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대 10.29이태원참사 2023-10-18   1470

[1주기] 학술대회 <진실과 투쟁 그리고 공동체 회복의 과제>

※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로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가족과 소중한 이들을 잃은 분들께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부상자들의 쾌유를 비롯해 참혹한 상황을 지켜봐야 했을 동료시민들의 회복을 기원합니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를 포함한 여러 단체는 이태원참사 1주기를 앞두고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이태원 참사 1주기 학술대회의 주제는 “진실과 투쟁 그리고 공동체 회복의 과제”입니다. 이태원 참사의 사고원인 규명을 넘어 참사를 둘러싼 사회적 의미를 제시하는 ‘진실’, 국가책임과 참사의 진실을 드러내기 위한 유가족과 시민의 ‘투쟁’, 참사 이전으로 돌아가는 수습 행정에 반대하며 참사의 기억과 유가족의 아픔과 함께 공존하는 사회 전망으로서 ‘공동체 회복’은 1주기를 맞으며 우리 사회가 함께 밝혀야 할 주제입니다. 

이태원 참사 1주기 학술대회는 시민 유가족 연구자들이 함께 참사 해결과 우리사회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과제를 짚어가는 장입니다. 이태원 참사를 포함한 ‘재난의 일상화’ 문제를 조망하며 이에 대한 책임과 대응방향을 모색하고 재난참사 피해자 ‘권리’ 중심의 진실 규명, 회복의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하는 장입니다.  

학술대회 첫날인 24일 오전에는 ‘재난과 권리_권리를 배제한 안전대책 비판’이 열리고 오후에는 ‘재난과 공동체_한중일의 사례’, ‘재난과 축제_이태원과 핼러윈’이 잇따라 열립니다. 둘째날인 25일은 ‘재난과 지역_재난의 일상화와 시민참여’, ‘재난의 지구화와 연결성’이 이어집니다. 시간과 발표자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첨부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도협조[원문보기/내려받기]
학술대회 자료집
학술대회 유튜브 중계 다시보기

▣ 붙임 : 1주기 학술대회 개요

  • 제목 : 이태원 참사 1주기 학술대회 <진실과 투쟁 그리고 공동체 회복의 과제>
  • 일시 : 2023년 10월 24일(화) ~ 10월 25일(수)
  • 장소 : 서울 광화문 변호사회관빌딩 10층 조영래홀
  • 공동주최 :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4.16재단, 김용균재단, 다시는(산재피해자가족네트워크),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녹색당
  • 주관 :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진상규명 시민참여위원회
  • 후원 : 진실의힘 
  • 프로그램
    – 첫째날(10월24일)
9:30~10:00개회사 및 내·외빈 인사(사회 : 이재근 진상규명 시민참여위원회 간사_참여연대)
세션1. 재난과 권리_권리를 배제한 안전대책 비판 (사회 : 권영국(중대재해전문가넷)
10:00~11:15 발표1권리기반 관점에서 원인규명과 지역사회 회복의 중요성최희천(생명안전 시민넷)
발표2세월호 참사이후 피해자 지원대책의 문제와 한계조인영(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발표3이태원 참사 1년, 윤석열 정부 안전패러다임 비판전주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11:15~12:00토론-랑희(인권운동공간 활)-박성현(4.16 재단)-정정훈(서교인문사회연구실) 
12:00~13:00점심식사
세션2. 재난과 공동체_한·중·일의 사례 (사회 : 양명희(중앙대학교)
13:00~15:00  발표1축제에서 참사로-상하이 와이탄 압사사건을 중심으로이석현(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발표2아카시 불꽃축제 압사사고야마 요시유키(간사이가쿠인대학 재해부흥제도연구소)
발표3사회적 참사에 대한 지역 청소년들의 기억행동 및 연대강희숙 (조선대학교 재난인문학연구사업단)
토론-정면(서강대학교)-이주호(세한대학교)-남서현(세월호 희생자 남지현 언니) 
세션3. 재난과 축제_이태원과 핼러윈  (사회 : 이두찬(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15:10~17:10발표1왜 피해자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가랄라(다산인권센터)
발표2이태원 참사, 애도의 위계를 넘어서기 위하여이해수(고려대학교 미디어학교육연구단)
발표3애도와 추모의 사회적 권리와 공간박이현(문화연대)
라운드테이블유가족/생존자/지역주민/자원활동가/미디어팀

– 둘째날(10월25일)

세션4. 재난과 지역 : 재난의 일상화와 시민참여  (사회 : 김혜진 생명안전 시민넷)
10:00~12:30 라운드테이블1(사례발표)-세월호, 안산공간을 중심으로-이태원, 상인과 유가족의 관계-포항지진, 시민참여 사례-광주 시민상주모임 사례-오송지하차도 참사 공동대응 사례라은영 (신나는 문화학교)자캐오 신부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윤정임 (에이팟코리아)박미자 (세월호광주시민상주모임)정미진 (오송참사 대책위)
라운드테이블2(토론회)시민참여를 위한 과제 
12:30~13:30점심식사
세션5. 재난의 지구화와 연결성 (사회 : 차지호 (카이스트))
13:30~15:30주제1재난과 재난후 불평등: 여성과 아동청소년 생존자다이앤 마주라나(터프츠 대학교)
주제2국제 재난과 기억, 생존 – 후쿠시마와 이태원 참사스콧 놀즈(카이스트)
 주제3국제 재난 생존자 대응: 장기 재난 코호트 및 대응 (미국 9.11 코호트)김현(미네소타 대학교)
토론  -이태원 참사 유가족-강곤(인권기록센터 사이)-정형준(보건의료단체연합)

정부지원금 0%, 회원의 회비로 운영됩니다

참여연대 후원/회원가입


참여연대 NOW

실시간 활동 SNS

텔레그램 채널에 가장 빠르게 게시되고,

더 많은 채널로 소통합니다. 지금 팔로우하세요!