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지방재정 악화와 학부모 혼란 가중시킨 철학 없는 보육 정책 공공인프라 확충 없는 보육료 지원정책 보육서비스 질 담보 못해 지방정부 역시 보육 공공...
현 정부의 보육정책 문제 및 정당 보육공약 진단 토론회 비용지원 중심 지원 체계의 무상보육은 공적지원 효과 담보 못해 공공형 보육시설 역시 국공...
※ 토론회에 무료로 누구가 참여하실 수 있으며 참관에 제한은 없으나, 국회출입을 위해 신분증을 꼭 지참바랍니다. "진정한 무상보육, 어떻게 실현할...
오늘(22일) 오전, 보건복지부가 보육서비스 개선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책은 기존 정책을 되풀이 할 뿐 보육현장의 문제를 일소하기에는 턱없이 ...
"애들이 생선가게 고등어? 따닥따닥 붙어..." [복지는 권리다-보육④]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어떻게 할 것인가' 좌담회 복지는 시혜다? 보수진영이 유...
어린이집의 '쩐의 전쟁'...불법이 판친다 [복지는 권리다-보육③] 보육의 공공성 확립 우선해야 복지는 시혜다? 보수진영이 유포한 논리입니다. 그래서 ...
어린이집 원장, 툭하면 "불만 있음 나가라" [복지는 권리다-보육②]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왜 필요한가 복지는 시혜다? 보수진영이 유포한 논리입니다....
어린이집 들어가려면 '3년 대기'...누구 탓? [복지는 권리다-보육①] 믿고 맡길 수 있는 어린이집, 국공립으로 확충돼야 복지는 시혜다? 보수진영이 유...
지난 1월 18일 정부가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2013년 이후부터는 5세 이하의 모든 아동들이 보육료를 지원받아 무상보육이 ...
정부의 보육지원 확대 방침에 대한 논평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없는 반쪽짜리 보육지원대책 국공립보육시설 30% 확충 양육수당이 아닌 보편적 아동수당 ...
[결식아동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 차별받는 아이들의 밥 먹을 권리 2005년 지방이양된 아동급식지원사업은 지자체의 재량에 따라 지원규모와 ...
[토론회] '이명박 정부 보육정책, 이것이 문제이다.' 일시 2011년 5월 23일(월) 오후3시 장소 여성미래센터 1층 소통방 주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최근 정부가 잇따른 보육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4월 27일에는 공공형·자율형 어린이집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발표했고, 5월 2일에는 만5세 어...
부모 소득에 따라 아동의 보육환경 계층화 우려 보육 서비스 시장화 철회하고 공공성 강화해야 보건복지부는 오늘(4/27) 공공형․자율형 어린이집 시범...
오늘(10/26) 야3당과 여성노동시민사회단체는 국회 본관 앞에서 정부 저출산 기본계획을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습니다. 지난 9월 10일 정부가 발...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계류중인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곽정숙의원 대표발의 - 의안번호 제8254호)’에 대하여 다음과...
아동수당 도입을 위한 토론회 열려 국회의원 곽정숙·국회의원 김우남·국회의원 양승조·국회의원 이낙연 (가나다순)과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참여연...
복지국가를 향한 첫번째 과제, 아동수당 도입을 위한 토론회 아동수당은 아동을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보조하기 위해 아동이 있는 가...
이명박 대통령, 국민과의 약속 지켜야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위원장 : 이태수 꽃동네사회복지대학교 교수)는 오늘(3/24), 정부의 실질적 무상보육 ...
보육시민사회단체,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에 대한 반대 의견서 제출 보육시설장들의 이익만 반영한 개악안에 불과해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참여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