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여연대
동향 1 : 우리 사회는 언제까지 고통을 방치할 것인가? - 부산 지역 노숙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일 사회복지연대 사무국장 2020년 2월 21일, 잊지 ...
동향2 : 청년들은 국민연금기금의 사회투자를 원한다 영차영차1) 1기 박동아, 김지민 우리 청년은 악화되는 기존의 사회문제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
복지톡 : 우리 사회가 용인해온 “폭력” - 코로나19와 가정폭력에 대하여 송아영 가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인터뷰 및 정리 조희흔 사회복지위원회 ...
복지칼럼 : 지대추구경제와 공정성 남찬섭 동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5개월가량 남겨둔 요즘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변화하는 한국사회, 사회보장정책의 방향은?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은 우리가 당면한 불편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
이주민의 사회서비스 이용권 김옥녀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다문화정책전공 교수 본 고는 이주민과 이주민의 사회서비스 전반에 ...
공공의료 서포터즈 <혈액순환> 모집 안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고도 병상이 없어 치료를 못받았다는 소식 들어본 적 있나요? 지역에서 사고가 나...
모두에게 평등한 돌봄을 위하여 조희흔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간사 돌봄의 국가 책임 지금은 백세시대. 더 나아가 백이십세 시대라는 말도 나...
불평등사회에 갇힌 청년을 먼저 구하라1) 김승연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장 요즘 정치권에서 청년 표심 잡기위한 노력이 눈물겹다. 지난 6월 청와...
9월 13일 <기초법공동행동>은 부양의무자기준 완화의 내용과 2022년 기준중위소득, 긴급복지지원제도 선정기준의 변화에 대해 알리고자 수급권자 신문...
2021.09.02. 코로나19 좌담회_기로에 선 'K방역' 사회공공정책의 전환을 말한다 / 출처 : 참여연대 취지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한지 1년이 훌...
편집인의글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제275호 | 김아래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복지동향 편집위원 기획주제 : 인간의 패러독스와 경계 ...
편집인의 글 김아래미 복지동향 편집위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지난 8월 26일 아프가니스탄에서 ‘특별기여자’ 378명이 한국에 입국...
복지국가와 이주민의 사회권 김규찬 강릉원주대학교 다문화학과 교수 이 글은 ‘복지국가는 이주민을 위해서도 작동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
이주노동자1)의 건강보험 현황과 문제점 곽윤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들어가며 「국민건강보험법」의 제1조에서는 ‘국민의 질병·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