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2006. 6. 7 정부, 저출산 ㆍ 고령화 문제 본격 대응 -『저출산 ㆍ고령사회기본계획』시안 발표 - - 2020년까지 IMF 이전 수준인 OECD국가 평균수준의 ...
공공서비스의 시장화, 영리화 추진이 양극화 해소인가? 정부는 오늘(12/13) 총리 주재로 서비스산업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보육료 자율화 방침을 최종적...
2006년 국공립 신설예산 400→100개소로 대폭 축소 민간시설 중심의 정책으로, 보육 공공성 확보는 포기한 것 2007년 보육료 자율화 방침, 보육의 양극...
대전, 광주 짓고 있는 시설 없고 전북, 충북, 경남은 계획의 10%에 못미쳐 대구달성군, 경기군포시 등 국공립시설 비중 매우 낮음에도 단 하나도 짓지 ...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따라 시군구까지 보육정책위원회가 설치돼, 보육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매년 2월말까지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참여연대,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성명 1. 현재 정부는 육아지원 정책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 방안의 핵...
1. 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민주노총, 보육을생각하는부모들의모임(가칭), 서대문구참여보육네트워크, 전국보육노동조합, 참여연대, 한국노총, 한국보육...
보육 공공성 훼손 가져올 '보육료 자율화' 반대한다 참여연대는 최근 정부 일각에서 ‘보육에도 시장원리 도입을 통해 서비스의 질과 경쟁력을 높여야 ...
'생길이' 엄마의 전쟁, 강남 엄마의 선택 최근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육아 개념의 변화에 따라 아동 육아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
"엄마는 도망갔고, 아침은 원래 굶어요" 최근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육아 개념의 변화에 따라 아동 육아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
한국여성단체연합, 참여연대, 민주노총 등 여성·노동·시민사회단체는 오늘 5월 10일(화) 오전10시, 안국동 느티나무에서 ’보육 공공성 확대를 촉구하는...
국공립시설 약 4천여개소 확대, 병설유치원 950여개 초등학교에 의무적 설치, 방과후 보육 법제마련 요구 참여연대를 포함한 전국 17개 시민사회운동단...
5월 2일 '아동의 사회적 보호와 보육 공공성 확대방안' 토론회 자료집입니다. ㆍ 주제 : ‘아동의 사회적 보호와 보육 공공성 확대방안’ 토론회 ㆍ 일시...
아동의 사회적 보호와 일자리 확충을 위한 보육공공성 확대 전국공동행동 계획발표 기자회견 참여연대 등 전국 17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참여자치지...
- 일시 : 2005년 4월 11일(월) 오전 11시 - 장소 : 안국동 느티나무 - 기자회견 순서 ▸사 회 : 박원석 (참여연대 사회인권국장) ▸인사말 및 취지 설명...
보건복지부 2005년 아동복지사업안내사회복지위원회 2005_n13134f00.hwp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위원장 김연명, 중앙대학교 교수)는 복지부가 지난 5월28일 입법예고한 [국민건강보험법시행령중개정령안]에 대한 의견을 제...
복지부 2004년 모부자복지사업안내사회복지위원회 n11483f.hwp
복지부 2004년 보육사업 안내사회복지위원회 n11484f.hwp
"보육재정의 공공성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열려 1. 참여연대,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오늘(5/6) 오후 3시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층에서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