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창립 30주년을 앞두고 참여연대 임원과 상근자들은 지난 활동을 돌아보고 더 나은 방향과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은 그 고민의 장에 회원들을 초대하고 직접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긴 설문에도 불구하고 애정을 담아 참여해 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설문 개요
기간 2023.8.9.~8.16. (8일간)
방법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이메일 및 모바일 조사
대상 참여연대 회원 13,856명 (회원모니터단 포함)
응답 총 2,040명 (응답률 14.7%) (회원모니터단 포함)
분석 정책기획국

회원들은 ‘권력 감시’(4.40점), ‘사회경제’(4.37점), ‘평화와 인권’(4.26점), ‘시민교육과 청년’(4.24점) 등 주요 활동 분야 전반에 대해 대체로 높은 점수를 주셨습니다.

기후위기,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 초고령화 등이 초래하는 문제에 참여연대가 더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동시에 제한된 재정과 인적 역량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요. 많은 회원은 ‘현재의 활동도 지속해야 하지만 새롭게 대두되는 사회문제와 이슈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다’(61.3%)고 답해주셨습니다. 그밖에 ‘현재 활동에 더 집중해야 한다’(26.8%), ‘현행 활동을 축소하더라도 새로운 이슈 대응을 해야 한다’(11.9%)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회원들은 현 정부하에서 참여연대가 ‘민주주의 퇴행에 맞서는 연대를 구축’(42.9%)하고 ‘엄정한 권력 감시와 정책대안 마련’(42.7%)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응답해 주셨습니다.

회원들은 앞으로 10년간 참여연대가 강화해야 할 활동으로 ‘국가기관 등의 권력 오남용 감시’(30.4%),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대응’(24.6%)을 최우선으로 꼽아주셨습니다. 이어 ‘공론장 마련 및 사회연대 활성화’(13.2%)와 ‘기후위기 대응’(13.1%)도 강화해야 할 활동으로 선택해 주셨습니다. 특히 응답자 중 20~40대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기후위기 대응’(15.2%)에 더 관심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참여연대가 ‘특정 정치세력에 편향되었다’는 비판에 회원 10명 중 8명 이상(83.8%)은 동의하지 않았으며, ‘정책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에도 79.7%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이슈에 대해 회원들은 ‘세금을 늘려서라도 복지를 늘려야 한다’(4.25점),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집회·시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4.55점), ‘디지털 기술의 혁신에 대한 공적 규제가 필요하다’(4.14점),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 한미동맹보다 균형 외교가 중요하다’(4.42점),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요금 등 비용 부담을 늘려야 한다’(4.02점)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참여하고 싶은 활동에 대한 물음에 회원들은 후원 참여(29.8%)를 가장 많이 선택해 주셨고, 이어 서명·집회 등 직접행동(22.4%), 아카데미 강좌 등 교육 프로그램 참여(19.6%), 참여연대 활동을 SNS에 공유하거나 펀딩에 참여(12.1%)하겠다고 응답했습니다.

회원들은 사회문제 등의 소식을 주로 ‘인터넷 포털’(26.9%)을 통해 접하고 있었으며, ‘유튜브’(23.3%), ‘TV나 라디오’(17.4%) 순으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참여연대 활동 소식은 주로 ‘뉴스레터’(31.8%)를 통해 접하고 있었으며 ‘월간 참여사회’(16.8%), ‘카카오채널’(13.9%) 순으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글 김건우 30주년사업팀장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