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문재인 정부 이래 역대 최저 수준, 소득보장과 돌봄공공성 강화 예산 전무 울산, 광주 의료원 설립 예산 확정했지만 약 30개 중진료권 공공병원 설립 ...
참여연대, 코로나19 예산 분석 보고서 발표 위기 극복 의지 안보이는 정부 예산안 국회 심의 과정에서 사회안전망 강화 예산 과감하게 늘려야 코로나...
‘상생과 회복'의 정책목표, 2022년 예산은 이를 반영하고 있는가? 참여연대, 2022년 보건복지 분야 예산안 분석 자료 발표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소득감소에 따른 소득보장 예산 미미한 수준 돌봄정책 전무, 공공사회서비스확충 예산 되레 삭감 공공의료인프라 확충 계획은 여전히 뒷전 과감한 재정...
2022년 예산, 재정준칙 기조하에 올해 보다 적은 예산 편성해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사회안전망 예산 강화해야 오늘(8/31) 정부는 2022년 예산안을 내...
"> 국가재정전략회의에 요구하는 시민사회 예산안 일시 장소 : 2021. 05. 27. (목) 10:00,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오늘(5/27) 오후 2022년도 예산...
국가 예산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시민이 원하는 사회안전망 예산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궁금하셨다면, 5월 11일, 시민강좌에...
“내 삶에 필요한 사회안전망 확충, 2022년 예산에 반영하자!” <사진> 코로나19 극복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예산 편성 촉구 기자회견을 서울정부...
임시⋅단기 대책 말고 사회안전망 강화 위한 근본 대책 추진해야 소득감소분이나 고정비 지출 반영 안 한 소상공인 지원 대책으로 손실보상 갈음 안돼...
어제(12/2) 국회에서 2021년 예산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병 상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인데도, 사회안전망 강화 예산은 너무 부족한 수...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오늘(10월 29일) ▲기초생활보장 ▲보육 ▲아동·청소년복지 ▲노인복지 ▲보건의료 ▲장애인복지 분야의 2021년 예산안을 분석...
문재인 정부, 다시 발전(개발)국가로 가려 하는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2019년 11월 4일 ▲기초생활보장 ▲보육 ▲아동·청소년복지 ▲노인복지 ▲보...
노동시민사회단체, 복지노동예산확대요구 기자회견 개최 1. 취지와 목적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사람이 중심이 되는 사회는 저절로 만들어지지 ...
인포그래픽 크게보기 최저임금 수준의 질낮은 일자리로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하기 어려워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2018년 11월 7일 ▲기초생활보...
아동수당, 기초연금 등 대상자 축소 및 지급시기 늦추어 예산삭감 건강보험 국고지원 턱없이 부족한 예산 편성으로 국가책임 방기 경제정의와 공평...
참여연대, 「2018년도 보건복지 예산(안) 분석보고서」 발표 기초연금, 아동수당, 국가치매책임 등 도입으로 복지 예산 증액 노인돌봄, 긴급복지지원제...
오늘(7/27)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2016년도 보건복지분야 결산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보고서는 기초보장, 보육, 아동?청소년, 노인, ...
복지확대 요구 반영 못한 2017년 보건복지 예산 의료민영화 관련 예산은 일부 삭감 후 유지하고 국민건강권 보장을 위한 건강보험 국고지원 추가예산 ...
참여연대, 「2017년도 보건복지 예산(안) 분석보고서」발표 기초보장, 보육, 장애인 분야 전년대비 삭감되는 등 복지축소 경향 불평등과 빈곤 심화에도...
참여연대, 『2015년도 보건복지분야 결산분석 보고서』 발표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위원장 : 남찬섭 동아대 교수)는 오늘(7/11) 『2015년도 보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