하고서 출발하지도 않았다. 이렇듯 지배보다 관계, 일반성보다 개체성, 통제보다 수용을 강조하는 방식은 여성들이 세계를 바라볼 때 취하는 태도였다. 제인은 여성적인 접근법을 기존 남성 과학자들이 독점해온 현장 연구에 적용했던 것이다.

제인 구달은 이후 현장 연구보다는 출판 및 강연에 힘을 쏟고, 그리하여 슬라이드와 책을 통해 침팬지의 세계를 전달하는 이야기꾼이 된다. 또 야생동물 연구와 교육을 통한 지식의 공유, 그리고 환경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제인구달연구소 The Jane Goodall Institute for Wildlife Research, Education, and Conservation(http://www.janegoodall.org)를 1977년에 설립하였으며, 이후 루츠 앤 슈츠(Roots & Shoots)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적인 환경교육 운동을 벌이고 있다.

『유인원과의 산책(S.Y. 몽고메리 지음, 김홍옥 옮김, 다빈치, 2001)』

이 책은 평전의 형식이며, 여성 영장류학자 세 명의 행보와 위업을 일대기식으로 병렬 서술하고 있다.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침팬지, 마운틴고릴라, 오랑우탄의 생태는 가볍게 다뤄진다. 여기에서는 개인 저서나 평전이 아직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른 이들에 비해 정보가 취약한 다이안 퍼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루이스 리키의 두 번째 수제자는 미국 출신의 물리치료사 다이안 퍼시였다. 그는 1967년부터 3,000미터 고산 우림 지대에서 사는 마운틴고릴라 장기 연구에 들어간다. 마운틴고릴라는 유순한 채식주의자이며 새끼들에게 더없이 부드럽고 조심스럽다. 이들은 가족생활을 하는데 침입에 대비해 한두 마리의 보초를 세워 삼엄한 경계를 펼친다. 이들 보초는 경쟁집단의 은백색등이나 사냥꾼으로부터 가족을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고릴라는 다른 집단과 교류하지 않는다. 고릴라 가족은 영장류 중 가장 응집력이 강한 반면 상하 위계질서가 엄격하다. 성숙한 고릴라는 자기 가족을 방어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기 때문에 밀렵꾼이 새끼 고릴라 한 마리를 얻으려면 성년 가족 모두를 죽여야 한다.

천식 때문에 숨을 헐떡이고, 경사면 등반 도중 수시로 미끄러지고 추락하고, 팔다리가 부러지는 힘든 생활에서 그를 지탱하게 해준 것은 고릴라들이었다. 그는 디지트라 이름 붙인 수컷을 가장 아꼈다. 그러나 디지트는 밀렵꾼들에게 참혹하게 살해당한다. 트로피 재료로 고릴라 머리를, 재떨이로 고릴라 손을 요구하는 서양인들이 늘어나면서, 그리고 사냥꾼들이 새끼 고릴라를 동물원에 팔면 큰돈을 벌 수 있음을 알게 되면서, 고릴라 밀렵이 극성스러워졌던 것이다. 밀렵꾼의 덫과 사냥개의 발자국으로 위협받으면서 다이안의 카리소케 연구센터는 무장한 캠프가 되어버린다. 그의 반밀렵 순찰은 적을 많이 만들어 버렸고, 결국 다이안 퍼시는 손도끼에 머리가 박살난 채로 발견된다. 이 때가 1985년이었다.

이처럼 그는 셋 중 가장 드라마틱한 생을 살았다. 퍼시의 삶은 그가 집필한 대중서적과 동명인 〈안개 속의 고릴라〉로 영화화되었다(이 영화는 DVD도 출시되어 있는데 아래 주소로 접속하면 영화 장면들을 만날 수 있다 : http://mydvdlist.hitel.net/mdlkth/detail.asp?branch=review&rid=1818&code=809038383817&mbcode=986208225#tabmenu).

『에덴의 벌거숭이들(비루테 갈디카스 지음, 홍현숙 옮김, 디자인하우스, 1996)』

1971년, 비루테 갈디카스는 인도네시아 보루네오 섬에서 오랑우탄 연구를 시작한다. 『에덴의 벌거숭이들』은 1991년에 그가 펴낸 책으로, 앞에서 소개한 책들에 비해 훨씬 종합적이고 지적이며 생동감 넘치게 설명되어 있어 장편 서사드라마를 보는 느낌을 준다. 특기할 점은 이 책이 1995년에 번역되었고, 국내에 여성 영장류학자들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최초의 책이라는 점이다.

갈디카스는 앞서의 두 선배와는 달리 대학에서 동물행태학, 생태학, 인류학, 고고학, 민속학 등을 공부하였으며 대학원에서 인류학을 전공한 재원이었다. 학문적 기반이 있었기에 현대식 자료수집 기법과 통계분석으로 자료를 분류하고 분석할 줄 알았다. 그는 한 번에 오랑우탄 한 마리에게만 집중하는 초점동물표집이라는 기법을 이용한다. 그의 목적은 오랑우탄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보는 것이었다. 이렇듯 그 역시, 선배인 제인 구달, 다이안 퍼시의 연구방식을 그대로 따랐다. 각 개체에게 이름을 붙이고 생활사를 관찰하려고 노력하면서.

오랑우탄은 지상 30미터 이상의 나무 위에서 생활하므로 거의 눈에 띄지 않고 관찰하기에도 상대적으로 힘이 든다. 또 야생 오랑우탄은 침팬지나 마운틴고릴라와 달라서 인간에게 접근하지도, 신체 접촉을 시도하지도 않았다.

오랑우탄은 고독의 표상이다. 특히 숫오랑우탄은 일단 어미로부터 독립하면 철저히 혼자 생활한다. 오랑우탄은 도토리, 바리탄열매, 빨간딸기 같은 과일과, 어린 잎사귀, 흰개미를 먹는다. 체구가 큰데도 불구하고 채식을 하기 때문에 이들은 활동 에너지 확보를 위해 대부분의 시간을 먹으면서 보낸다. 오랑우탄은 우산으로 비를 가리고 비 피할 곳을 만드는 행동을 한다. 또 얼굴을 마주 대고 교미를 한다.

이런 오랑우탄을 찾기 위해서 갈디카스는 어깨 밑까지 닿는 늪을 헤치고 다녀야 했다. 하루종일 관찰하고 거머리가 퉁퉁 불어서 속옷 안에서 떨어져 나왔고, 관찰하는 동안 옷 다섯 벌을 남편과 같이 번갈아 입기 때문에 밤새 덜 마른 옷을 다음 날 입고 나가야 했다. 더구나 당시에 오랑우탄은, 침팬지가 동물원이나 실험실로 팔려가고 마운틴고릴라가 밀렵되어 장식용품 또는 동물원으로 가는데 반해, 애완용으로 포획되거나 밀림의 개발(벌목, 농지 개간) 때문에 거주지와 식량이 줄면서 그 수도 점점 줄어가는 현실에 있었다.

비루테 갈디카스는 오랑우탄을 보존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관리를 설득하는 한편 많은 협상을 벌였다. 그는 현재 오랑우탄프로젝트를 통해 오랑우탄의 불법거래를 막고자 힘쓰고 있다. 제인 구달이 현장연구를 접은 데 비해, 비루테 갈디카스는 지금까지도 인도네시아 탕중푸팅의 리키캠프에서 오랑우탄의 생태를 연구하며 인도네시아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산다.

*

이 세 명의 여성 영장류학자들의 삶은 마치 파노라마 같다. 그들의 업적은 실로 대단하다. 이들은 기존에 행해져왔던 과학의 접근법을 바꾸면서 동물행동학 연구에 새 장을 열었다. 그러나 이들의 연구과정이나 태도에 완전한 찬사를 보내기에는 망설여지는 점이 있다. 제인 구달은 1986년까지 그가 머물던 곰베 침팬지들의 안전과 보호에만 관심을 기울였다. 전세계 실험실과 동물원에서 고통받고 학대당하는 침팬지의 환경은 모른 척 수수방관하였다.

한편 다이안 퍼시 사후, 마운틴고릴라 프로젝트가 도입되면서 고릴라 밀렵의 봉쇄보다는 고릴라 관광사업이 고릴라 보호와 경제 수익 측면에서 더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다이안 퍼시는 고릴라 보호의 문제를 너무도 개인적이고 지엽적으로 해석, 적용했던 것이다.

비루테 갈디카스는 오랑우탄의 생존 환경 확보를 위해 밀림 개발을 비판한다. 하지만, 밀림의 목재를 끊임없이 필요로 하는 곳은 아시아나 아프리카라기보다는 생활수준이 높고 소비의 폭이 그만큼 큰 서구사회가 아니던가. 오랑우탄을 애완용으로 키운 것 역시 인도네시아를 식민통치하였던 네덜란드의 백인들이 시작한 일이 아니던가. 누가 누구를 비난하며 누가 비판받아야 한다는 말인가. 이 세 영장류학자의 연구와 삶의 방식이 나름대로 깊은 깨달음을 가져다 주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여러 면에서 생각할 여지를 많이 남긴다.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